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게임에 대한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중요한 타인과 균형관계를 중심으로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Digital Gaming: Focusing on the Balance Relationship with Significant Others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29 no.3, 2023년, pp.275 - 304  

호규현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나은영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과 균형이론을 적용하여 디지털 게임이용행위의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감이 디지털 게임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개인과 중요한 타인, 디지털게임 간의 균형 상태에 따라 계획행동이론 모형 적용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2021.10.21.~25 사이에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315건의 성인 PC게임 이용자 응답을 수집했으며 이를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태도와 지각된 행위 통제감은 지속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주관적 규범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균형 관계에 따라 집단을 균형, 무균형, 불균형으로 구분하고 집단별로 계획행동이론 모형을 적용한 결과 균형관계가 불균형, 무균형인 경우 지각된 행위 통제감과 태도가 지속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균형인 집단에서는 태도만 지속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디지털 게임이용행위에 대한 개인의 심리적 요인과 타인의 영향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게임 이용자에 대한 이해에 기여한다는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chanisms underlying digital game usage behavior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Balance Theory. It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games, as well as the di...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85)

  1. 강내원 (2020). 온라인 게임 이용자의 감정욕구와 사회규범 인식이 게임에 대한 태도?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0(4), 21-31. 

  2. 강지영, 최상일 (2020). 몰입형 가상현실 콘텐츠의 확장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1(9), 1599-1606. 

  3. 곽이삭 (2018). 모바일 게임에서 나타나는 게이머의 경험 패턴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9(6), 1033-1041. 

  4. 권석만 (2011).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5. 금준경 (2019.06.05.). 누가 게임을 사회악으로?만들었나.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382 

  6. 길태숙 (2011). 행위서사로서의 게임스토리텔링의 본질.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1(3),?31-42. 

  7. 김성중 (2000). 또래집단의 영향이 청소년들의?네트워크 컴퓨터 게임 이용과 충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8. 김영범, 이상호 (2019). 청소년의 Big Five 성격유형과 자기 조절 성향이 게임 과용, 선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정보학회 논문지, 24(4), 65-77. 

  9. 김영석 (2005). 설득 커뮤니케이션. 나남출판 

  10. 김영재, 유 진 (2005). 성격 5 요인과 여가행동예측 요인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3, 527-537. 

  11. 김종우, 김상욱 (2014). 게임 메커니즘이 영향을 미치는 재미와 몰입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 1192-1195. 

  12. 김주우, 이혜림, 정의준 (2015). 게임이용자의?성격, 사회자본과 게임선용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28(4), 135-142. 

  13. 김지연, 도영임 (2014). 부모 세대와 청소년 세대의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 차이: 온라인 게임의 유해성/유익성, 영향과 가치, 부모-자녀 관계, 규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20(3), 263-280. 

  14. 김 헌, 장병희 (2020). 게임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선용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 탐색적 연구. 한국소통학보, 19(2), 7-47. 

  15. 김효정, 한창희, 서보밀, 김근종 (2005). 모바일?게임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0(1),?1-19. 

  16. 나은영, 송종현 (2006). 어린이의 인터넷.컴퓨터게임 몰입에 미치는 자기통제성의 매개?역할과 어머니의 개방적 커뮤니케이션의?영향. 한국언론학보, 50(2), 116-147. 

  17. 나은영 (2010). 미디어 심리학. 한나래출판사. 

  18. 나은영 (2015). 인간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소통 공간의 확장. 한나래출판사. 

  19. 노기영, 박동진, 권명순 (2013). 인터넷 음란물?중독성향과 이용의도: 계획행동모델의 적용. 한국언론학보, 57(4), 168-191. 

  20. 류성일, 박선주 (2010). 사회통계학적, 장르적?분류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이용 특성에?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0(3),?61-71. 

  21. 류철균, 권보연 (2015). 디지털 게임에 나타난?미학의 정치. 인문콘텐츠, (37), 91-114. 

  22. 문화체육관광부. (2012.01.19.). 오는 1월 22일 부터 선택적 셧다운제도 본격 시행 [보도자료].?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5808138#pressRelease 

  23. 박근서 (2009). 비디오 게임의 이야기와 놀이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9(4), 208-242. 

  24. 박성택, 김태웅, 김경희 (2012). 온라인게임 플레이 의도의 영향요인 연구. 디지털융복합 연구, 10(8), 53-61. 

  25. 박연진, 하루, 황하성 (2019). 계획된 행동이론과 SNS 리터러시를 적용한 대학생들의 인스타그램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탐색: 이용자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3(3), 80-107. 

