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창의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교과서 연계 서지정보 및 주제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Subject Information Linked to Textbooks to Support Self-directed Creative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nline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4 no.2, 2023년, pp.93 - 114  

윤소영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기주도적 창의교육을 중시하는 교육 패러다임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는 주요한 공적 기관인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은 교과연계프로그램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 지원을 주요 업무로 강조하고 있다.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지식정보 제공이 필수적이며, 교과서에 반영된 교육과정을 심화·확장할 수 있는 교과서 연계 참고자료가 풍부하게 확보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초등학교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도서관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거나 확장하고자 하는 정보요구가 큰 주요 교과를 식별하고, 도서관 컬렉션 및 분류체계와 연계할 중점 매핑 포인트를 설정하였다. 각 교과의 학습주제 및 교과연계도서의 서지정보와 함께 한국십진분류법(KDC)의 분류표목 및 상관색인의 도입어를 참조하여 학습주제와 연관된 분류항목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친숙하지 않은 KDC 체계를 초등학교 주요 교과의 단원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과서 연계 서지정보 및 주제정보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은 교과과정의 학습주제를 중심으로 이용자별로 타겟화된 도서관 콘텐츠와 초등학교 교육콘텐츠를 연계함으로써 온라인 환경에서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창의학습 지원을 강화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paradigm that values self-directed creative education, school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emphasize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through curriculum-linked programs as their main tasks. For self-directed learning, it is essential to provide learner-centered edu...

Keyword

표/그림 (12)

참고문헌 (10)

  1. Bae, Kyeong-Mi (2019). Cooperative Instruction Study on linked to School Curriculum at?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Library Education, Graduate School,?Silla University. 

  2. Bookseed (2023). Recommended books for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Reading Culture Platform?Bookseed. Available: http://www.bookseed.kr/uploadData/webbook/cu_study_2023_03/ 

  3. Kim, Bo-Ram & Hong, Hyun Jin (2018). The effectiveness study of education connected to?school library followed by free-semester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9(1), 185-208. http://doi.org/10.14699/kbiblia.2018.29.1.185 

  4. Lee, HwanKi (2016). The inquiry of the meaning of the 'domains'('big themes') of elementary?school integrated curriculum and its articulation or continuity of the nuri curriculum of?kindergarten and subjects cluster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3-4 grades cluster.?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10(4), 23-47. 

  5. Lee, Su-Hyun (2021). A Study of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hool?Library Assisted Instruction: Focused on Elementary Schools in Jeonbuk. Master's thesis,?Jeonbuk National University. 

  6. Ministry of Education (2019).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and Curriculum Connection?Map: 2015 Revised Curriculum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Teaching and Learning?Materials (11-1342000-00354-01). 

  7. Mun, Ji-hyun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Library Classifications, Doctoral?dissertation, Chonnam Nationial University. 

  8.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23). 2022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Survey(No.?120017). Ministry of Science and ICT. 

  9. Oh, Young-ok & Lee, Mihwa (2019).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kdc?6th ed. for classifying the children's book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Society, 50(1), 105-124. http://doi.org/10.16981/kliss.50.1.201903.105 

  10. Yun, Soo Been, Lee, Sena, & Choi, Hwan Seok (2022). A study of the regal system issues?and directionality in the era of new media: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the reliability?improvement division of the special committee on the press and media in the national?assembly. Discourse and Policy in Social Science, 15(2), 107-126.?https://doi.org/10.22417/DPSS.2022.10.15.2.107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