$\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된 오징어젓갈에서 분리된 Weisella sp. 균주의 특성 분석 및 쌀발효물의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증
Characterization of Weissella sp. Strains Isolated from Fermented Squid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ermented Rice against Harmful Bacteri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3 no.6, 2023년, pp.506 - 511  

여고운 (신라대학교 제약공학과) ,  이동근 (신라대학교 제약공학과) ,  김주희 (신라대학교 대학원 그린화학융합공학과) ,  박민주 (신라대학교 제약공학과) ,  김진선 (신라대학교 제약공학과) ,  김육용 ((주)이삭에프엔비) ,  유기환 ((주)이삭에프엔비) ,  최용재 ((주)이삭에프엔비) ,  이상현 (신라대학교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식품에서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보이는 유산균을 분리하고 특성을 파악한 후에, 분리된 유산균을 이용한 쌀 발효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오징어 젓갈에서 선별된 3종의 균주는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Weissella sp. ISF-1, ISF-2, ISF-3으로 명명하였다. 이들은 장내 유해세균들인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및 MRSA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이들의 생장은 0-5% (w/v) NaCl에서 우수하였고 7% (w/v) NaCl까지 비교적 양호하였다. 초기 pH 8이 생육에 최적이었으며, pH 6, 7, 9에서도 우수한 생육을 보였다. 분리 된 Weissella sp. ISF-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한 쌀발효 동결건조물들도 B. cereus, S. aureus 및 MRSA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로 획득한 균주들은 프로바이오틱스 및 안전한 식품 이용을 위한 생물 보존제 개발이나 MRSA 치료에 유용할 수 있고, 쌀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새로운 기능의 제품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solate and characterize lactic acid bacteria wit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from fermented food and to confirm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ermented rice products using the isolated lactic acid bacterium....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MRSA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해 발효된 오징어젓갈 10 g을 1.0% (w/v) 펩톤이 첨가된 멸균 증류수 10 ml에 현탁시킨 후, 5% (w/v) NaCl, 0.1% (w/v) nystatin (Merck, USA) 및 0.1% (w/v) polymyxin B (Duchefa, Netherlands)를 함유하는 MRS (Difco, USA) 한천 배지를 이용하여 30℃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장이 확인된 세균집락에서 균주를 3차례 이상 분리한 뒤에 순수배양하였고 MRSA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 정제된 총세포 DNA를 주형으로 16S rRNA 유전자를 27F (5'-AGA GTT TGA TCM TGG CTC AG-3')와 1492R (5'-TAC GGH TAC CTT GTT ACG ACT T-3')을 primer로 이용하여 증폭하였으며, Cosmogenetech (Seoul, Korea)에 염기서열 분석을 의뢰하였다. 분석이 완료된 염기서열들은 BLAST를 사용하여 염기서열이 알려진 균주들과의 유사도를 검토하여 균주들을 동정하였다. 이후, Clustal 프로그램 (ClustalW2)을 이용하여 다중염기배열(multiple alignment)을 수행한 후에 Neighbor-joining method와 Bootstrap method (n=1,000)로 분석하여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파악하였다.
  • 1% (w/v) polymyxin B (Duchefa, Netherlands)를 함유하는 MRS (Difco, USA) 한천 배지를 이용하여 30℃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장이 확인된 세균집락에서 균주를 3차례 이상 분리한 뒤에 순수배양하였고 MRSA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ISF-1, ISF-2, ISF-3의 세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이들을 배양하고 Wizard Genomic DNA Isolation Kit (Promega, USA)를 사용하여 총세포 DNA를 정제하였다.
  • 정제된 총세포 DNA를 주형으로 16S rRNA 유전자를 27F (5'-AGA GTT TGA TCM TGG CTC AG-3')와 1492R (5'-TAC GGH TAC CTT GTT ACG ACT T-3')을 primer로 이용하여 증폭하였으며, Cosmogenetech (Seoul, Korea)에 염기서열 분석을 의뢰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발효된 오징어 젓갈에서만 항균활성이 있는 유산균을 분리할 수 있었다. 진균류와 그람 음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기 위하여 0.1% (w/v) nystatin 및 0.1% (w/v) polymyxin B를 첨가한 5% (w/v) NaCl이 함유된 MRS 한천 선택배지에서 오징어젓갈 시료로부터 많은 세균 집락을 얻었다. 배양 배지에는 5% (w/v) NaCl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오징어젓갈에서 호염성 또는 내염성 세균들이 선택적으로 배양되었을 것이다.

대상 데이터

  • 생장이 확인된 세균집락에서 균주를 3차례 이상 분리한 뒤에 순수배양하였고 MRSA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ISF-1, ISF-2, ISF-3의 세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이들을 배양하고 Wizard Genomic DNA Isolation Kit (Promega, USA)를 사용하여 총세포 DNA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총세포 DNA를 주형으로 16S rRNA 유전자를 27F (5'-AGA GTT TGA TCM TGG CTC AG-3')와 1492R (5'-TAC GGH TAC CTT GTT ACG ACT T-3')을 primer로 이용하여 증폭하였으며, Cosmogenetech (Seoul, Korea)에 염기서열 분석을 의뢰하였다.
  • 항균활성을 갖는 새로운 유산균을 선별하기 위해 많은 염장 또는 한국 전통 발효 식품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발효된 오징어 젓갈에서만 항균활성이 있는 유산균을 분리할 수 있었다.

