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남색이마잠자리 잠재적 서식지 및 미래 분포예측
Predicting the Potential Habitat and Future Distribution of Brachydiplax chalybea flavovittata Ris, 1911 (Odonata: Libellulidae)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5 no.4, 2023년, pp.335 - 344  

권순직 ((주)애일) ,  전영철 ((주)생태자원연구소) ,  권혁영 (에코벅스) ,  황인철 ((주)애일) ,  이창수 (국립생태원 습지연구팀) ,  김태근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 생물지표인 남색이마잠자리(B. chalybea flavovittata)는 우리나라에는 2010년 제주도에서 최초로 관찰되어 기록된 이후 최근 영산강 일대에서 월동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MaxEnt 모델을 이용하여 남색이마잠자리의 잠재적 분포를 예측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지 확산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본 종의 분포 자료는 세계생물다양성정보 기구인 GBIF의 검색 결과를 수집하였으며, 2019년 5월부터 2023년 5월까지 확보된 현장조사 결과를 포함하였다. 또한, 생물기후변수는 WorldClim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잠재적 종 분포예측과 미래 분포예측은 MaxEnt 모델을 사용하였다. 유충은 위도상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33.318096°)부터 경기도 여주시(37.366734°)까지, 경도상 전라남도 진도군(126.054925°)부터 경상남도 양산시(129.016472°)까지 관찰되었다. 본 종의 서식지는 람사르 습지유형 분류체계에 따라 M(permanent rivers, streams, creeks) 유형의 습지가 12개소(50.0%)로 가장 많았으며, Tp(permanent freshwater marshes, pools) 유형이 11개소(45.8%), F(estuarine waters) 유형이 1개소(4.2%)로 분류되었다. 현재 분포지역에 기초하여 MaxEnt 모델을 이용한 잠재적 분포 예측 결과, 기존 서식지 외에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일대가 서식확률이 높았다. 또한, 미래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을 때, 2050년대와 2090년대 분포 가능지역이 넓어져 가까운 미래에 남부 서남해안, 남부 내륙 대구광역시 일대, 동해안 일대로 서식범위가 확장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남색이마잠자리는 가까운 미래에 서식범위를 확장할 가능성이 높게 예측되었는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모니터링을 지속하면서 서식지를 공유하는 토착 자생생물자원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rachydiplax chalybea flavovittata, a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was first observed and recorded at Jeju Island in Korea in 2010. Overwintering was recently confirmed in the Yeongsan River area. This study was aimed to predict the potential distribution patterns for the larvae o...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온도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전역으로 서식범위를 확장할 가능성이 높은 남색이마잠자리의 잠재적 분포를 예측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지 및 분포변화를 파악하여 개체군 이동과 생태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남색이마잠자리에 대한 현재와 미래의 서식범위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후변화 예측을 위한 간접적인 지표로서의 활용 가치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향후 서식지를 공유하는 자생생물자원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온도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전역으로 서식범위를 확장할 가능성이 높은 남색이마잠자리의 잠재적 분포를 예측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지 및 분포변화를 파악하여 개체군 이동과 생태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남색이마잠자리에 대한 현재와 미래의 서식범위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후변화 예측을 위한 간접적인 지표로서의 활용 가치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향후 서식지를 공유하는 자생생물자원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설 설정

  • 즉, SSP1(친환경 성장 발전, Sustainability)과 SSP5(화석연료 의존 발전, Fossil-fueled development)는 빠르고 광범위하게 대기질 개선 정책을 실행하는 경로이고, SSP3(기후변화 취약성장, Regional rivalry)과 SSP4(양극화 성장, Inequality)는 상대적으로 느린 대기질 개선을 가정한 시나리오이다. SSP2(중도성장 경로, Middle of the road)는 대기질 개선이 상당 부분 실행되지만, SSP1과 SSP5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를 가정한다.
  • 대표농도경로(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시나리오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예측하는 미래 추정방식으로 적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사회경제변화를 기준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완화와 노력에 따라 공통사회경제경로(SSPs,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다. 즉, SSP1(친환경 성장 발전, Sustainability)과 SSP5(화석연료 의존 발전, Fossil-fueled development)는 빠르고 광범위하게 대기질 개선 정책을 실행하는 경로이고, SSP3(기후변화 취약성장, Regional rivalry)과 SSP4(양극화 성장, Inequality)는 상대적으로 느린 대기질 개선을 가정한 시나리오이다. SSP2(중도성장 경로, Middle of the road)는 대기질 개선이 상당 부분 실행되지만, SSP1과 SSP5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를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dhikari, P., Kim, H. W., Shin, M. S., Hong, S. H., and?Cho. Y. H. (2022). Potential distribution of the silver?stripped skipper(Leptalina unicolor) and maiden?silvergrass(Miscanthus sinensis) under climate change?in South Korea. Entomological Research, 52(11): pp.?483-492.?[https://doi.org/10.1111/1748-5967.12622]. 

