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안 산불피해 사례기반 격자체계를 활용한 산불위험분석
Forest Fire Risk Analysis Using a Grid System Based on Cases of Wildfire Damage in the 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9 no.5/1, 2023년, pp.785 - 798  

김구윤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이미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곽창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한지혜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산불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산불의 크기도 대형화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 산불은 매년 100 ha 이상 산불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최근 5년간 강원도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의 90%는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안 지역은 건조한 대기, 양간지풍 등 산불에 취약한 기후와 침엽수림의 산림 조건을 지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산불 발생 위험성 예측, 산불 위험도 산정 등 다양한 산불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이 추진되고 있다. 기상 및 산림 관련 인자를 고려하여 산림지역에 대한 위험 분석에 관련된 연구는 많이 추진되고 있으나, 산림 인접 지역을 대상으로 위험도 분석을 수행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산림 인접 지역에 대한 관리는 인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중요한 일이다. 산림 인접한 주택 및 시설물들은 산불에 의해 큰 위협을 받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점번호를 활용하여 산림 인근 지역에서 영향을 받는 인자들을 활용하여 격자기반 산불 관련 재난위험지도를 작성하고 강릉 산불 사례 기반으로 산림 지역과 산림 인접 지역을 대상으로 위험등급 차이를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forest fires have become frequent due to climate change, and the size of forest fires is also increasing. Forest fires in Korea continue to cause more than 100 ha of forest fire damage every year. It was found that 90% of the large-scale wildfires that occurred in Gangwon-do over the past ...

주제어

표/그림 (2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현재 제공되고 있는 산림청의 산불위험지도는 지역별 산림 특성을 고려한 산불 위험관리를 지원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이 주된 목적이 아닌 산림 인근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인구, 건물, 농업지역을 대상으로 피해등급을 파악하기 위해 격자기반의 산불 관련 재난위험분석을 수행하였다. 격자 기반으로 분석한 전체 자료 중 산림 인접 지역에 해당되는 분석된 격자 결과인 산림 인접 지역은 2.
  • 본 연구에서의 산불 관련 재난위험분석은 산불 발생 상황별 및 지역별 재난위험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상대적 위험도를 도출하였다. 산불 위험도는 각 지표값을 지표별 측정 데이터의 합을 정규화 하여 0과 1 사이의 값으로 분포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East Coastal Forest Fire Center of Gangwon Prevention?Center, 2021. Gangwon-do east coast forest fire?investigation and identification data book (2011-2020). East Coastal Forest Fire Center of Gangwon?Prevention Center. 

  2. Jang, M. H., 202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rural diagnosis using spatial big data and a grid?system.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55(2), 155-170. https://doi.org/10.22905/kaopqj.2021.55.2.2 

  3. Jeong, J. Y., Woo, S. H., Son, R. K., Yoon, J. H., Jeong,?J. H., Lee, S. J., and Lee, B. D., 2018. Spring?forest-fire variability over Korea associated with?large-scale climate factors. Atmosphere, 28(4),?457-467. https://doi.org/10.14191/Atmos.2018.28.4.457 

  4. Kang, Y. J., Park, S. M., Jang, E. N., Im, J. H., Kwon,?C. G., and Lee, S. J., 2019. Spatio-temporal?enhancement of forest fire risk index using?weather forecast and satellite data in South?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2(4), 116-130. https://doi.org/10.11108/kagis.2019.22.4.116 

  5. Kong, I., Kim, K., and Lee, Y., 2017. Sensitivity analysis?of meteorology-based wildfire risk indices and?satellite-based surface dryness indices against?wildfire cases in South Korea. Journal of Cadastre?& Land InformatiX, 47(2), 107-120. https://doi.org/10.22640/lxsiri.2017.47.2.107 

  6. Korea Forest Service, 2022. 2021 wildfire statistical?yearbook. Korea Forest Service. 

  7.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2019. A study on location intelligence of open?data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Korea Land?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8. Lee, H., and Park, Y., 2017. A study on mapping forest fire?risk using combustion characteristic of forest fuels:?Focusing on Samcheok in Gangwon-do. Journal of?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13(3),?296-304. https://doi.org/10.15683/kosdi.2017.09.30.296 

  9. Lim, C. J., and Chae, H., 2022. Predicting forest fire?danger using fuel characteristics of forest. Journal?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2(6),?125-132. https://doi.org/10.9798/KOSHAM.2022.22.6.125 

  10.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2. 2021 calamity?yearbook.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11.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3. National?branch number that informs rescue location, can?be checked anywhere in dangerous moments.?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12. Moon, C., Lee, J., and Shin, S., 2013. Development of?calculating model for hydrological geographic?parameters using ArcGIS modelbuilder, Journal?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14(2),?19-29. 

  13.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6. National?territory information platform national territory?statistical map utilization guide. National Geographic?Information Institute. 

  14.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8. 2018?National territory monitoring report. National?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15. Park, H. S., Lee, S. Y., Lee, B. D., and Koo, K. S., 2012. The basic study on forest fire danger?assessment for facilities in WUI. In Proceeding?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Engineering Conference, Daegu, Republic of?Korea, May 3-4, pp. 456-459. 

  16. Park, J., Park, C., An, J., and Yoon, H., 2020. An?assessment method for evaluating vulnerability to?regional disasters and its application to disaster?due to heavy ra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of Hazard Mitigation, 20(1), 151-161. https://doi.org/10.9798/KOSHAM.2020.20.1.151 

  17. Ryu, J. Y., Kim, S. Y., Seo, K. W., and Kwon, C. G., 2022. A study on the wildland fire risk assessment?of cultural properties in wildland-urban interface.?Journal of the Society of Cultural Heritage Disaster?Prevention, 7(1), 25-36. 

  18. Shim, J. H., and Choi, S. O., 2018. An empirical study?on the organizational and network capability of?local emergency management: Focused on 228?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Korean Public?Administration Quarterly, 30(3), 651-681. https://doi.org/10.21888/KPAQ.2018.9.30.3.651 

  19. Statistics Research Institute, 2022. A study on the?establishment of publication standards for SGIS?grid services by statistical topic. Statistics Research?Institute. 

  20. The Seoul Institute, 2014. National disaster risk to?strengthen disaster response capacity activation?of the prior evaluation system. World & Cities,?7, 26-33. 

  21. Won, M., Jang, K., Yoon, S., and Lee, H., 2019. Change?detection of damaged area and burn severity due?to heat damage from Gangwon large fire area in?2019.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6-2),?1083-1093. https://doi.org/10.7780/kjrs.2019.35.6.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