이론/모형

  • 분석이 완료된 염기서열들은 BLAST를 사용하여 염기서열이 알려진 균주들과의 유사도를 검토하여 균주들을 동정하였다. 이후, Clustal 프로그램 (ClustalW2)을 이용하여 다중염기배열(multiple alignment)을 수행한 후에 Neighbor-joining method와 Bootstrap method (n=1,000)로 분석하여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파악하였다.
  • 장내 유해세균인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와 장내상재균인 Escherichia coli에 대한 유산균 ISF-1, ISF-2, ISF-3 균주들의 항균 활성을 paper disc법으로 측정하였다. 대장균과 장내 유해세균 3종을 tryptic soy (TS) 액체 배지(Difco, USA) 4 ml에 접종하여 250 rpm, 37°C에서 하룻밤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hn, B. K., Min, K. C., Cho, S. H., Lee, D. G., Kim,?A. and Lee, S. H. 2021. Iso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with anti-MRSA bacteriocin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of the bacteriocin product. Microbiol. Biotechnol. Lett. 49, 131-137. 

  2. Ahn, Y. T. 2014. Development of probiotic dairy products?us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human intestine.?Food Sci. Technol. Int. 47, 45-54. 

  3. Bjorkroth, K. J., Schillinger, U., Geisen, R., Weiss, N.,?Hoste, B., Holzapfel, W. H., Korkeala, H. J. and Vandamme, P. 2002. Taxonomic study of Weissella confusa?and description of Weissella cibaria sp. nov., detected in?food and clinical samples. Int. J. Syst. Evol. Microbiol. 52, 141-148. 

  4. Collins, M. D., Samelis, J., Metaxopoulos, J. and?Wallbanks, S. 1993. Taxonomic studies on some leuconostoc-like organisms from fermented sausages: description?of a new genus Weissella for the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group of species. J. Appl. Bacteriol. 75, 595-603. 

  5. Gaggia, F., Gioia, D. D., Baffoni, L. and Biavati, B. 2011.?The role of protective and probiotic cultures in food and?feed and their impact in food safety. Trends Food Sci.?Tech. 22, 58-66. 

  6. Hong, S. W., Bae, H. J., Chang, J. H., Kim, S. Y., Choi,?E. Y., Park, B. Y., Chung, K. S. and Oh, M. H. 2013.?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ocin-producing lactic?acid bacteria. J. Food Sci. Technol. 31, 153-159. 

  7. Kang, M. S., Lee, D. S. and Lee, S. A. 2020. Effects of?probiotic bacterium Weissella cibaria CMU on periodontal?health and microbiota: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BMC Oral Health 20, 243. 

  8. Kang, M. W. and Kim, Y. R. 1995. Effect of anti-microbial of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extract on composition and leakage of cellular materials in Escherichia coli?and Staphylococcus aureus. J. Kor. Soc. Food Nutr. 24, 280-285. 

  9. Kim, C. H., Lee, J. Y., Kim, M. K., Kim, S. H., Park,?G. Y., Bae, S. Y., Seo, M. J. and Go, I. H. 2012. Isolation?rat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from nasal cavity inferior regions and cellular?phones. Kor. J. Clin. Lab. Sci. 44, 118-123. 

  10. Kim, N. Y., Jang, M. K., Jeon, M. J., Lee, D. G., Jang,?H. J., Lee, S. W., Kim, M. H., Kim, S. G. and Lee, S.?H. 2010. Ver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pine needle extracts against antibiotic resistant strains of?Staphylococcus aureus. J. Life Sci. 20, 589-596. 

  11. Lee, S. H. 2003. Establishment of a leucocin A producing?Saccharomyces cerevisiae cell. J. Life Sci. 13, 712-717. 

  12. Martinez-Murcia, A. J. and Collins, M. D. 1990.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genus Leuconostoc based on reverse transcriptase sequencing of 16 S rRNA. FEMS?Microbiol. Lett. 58, 73-83. 

  13. McGroarty, J. A. 1993. Probiotic use of lactobacilli in the?human female urogenital tract. FEMS Microbiol. Immunol.?6, 251-264. 

  14. Miller, L. G., Remington, F. P., Rieg, G., Mehdi, S., Perlroth, J., Bayer, A. S., Tang, A. W., Phung, T. O. and Spellberg, B. 2005. Necrotizing fasciitis caused by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in Los Angeles. N. Engl. J. Med. 352, 1445-1453. 

  15. Park, G. G., Gang, J. B. and Park, Y. S. 2013.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 produced from Pediococcus pentosaceus KC-007 isolated from onion. J. Food Eng. Prog. 17, 412-417. 

  16. Park, Y. J. 201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imchi?lactic acid showing antibacterial activity. KJHE. 26, 547-558. 

  17. The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Rural Affairs. 2020. Processed food segment market status, rice processed foo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