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Leptin 유전자 결핍 동물모델에서 단호박분말 투여가 지방대사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weet pumpkin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leptin-deficient mice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6 no.5, 2023년, pp.469 - 482  

정인애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  손태상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  전상명 (해남군농업기술센터 농촌자원팀) ,  정현정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  김옥경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ob/ob 마우스를 이용한 비만유발 동물모델에서 단호박분말 투여가 체지방 감소에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6주간 식이를 통해 10% 단호박분말을 투여하였다. 그 결과, 단호박분말과 열처리 단호박분말을 섭취한 ob/ob 마우스에서 식이섭취량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체중과 지방조직 무게가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비만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이상지질혈증을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체중 감소 효능의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지방합성과 지방분해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관찰한 결과, 단호박 분말과 열처리 단호박분말을 섭취한 ob/ob 마우스에서 지방합성 인자들의 활성이 감소되었고, 지방분해에 관련하는 효소의 활성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Fig. 6).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단호박분말 섭취는 비만이 유도된 ob/ob 마우스에서 지방조직의 지방분해 증가와 지방합성 감소를 통해 체중 감소 효능 및 비만에 의한 대사질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Obesity has emerged as a critical global public health concern as it is associated with and increases susceptibility to various diseases. This condition is characterized by the excessive enlargement of adipose tissue, primarily stemming from an inequity between energy intake and expenditure...

Keyword

표/그림 (8)

참고문헌 (30)

  1. Bluher M. Obesity: global epidemiology and pathogenesis. Nat Rev Endocrinol 2019; 15(5): 288-298. 

  2. Kopelman P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2000; 404(6778): 635-643. 

  3. Hruby A, Hu FB. The epidemiology of obesity: a big picture. Pharmacoeconomics 2015; 33(7): 673-689. 

  4. Monteiro R, Azevedo I. Chronic inflammation in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Mediators?Inflamm 2010; 2010: 289645. 

  5. de Ferranti S, Mozaffarian D. The perfect storm: obesity, adipocyte dysfunction, and metabolic?consequences. Clin Chem 2008; 54(6): 945-955. 

  6. Lee JE, Schmidt H, Lai B, Ge K. Transcriptional and epigenomic regulation of adipogenesis. Mol Cell Biol 2019; 39(11): e00601-18. 

  7. Farmer SR. Transcriptional control of adipocyte formation. Cell Metab 2006; 4(4): 263-273. 

  8. Ahmad B, Serpell CJ, Fong IL, Wong EH. Molecular mechanisms of adipogenesis: the anti-adipogenic?role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Front Mol Biosci 2020; 7: 76. 

  9. Che Y, Wang Q, Xiao R, Zhang J, Zhang Y, Gu W, et al. Kudinoside-D, a triterpenoid saponin derived from?Ilex kudingcha suppresses adipogenesis through modulation of the AMPK pathway in 3T3-L1 adipocytes.?Fitoterapia 2018; 125: 208-216. 

  10. Townsend LK, Knuth CM, Wright DC. Cycling our way to fit fat. Physiol Rep 2017; 5(7): e13247. 

  11. Grabner GF, Xie H, Schweiger M, Zechner R. Lipolysis: cellular mechanisms for lipid mobilization from?fat stores. Nat Metab 2021; 3(11): 1445-1465. 

  12. Maqsood S, Adiamo O, Ahmad M, Mudgil P. Bioactive compounds from date fruit and seed as potential?nutraceutical and functional food ingredients. Food Chem 2020; 308: 125522. 

  13. Teng H, Mi Y, Cao H, Chen L. Enzymatic acylation of raspberry anthocyanin: evaluations on its stability?and oxidative stress prevention. Food Chem 2022; 372: 130766. 

  14. Lateh L, Kaewnopparat N, Yuenyongsawad S, Panichayupakaranant P. Enhancing the water-solubility of?curcuminoids-rich extract using a ternary inclusion complex system: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anti-cancer activity. Food Chem 2022; 368: 130827. 

  15. Kim JY, Jeon EB, Song MG, Park SY. Quality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rice-based wine, makgeolli added with sweet pumpkin. J Food Hyg Saf 2021; 36(3): 271-279. 

  16. Jegal JM.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estnut dasik added with pumpkin powder.?Culin Sci Hosp Res 2022; 28(4): 1-10. 

  17. Hwang ES, Park TY. Effect of adding pumpkin-sweet potato powder on cookie quality characteristics,?antioxidant activity, and acrylamide redu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22; 51(12): 1312-1320. 

  18. Lutz TA, Woods SC. Overview of animal models of obesity. Curr Protocols Pharmacol 2012; Chapter 5(5): 61. 

  19. Drel VR, Mashtalir N, Ilnytska O, Shin J, Li F, Lyzogubov VV, et al. The leptin-deficient (ob/ob) mouse: a new?animal model of peripheral neuropathy of type 2 diabetes and obesity. Diabetes 2006; 55(12): 3335-3343. 

  20. Lindstrom P. The physiology of obese-hyperglycemic mice [ob/ob mice]. Sci World J 2007; 7: 666-685. 

  21. Maggio CA, Pi-Sunyer FX. Obesity and type 2 diabetes.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2003; 32(4): 805-822. 

  22. Powell-Wiley TM, Poirier P, Burke LE, Despres JP, Gordon-Larsen P, Lavie CJ, et al. Obesity and?cardiovascular diseas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21; 143(21): e984-e1010. 

  23. Ziemke F, Mantzoros CS. Adiponectin in insulin resistance: lessons from translational research. Am J Clin Nutr 2010; 91(1): 258S-261S. 

  24. Esfahani M, Movahedian A, Baranchi M, Goodarzi MT. Adiponectin: an adipokine with protective?features against metabolic syndrome. Iran J Basic Med Sci 2015; 18(5): 430-442. 

  25. Kawano J, Arora R. The role of adiponectin in obesity,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J Cardiometab Syndr 2009; 4(1): 44-49. 

  26. Kostopoulos CG, Spiroglou SG, Varakis JN, Apostolakis E, Papadaki HH. Adiponectin/T-cadherin and?apelin/APJ expression in human arteries and periadventitial fat: implication of local adipokine signaling?in atherosclerosis? Cardiovasc Pathol 2014; 23(3): 131-138. 

  27. Schwartz MW, Seeley RJ, Zeltser LM, Drewnowski A, Ravussin E, Redman LM, et al. Obesity?pathogenesis: an endocrine society scientific statement. Endocr Rev 2017; 38(4): 267-296. 

  28. Heo SJ, Kim JH, Kim JK, Moon KD. The comparison of food constituents in pumpkin and sweetpumpkin. J Korean Soc Food Cult 1998; 13(2): 91-96. 

  29. Mounien L, Tourniaire F, Landrier JF. Anti-obesity effect of carotenoids: direct impact on adipose tissue?and adipose tissue-driven indirect effects. Nutrients 2019; 11(7): 1562. 

  30. Choi JH, Woo HE, Park JD, Sung JM. Effect of blanching conditions on qualities and nutritional?characteristics of sweet pumpkin. J Korean Soc Food Cult 2021; 36(5): 512-521.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