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등 과학교사들이 생각하는 과학기술 관련 위험교육 실태와 교육 요구
Risk Education and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A Study o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4 no.1, 2024년, pp.57 - 75  

김진희 (춘천교육대학교) ,  나지연 (춘천교육대학교) ,  정용욱 (경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등 과학교사들이 생각하는 과학기술 관련 위험교육 실태와 교육 요구를 조사하고자 총 366명의 중등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기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위험지각, 위험평가, 위험관리 측면에서 교육해 본 적이 있는 교사보다 그렇지 않은 교사들이 더 많았다. 교사들이 지도해 본 위험으로는 지구온난화가 가장 많았으며, 지진, 인공지능, 교통사고가 그다음으로 많이 다루어졌다. 둘째, 교사들은 자신이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과학기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인식하였으나 가르칠 준비는 되어 있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위험관리, 위험평가보다 위험지각에 대한 자신들의 이해도가 높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교사들이 받은 위험에 대한 연수 경험은 매우 적었으며 위험지각에 비해 위험평가와 위험관리에 대한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의 수가 더 적었다. 교사들이 경험한 연수로는 실험실 안전교육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교사들은 위험교육의 10가지 목표에 대한 자신들의 역량이 높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중학교 교사, 통합과학교육 전공 교사의 경우 상대적으로 자신들의 역량을 높이 평가하였다. 여섯째, 다수의 교사들이 학교 과학교육에서 위험을 다루는 것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정보 활용, 의사 결정 역량, 대중매체의 영향평가 순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실천역량, 정보활용, 위험특성영향평가 순으로 교육이 시급하다고 응답하였다. 일곱째, 위험교육의 10가지 목표별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를 도출한 결과, 실천역량, 위험특성의 영향평가, 위험평가방법에 대한 평가가 각각 1, 2, 3위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educational needs of risk education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as perceived by secondary science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66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ore teachers w...

주제어

표/그림 (24)

참고문헌 (34)

  1. Bardsley, D. K. (2007). Education for all in a global era? The social justice?of Australian secondary school education in a risk society. Journal?of Education Policy 22, 493-508.? 

  2. Bardsley, D. K. (2017). Too much, too young? Teachers' opinions of risk?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geography. International Research in?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6(1), 36-53.? 

  3. Beck, N. (2019). Risikogesellschaft: Auf dem weg in eine andere?moderne(Hong, S., Trans.). Seoul: Saemulgyeol. (Original work published?1986)? 

  4. Borich, G.(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39-42.? 

  5. Brundl, M., Romang, H. E., Bischof, N., & Rheinberger, C. M. (2009). The?risk concept and its application in natural hazard risk management?in Switzerland.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9(3),?801-813.? 

  6. Clare, C. (2009). Risk and school science education. Studies in Science?Education, 45(2), 205-223.? 

  7. Health and Safety Executive (2022). Risk education. Retrieved May 27, 2022,?from https://www.hse.gov.uk/education/index.htm? 

  8.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3). Climate change 2013:?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change(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rans.). Retrieved?December 27, 2018, from http://www.climate.go.kr/home/bbs/view.php?code94&bnameclimatereport&vcode6226&cpage2&vNum14&skind&sword&category1&category2? 

  9.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8). Summary for?policymakers. In: Global warming of 1.5℃(Korea Meteorological?Administration, Trans.). Retrieved October 11, 2022, from http://www.climate.go.kr/home/bbs/view.php?code94&bnameclimatereport&vcode6244&cpage1&vNum20&skind&sword&category1&category2? 

  10. ISO (2018). Risk management-Guidelines? 

  11. Ju, Y., & Yu, M. (2016). Risk society and risk perception. Seoul:?Communication Books.? 

  12. Kim, J., Gu, H., Yoon, H., Jo, Y., & Hong, D. (2021). Safety education?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Basic task?2020-02, Seoul: Sungshin Women's University School Safety Research?Institute.? 

  13. Lee, J., & Kim, H. (2005). Changes in risk structure in Korean society.?05-32.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14.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expanded sourcebook (2nd ed.). NY: Sage Publications.? 

  15.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No. 2015-74.?Sejong: Ministry?of Education. 

  16. Ministry of Education. (2021). The general framework of the 2022 revised?curriculum (draft).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 November 24,?2021). Sejong: Ministry?of Education. 

  17. Manez, M., Carmona, M., Haro, D., & Hanger, S. (2016). Risk perception.?Novel Multi-Sector Partnerships in Disaster Risk Management. Results?of the ENHANCE project, 3, 51-67.? 

  18. Ministry of Education. (2022).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No. 2022-09.?Sejong: Ministry?of Education. 

  19. Moe, T. L., & Pathranarakul, P. (2006). An integrated approach to natural?disaster management: Public project management and its critical?success factors. Disas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15(3), 396-413.? 

  20. Nara, Y., & Sata, T. (2016). Construction of the practical model and learning?program for risk literacy of everyday life: Based on students'?awareness. Procedia Computer Science, 96, 1258-1266.? 

  21.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Position?Paper? 

  22. Porter (2005). Evaluation of the risk education website for secondary-aged?students, HSE BOOKS.? 

  23. Ryu, H. (2013). A study on risk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via social?media. KIPA research paper 2013-25. Seoul: The Korea Institute Of?Public Administration.? 

  24. Schenk, L., Hamza, K. M., Enghag, M., Lundegard, I., Arvanitis, L.,?Haglund, K., & Wojcik, A. (2019). Teaching and discussing about?risk: Seven elements of potential significance for science education.?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9), 1271-1286.? 

  25. Schneiderbauer, S., & Ehrlich, D. (2004). Risk, Hazard and People's?Vulnerability to Natural Hazards: a Review of Definitions, Concepts?and Data. Joint Research Centre, European Commission. Brussels,?Belgium.? 

  26.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Song, K., Trans.). Seoul:?New present; Megastudy 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16).? 

  27. Shearn, P. (2004). Teaching practice in risk education for 5-16 year olds.?Report Number HSL/2005/23. Health and Safety Laboratory. Retrieved?June 10, 2023 from https://dera.ioe.ac.uk/id/eprint/12341.? 

  28. Shearn, P., & Weyman, A. (2004). Risk education provision: A survey of?schools in England, Scotland and Wales. Health and Safety Laboratory.? 

  29. Society for Risk Analysis (SRA) (2015). Society for Risk Analysis Glossary 

  30. Song, J., Kang, S. J., Kwak, Y., Kim, D., Kim, S., Na, J., ... & Joung,?Y. J. (2019). Contents and features of 'Korean Science Education?Standards (KSES)' for the next 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3), 465-478.? 

  3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The world health report 2002: Reducing?risks, promoting healthy life.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Organization.? 

  32. World Economic Forum. (2017). The global risks report 2017. Retrieved?December 27, 2018, from https://www.weforum.org/reports/ the-global-risks-report-2017 

  33. World Economic Forum. (2023). The global risks report 2023, 18th Edition,?insight report. World Economic Forum. Retrieved October 10, 2023,?from https://www.weforum.org/reports/global-risks-report-2023?gad_source1&gclidCjwKCAjwp8OpBhAFEiwAG7NaEmBg8l1uXJYKol68YL58p-Lk3_x1Th-zZCqfmbk0THitIAdjuUD92BoCYrAQAvD_BwE? 

  34. Zint, M., & Peyton, R. B. (2001). Improving risk education in grades 6-12:?a needs assessment of Michigan, Ohio, and Wisconsin Science?Teacher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2(2), 46-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