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인공지능 윤리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AI Ethics Research Trends Using Text Mining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7 no.1, 2023년, pp.23 - 33  

김미영 (광주교육대학교 AI 융합교육전공) ,  박선주 (광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공지능이 가지는 자율성은 인공지능이 단순한 기술이 아닌 윤리를 지닌 존재이어야 하는 당위성을 부여한다. 이는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할수록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학위 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를 통해 국내 인공지능 윤리 연구의 경향성을 파악한 후, 워드 클라우드 시각화, 토픽 모델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국내 인공지능 윤리 연구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인공지능 윤리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이며, 대부분의 연구가 일종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의 인공지능 윤리 연구는 사회 변화에 맞게 다양한 규제를 제시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앞으로의 인공지능 윤리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utonomy of artificial intelligence gives it justification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be an existence with ethics, not just technology.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fact that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develops, various problems regarding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

주제어

참고문헌 (20)

  1. Han, J. Y. & Shin, Y. J. (2020),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Keyword network Crack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Paper, 1(2), 20-33.? 

  2. Han, S. Y. & Kim, T. J. (2022), Analysis of domestic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research trends: Using LDA technique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useful keywords and topics,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study, 281-294? 

  3. Jeong, D. B., Yoo, H. S. & Moon, H. J. (2022), A study on the major issu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keyword analysis: Focusing on KCI-listed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ntents, 22(7), 1-9.? 

  4. Jeong, D. H. & Joo, H. S. (2018), Method of deriving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technology through content analysis based on topic modeling,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5(3), 77-100.? 

  5. Kim, M. H. & Kim, T. J. (2021), Topic analysis of successive agricultural managers using news big data.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Content Society, 22(7), 1143-1152.? 

  6. Kim, M. J. (2017), The need for AI ethics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34(10), 45-54.? 

  7. Kim, S. A. (2021), Direction and tasks of techn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echnology Education, 106-124? 

  8. Kim, Y. H. (2021), Analysis of research topic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cusing on network text analysis, Education innovation research, 197-217? 

  9. Kim, Y. H., & Kim, H. Y. (2021), Analyze trends in moral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using topic model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Moral Education Research 33(4), 115-141.? 

  10. Lim, M. K. (2021),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he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Journal of ethics, 135(1), 47-66.? 

  11. Min, Y. H., Kim, J. Y., & Park, O. N. (2021), Topic model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Analysis of trends in cultural content research, Social Science Research, 32(2), 113-131.? 

  12. Park, G. Y. (2019), Introduction to network analysis techniques using networkx.? 

  13. Park, J. H., & Song, M. (2013), Analysis of domestic literature informatics research trends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0(1), 7-32.? 

  14. Park, J. H. (2021), Analysis of domestic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research trends. Education Research, 3(2), 51-62.? 

  15. Park, Y. H. (2022), DQ Digital Intelligence. GimmYoungSa Press.? 

  16. Seo, H. J., & Kwon, S. A. (2019), Analysis of research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under the theme of edu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1985-2018): Application of language network analysis, Artistic Humanities Social Convergence Multimedia Paper, 9(11), 209-217.? 

  17. Yoo, S. J., & Jang, Y. J. (2021), A study on the eth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mong college students through text mining, Journal of the Society of Information Education, 25(6), 947-960.? 

  18. Chosun Ilbo. The worst crisis Facebook, changed its name to 'Meta' and 'Image Laundry'.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1/10/29/O2EZ5NSXT5HOTAD5IRYTS5FQSM/? 

  19.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ology Dictionary, Text mining. http://terms.tta.or.kr/dictionary/dictionaryView.do?word_seq057929-2? 

  20. Ministry of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use it safely in the field of education,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02&opTypeN&boardSeq922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