  26. 방희경, 원용진, 김진영 (2018). 게임담론 지형내 대중담론의 위치: 게임 생산자 전기물(biography) 분석을 기반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88, 42-76. 

  27. 배재한, 김재진, 노기영 (2015). 가상현실 운전 시뮬레이션 게임의 사용자 경험과 운전 태도에 대한 실험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5(3), 7-17. 

  28. 백경민, 유미현, 강혜연, 조문석 (2020). 사회적?관계가 게임 이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 게임 선용 정도와 게임 과몰입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4), 77-85. 

  29. 백상기 (2019). 게임 이용동기, 게임 효능감, 게임 규범성 및 게임 인식이 게임선용에?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다층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98, 86-125. 

  30. 손영곤, 이병관 (2012).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사회인지적 행동 모델의 유용성에?대한 메타분석. 한국언론학보, 56(6), 127-161. 

  31. 안상혁 (2004). 로제 카이와(Roger Caillois)의 놀이론을 통한 온라인 게임 고찰. Archives?of Design Research, 119-126. 

  32. 양서윤, 최수미 (2020). 게임 이용 동기가 게임 내 사회적 이용 행동을 매개로 현실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MMORPG를 배경으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0(1),?67-82. 

  33. 오유진, 양승수, 박지민 (2023.03.28.). 게임 못하게 했다고...고모를 흉기 살해한 중학생.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3/03/27/N2XDMDYQVBHH7MWHMQ4D746NDE/ 

  34. 요한 하위징아 (2018). 호모 루덴스. 연암서가 

  35. 윤건우, 김원준, 유승호 (2009). 온라인게임의?개인적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9(3), 107-119. 

  36. 윤형섭. 강지웅, 박수영, 오영욱, 전홍식, 조기현 (2012). 한국 게임의 역사: 세계를 놀라게 한 한국 게임의 기적. 북코리아. 

  37. 이경님 (2003).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과 자기통제가 게임중독에 미치는?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1), 77-91. 

  38. 이동연, 신현우, 강신규, 박근서, 양기민, 윤태진, 이경혁, 이정엽, 임태훈, 천정환, 홍현영, 나보라 (2019). 게임의 이론: 놀이에서?디지털 게임까지. 문화과학사 

  39. 이은하, 강진원, 김제홍, 안주희, 강귀영, 김준우, 이솔빈, 조성학, 남기춘 (2020). 게임이?사용자의 공격성.사회성.정서에 미치는?영향: 메타분석 연구. 감성과학, 23(4),?41-60 

  40. 이자명 (2020). 아동?청소년의 게임 이용행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473-1497. 

  41. 이장원, 윤준성 (2016). 게임의 미학적 잠재성과 가치 특성.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6(5), 131-148. 

  42. 이장주 (2011). 놀이환경 변화를 통해 본 디지털문화심리학의 방향 모색.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7(1), 131-154. 

  43. 이정기, 최믿음 (2011). 자살 보도량과 심리적?변인이 대학생의 자살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인 및 대학생 자살 보도 이용량, 스트레스, 충동성, 자존감, 계획행동이론 변인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2(4), 147-187. 

  44. 이지현, 김한구 (2020). MMORPG 이용자의 자기결정성 및 소속감이 캐릭터 동일시를?통해 충성도 및 WOM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0(4), 75-97. 

  45. 이진우, 손영곤 (2017). 계획된 행동이론의 확장은 행동을 설명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가?: 국내 학술지 대상 메타분석을 통한?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정교화를 위한 시론. 광고 PR 실학연구, 10(3), 217-243. 

  46. 이혜림, 정의준 (2015). 게임 이용자들의 자아존중감, 게임 효능감, 사회 자본이 삶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헤도닉과 유다이모닉 행복 관점을 중심으로.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8(9), 1118-1130. 

  47. 임해량, 이동은 (2019). 디지털게임에 나타나는?알레아의 세 층위. 한국게임학회 논문지,?19(4), 65-76. 

  48. 장예빛 (2016). 청소년 게임이용의 주관적 규범과 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6(4), 7-14. 

  49. 장재홍 (2005). 인터넷 사용욕구와 심리사회변인들이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비교. 미래청소년학회지,?2(2), 39-55. 

  50. 전경란 (2009). 디지털 게임, 게이머, 게임문화.?커뮤니케이션북스. 

  51. 전경란 (2010). 게임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에 게재된 게임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27(3), 127-176. 

  52. 전경란 (2014). 디지털 게임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53. 정금희, 최윤정 (2019). 수용자의 능동적 행위로서 미디어 몰아보기(Binge watching):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한 몰아보기?행동 모형. 한국방송학보, 33(3), 141-179. 