  2. Bean, W. T., Stafford, R., and Brashares, J. S. (2012).?The effects of small sample size and sample bias on?threshold selection and accuracy assessment of?species distribution models. Ecography, 35(3): pp.?193-288.?[https://doi.org/10.1111/j.1600-0587.2011.06545.x]. 

  3. Cho, N. H., Kim, E. S., Lee, B. R., Lim, J. H., Kang, S.?K. (2020). Predi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Pinus densiflora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with?environmental variable using MaxEnt model. J. of?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2(2): pp.?47-56. [https://10.5532/KJAFM.2020.22.2.47]. 

  4. Choi, J. Y., Kim, S. K., Kim, J. C., and Kwon, S. J.?(2020). Habitat preferences and trophic position of?Brachydiplax chalybea flavovittata Ris, 1911?(Insecta: Odonata) larvae in Youngsan River?wetlands of South Korea. Insects, 11(5): pp. 273.?[https://doi:10.3390/insects11050273]. 

  5. Elith, J., Phillips, S. J., Hastie, T., Dudik, M., Chee, Y.?E., and Yates, C. J. (2011). A statistical explanation?of MaxEnt for ecologists. Diversity and distributions,?17(1): pp. 43-57.?[https://doi.org/10.1111/j.1472-4642.2010.00725.x]. 

  6. Farheen, K. S., Reyes, N. J. D. G., Jeon, M. S., Kim, L.?H. (2022). The Status of Ramsar wetlands in India:?A review of ecosystem benefits, threats, and?management strategies. J. of Wetlands Research,?24(2): pp. 123-141.?[https://doi.org/10.17663/JWR.2022.24.2.123] 

  7. Hanley, J. A., and McNeil, B. J. (1982). The meaning?and use of the area under a receiver operating?characteristic (ROC) curve. Radiology, 143(1): pp.?29-36. [https://10.1148/radiology.143.1.7063747]. 

  8. Hedlund, J. S. U., Lv, H., Lehmann, P., Hu, G.,?Anderson, R. C., and Chapman, J. W. (2021).?Unraveling the world's longest non-stop migration:?The Indian ocean crossing of the globe skimmer?dragonfly. Frontiers in Ecology and Evolution, 9:?698128. [https://doi.org/10.3389/fevo.2021.698128]. 

  9. Hernandez, P. A., Graham, C. H., Master, L. L., and?Albert, D. L. (2006). The effect of sample size and?species characteristics on performance of different?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methods. Ecography,?29(5): pp. 773-785.?[https://doi.org/10.1111/j.0906-7590.2006.04700.x] 

  10. Hijmans, R., Cameron, S. E., Parra, J. L., Jones P. G.,?and Jarvis, A. (2005). Very high resolution?interpolated climate surfaces for global land areas.?International J. of Climatology, 25(15): pp.?1965-1978. 

  11. Hong, J. S., Lee, G. S., Park, J. J., Mo, H. H., and Cho,?K. J. (2019). Risk map for the range expansion of?Thrips palmi in Korea under climate change:?Combin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s with land-use?change.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22(3): pp. 666-674.?[https://doi.org/10.1016/j.aspen.2019.04.013]. 

  12. Inoue, K. (2004). Critical species of Odonata in Japan.?IUCN Regional Report. International J. of?Odonatology, 7(2): pp. 311-324.?[https://doi.org/10.1080/13887890.2004.9748219]. 

  13. IPCC. (2022). Summary for Policymakers [H.-O.?Portner, D.C. Roberts, E.S. Poloczanska, K.?Mintenbeck, M. Tignor, A. Alegria, M. Craig, S.?Langsdorf, S. Loschke, V. Moller, A. Okem (eds.)].?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 Adaptation, and?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Panel on Climate Change [H.-O. Portner, D.C.?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Mintenbeck, A. Alegria, M. Craig, S. Langsdorf, S.?Loschke, V. Moller, A. Okem, B. Rama (eds.)].?Cambridge University Press. In Press. 

