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이분모 분수 크기 비교에 나타나는 추론 분석
An Analysis on Reasoning of 4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mparing Unlike Fraction Magnitud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6 no.3, 2023년, pp.181 - 197  

윤채린 (서울강덕초등학교) ,  장혜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이분모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해 통분을 이용한 형식화된 절차적 방법이 아니라 분수 개념 및 수 감각을 바탕으로 하는 추론 과정을 따르는 것의 중요성이 다수의 연구에서 주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통분을 학습하지 않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분모 분수 크기 비교 검사지를 활용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8가지 문제 유형별 정답자 및 오답자의 추론 관점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동치분수 및 통분을 학습하기 이전의 학생들도 분수 감각을 바탕으로 한 추론을 통해 이분모 분수 크기를 비교할 수 있었다. 이분모 분수의 크기 비교를 위해 가장 많은 학생들이 선택한 관점은 '부분-전체 관점'이며, 이는 분수의 크기 비교 시 추론이 학생 자신이 학습한 분수의 개념에 크게 의존함으로 보여준다. 또한 분수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가 부족한 학생들은 분수의 크기에 대한 양감의 부족으로 이어져 이분모 분수의 크기 비교 추론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분모 분수 크기 비교 시 통분 없이 분수 개념 및 수 감각에 기초한 추론 지도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reasoning processes based on fractional concepts and number senses, rather than a formalized procedural method using common denominators, has been noted in a number of studies in relation to compare the magnitudes of unlike fractions. In this study, a unlike fraction magnitudes com...

주제어

표/그림 (28)

참고문헌 (22)

  1. 강완, 강태석(2003). 분수의 크기 비교 지도 방법의 교수학적 변환 분석. 한국초등교육, 14(1), 35-64. 

  2. 강태석(2001).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분수의?크기 비교 지도 방법에 관한 분석. 서울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201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제2011-361호. 

  4.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5.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6. 권성룡(1997). 측정 활동을 통한 분수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옥경(199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분수 개념 이해 및 분수 수업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유경, 황현미(2016). 초등학생들의 분수의 크기 비교?전략 분석. 수학교육학 연구, 26(4), 663-682. 

  9. 서민정(2020). 분수의 크기 비교에 대한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 학생들의 문제해결 전략과 오류 분석.?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신준식(1996). 실제적 접근 방법에 의한 분수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대현(2018).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 핀란드의?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분수 지도 내용의 비교.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21(2), 111-130. 

  12. 정은실(2006). 분수 개념의 의미 분석과 교육적 시사점 탐구. 학교수학, 8(2), 123-138. 

  13. 홍은숙, 강완(2008). 분수 개념에 관한 초등학생의 비형식적 지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1), 59-78. 

  14. Behr, M. J., Wachsmuth, I., Post, T. R., & Lesh, R.?(1984). Order and equivalence of rational?numbers: A clinical teaching experiment. Journal?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5(5),?323-341. 

  15. Clark, D. M., & Winkelman, N. W. (2018). The?benefits of inferential reasoning in learning?fractions. J 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Education, 49(1), 66-103. 

  16. Cramer, K. & Wyberg, T. (2007). When getting the?right answer is not always enough: Connecting?how students order fractions and estimate sums?and differences. In W. G. Martin & M. E.?Strutchens (Eds.), The learning of mathematics,?69th Yearbook of the NCTM (pp. 205-220).?NCTM. 

  17. DeWolf, M., Grounds, M. A., Bassok, M., &?Holyoak, K. J. (2014). Magnitude comparison?with different types of rational numbers. Journal?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and Performance, 40(1), 71-82. 

  18. Hiebert, J., & Lefevre, P. (1986). Conceptual and?procedural knowledge in mathematics: An?introductory analysis. In J. Hiebert (Ed.),?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case?of mathematics (pp. 1-27). Lawrence Erlbaum?Associates. 

  19. Kieren, T. E. (1976). On the mathematical cognitive?and instructional foundations of rational numbers.?In R. A. Lesh & D. A. Bradbard(Eds.), Numbers?and measurement: Papers from a research?workshop (pp. 101-150). ERIC/SMEAC. 

  20. Moss, J., & Case, T. (1999). Developing children's?understanding of the rational numbers: A new?model and an experimental curriculum. Journal?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0(2),?122-148. 

  21. Smith, J. P. (1995). Competent reasoning with?rational numbers. Cognition and Instruction,?13(1), 3-50. 

  22. Wenrick, M. R. (2003). Elementary students' use of?relationships and physical models to understand?order and equivalence of rational numbers?[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University of Texa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