  54. 조윤경, 유재웅 (2016). 청소년 사이버불링(cyberbullying)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타인의 시선(주관적 규범, 참된 자아)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0(1), 111-136. 

  55. 조은하 (2013). 게임포비아, 호모루덴스에서 사이버스페이스까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3(2), 137-146. 

  56. 진병준, 이지혜 (2022). 청소년의 게임이용시간과 자기통제의 관계에서 적응적 게임활용의 종단적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8(3), 331-352. 

  57. 차동필 (2005). 폭음행위 이해: 계획행동 이론의 적용과 확장. 한국언론학보, 49(3), 346-372. 

  58. 최동성, 손동철, 고응남, 김진우 (2002). 컴퓨터?게임 플레이어와 게임 플레이 정의에 대한 학문적 고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2), 3-9. 

  59.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6). 전자오락게임의?문화정책적 접근 방안. 

  60.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2020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61.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 2021 게임과몰입 종합 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62. 한덕웅, 이민규 (2001). 계획된 행동이론에 의한 음주운전 행동의 설명.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5(2), 141-158. 

  63. 허태균, 한 민, 김연석 (2004). 성행위시 위험감수 의사결정에서 남녀차이: 콘돔사용과?계획된 행동이론. 한국심리학회지: 여성,?9(3), 69-87. 

  64. 황상민, 허미연, 김지연 (2005). 온라인 게임에서의 '재미 경험'의 심리적 분석: 리니지?2를 중심으로. 정보사회와 미디어, (8), 39-50. 

  65. Ajz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66. Ajzen, I. (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Action control:?From cognition to behavior (pp. 11-39). Berlin,?Heidelberg: Springer Berlin Heidelberg. 

  67. Ajzen, I. (1988). Attitudes, personality, and behavior.?Dorsey Press 

  68.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processes, 50(2), 179-211. 

  69. Ajzen, I. (1998). Models of human social behavior?and their application to health psychology.?Psychology and Health, 13(4), 735-739. 

  70. Ajzen, I. (2002).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the theory of?planned behavior 1. Journal of applied social?psychology, 32(4), 665-683. 

  71. Allport, G. W. (1935). Attitudes. In CM?Murchison (ed.), Handbook of social?psychology. Worcester, MA: Clark University?Press. 

  72. Armitage, C. J., &Conner, M. (2001). Efficacy of?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 meta?analy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social?psychology, 40(4), 471-499. 

  73. Bandura, A., & Walters, R. H. (1977). Social?learning theory (Vol. 1). Prentice Hall 

  74. Crandall, C. S., Silvia, P. J., N'Gbala, A. N., Tsang, J. A., & Dawson, K. (2007). Balance?theory, unit relations, and attribution: The?underlying integrity of Heiderian theory.?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1(1), 12-30. 

  75. Coyne, S. M., Busby, D., Bushman, B. J., Gentile,?D. A., Ridge, R., &Stockdale, L. (2012).?Gaming in the game of love: Effects of video?games on conflict in couples. Family Relations, 61(3), 388-396. 

  76. Fazio, R. H., & Zanna, M. P. (1981). Direct?experience and attitude-behavior consistency. In?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14, pp. 161-202). Academic Press. 

  77. Harary, F. (1983). Consistency theory is alive and?well.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9(1), 60-64. 

  78. Heider, F. (1946). Attitudes and cognitive?organization. The Journal of psychology, 21(1),?107-112. 

  79. Hofstede, G. H., Hofstede, G. J., & Minkov, M.?(2005).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the mind (Vol. 2). Mcgraw-hill. 

  80. Kiesler, D. J. (1996). Contemporary interpersonal?theory and research: Personality, psychopathology,?and psychotherapy. John Wiley & Sons. 

  81. Knapp, T. R. (1991). Focus on psychometrics.?Coefficient alpha: Conceptualizations and?anomalie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4(6),?457-460. 

  82. Newzoo (2019). Global Games Market Report 2019. www.newzoo.com 

  83. Salen, K., Tekinbas, K. S., & Zimmerman, E.?(2004). Rules of play: Game design fundamentals.?MIT press. 

  84. Sherry, J. L., Lucas, K., Greenberg, B. S., &?Lachlan, K. (2006). Video game uses and?gratifications as predictors of use and game?preference. Playing video games: Motives, responses,?and consequences, 24(1), 213-224. 

  85. Taylor, S., & Todd, P. A. (1995). Understanding?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est of?competing model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6(2), 144-17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