  14. Ishida, K. (1996). Monograph of Odonata larvae in?Japan. Hokkaido University Press., Sapporo, Japan.?pp. 447. ISBN 4-8329-9631-2 

  15. Jung, K. S. (2007). Odonata of Korea. Ilgongyuksa.?Seoul, Korea. pp. 512. ISBN 978-89-958060-3-6. 

  16. Jung, K. S. (2012). The dragonflies and damselflies of?Korea. Nature and ecology. Seoul, Korea. pp. 400.?ISBN 9788997429028. 

  17. Kang, Y. J., Wang, W. J., Lee, H. N., Lee J. H., Lee. S.?M., Kim, H. S. (2023). A selection methodology of?the appropriate candidate sites of riverine wetlands?for ecological connection. J. of Wetlands Research,?25(2): pp. 111-120.?[https://doi.org/10.17663/JWR.2023.25.2.111]. 

  18. Lee, D. Y., Lee, D. S., Bae, M. J., Hwang, S. J., Noh, S.?Y., Moon, J. S., and Park, Y. S. (2018). Distribution?patterns of Odonate assemblages in relation to?environmental variables in streams of South Korea.?Insects, 9(4): pp. 152.?[https://doi:10.3390/insects9040152]. 

  19. Lee, S. H., Youn, S. Z. (2022). Mechanism of wetland?formation according to interaction of river bed?fluctuation and plant success in the Hangang river?estuary. J. of Wetlands Research, 24(4): pp.?320-330.?[https://doi.org/10.17663/JWR.2022.24.4.320]. 

  20. Maltchik, L., Stenert, C., Kotzian, C. B., and Pires, M.?M. (2010). Responses of odonate communities to?environmental factors in southern Brazil wetlands. J.?of the Kansas Entomological Society, 83(3): pp.?208-220. 

  21. Namgung, H. B., Kim, M. J., Baek, S. H., Lee, J. H., and?Kim, H. J. (2020). Predicting potential current?distribution of Lycorma delicatula(Hemiptera:?Fulgoridae) using MaxEnt model in South Korea. J.?of Asia-Pacific Entomology, 23(2): pp. 291-297.?[https://doi.org/10.1016/j.aspen.2020.01.009]. 

  22.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2).?Biodiversity of the Korean Peninsula.?[https://species.nibr.go.kr]. 

  23.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2022). National?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Version?2023-03-27). [https://kbr.go.kr]. 

  24. Paulson, D., Schorr, M., Abbott, J., Bota-Sierra, C.,?Deliry, C., Dijkstra, K.-D., and Lozano, F. (2023).?The World Odonata List. In O. Banki, Y. Roskov,?M. Doring, G. Ower, D. R. Hernandez Robles, C. A.?Plata Corredor, T. Stjernegaard Jeppesen, A. Orn, L.?Vandepitte, D. Hobern, P. Schalk, R. E. DeWalt, K.?Ma, J. Miller, T. Orrell, R. Aalbu, J. Abbott, R.?Adlard, E. M. Adriaenssens, et al., Catalogue of Life?Checklist (Version 2023-10-04).?[https://doi.org/10.48580/df7lv-75rv]. 

  25. Phillips, S. J., Anderson, R. P., and Schapire, R. E..?(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190(3-4): pp. 231-259.?[https://doi:10.1016/j.ecolmodel.2005.03.026]. 

  26. Phillips, S. J., Anderson, R. P., Dudik, M., Schapire, R.?E., and Blair, M. E. (2017) Opening the black box:?an open-source release of Maxent. Ecography,?40(7): pp. 887-893 

  27. Ramsar (2016). Ramsar handbooks 5th edition. pp. 107.?[https://www.ramsar.org]. 

  28. Shin, M. S., Kim, T. G., and Cho, Y. H. (2022).?Prediction of climate change effects on the?potential distribution of cycad blue butterfly?(Luthrodes pandava) in South Korea.?Entomological Research, 52(12): pp. 522-531. 

  29. Sung, C. Y., Shin, H. T., Choi, S. H., and Song, H. S.?(2018). Predicting potential habitat for Hanabusaya?Asiatica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border?region using MaxEnt. Korean J. Environ. Ecol.,?32(5): pp. 469-477.?[https://doi.org/10.13047/KJEE.2018.32.5.46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