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분석 - 루브릭 평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University Library Development Plan: Focused on Rubric Evaluation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5 no.1, 2024년, pp.99 - 122  

전선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이용재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을 분석하여 핵심 구성요소를 반영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대학도서관발전계획 수립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외국 대학 및 도서관 평가 관련 연구를 통해 도출된 루브릭(Rubric) 평가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QS 세계대학평가 및 THE 세계대학평가를 참고하여 국내 상위 15개 대학의 도서관을 선정하고, 발전계획의 핵심 구성요소를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을 평가한 결과, 구성요소 중 '목적', '목표', '실행계획'의 내용을 대부분 반영하고 있었으나 '사명', '비전'에 취약점이 나타났다. 둘째, 일부 사립대학 도서관은 핵심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여 선진국 수준의 전략적 계획 차원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셋째, '목적'을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에서 명시하고 있었지만, 형식적인 기술과 연계성으로 한계를 보였다. 종합적인 평가에서는 최고점 15점 중 양호 12곳, 미흡 3곳으로 국내 대학도서관들의 발전계획은 대체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테스크포스 구성', '발전계획 공개 및 홍보', '사서 대상 발전계획 교육 강화'를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academic library development plans, check whether key components are reflected, and seek ways to improve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library development plans. To this end, a rubric evaluation technique derived from research related to evaluation of...

주제어

참고문헌 (20)

  1. Chang, Durk-Hyun (2019). Perceived effects and tasks of library strategic plans of universities?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3(4),?213-230. https://doi.org/10.4275/KSLIS.2019.53.4.213 

  2. Choi, Ye-Jin, Kim, Chohae & Lee, Jee-Yeon (2023). Trend analysis of foreign academic?libraries'development pl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40(3), 163-196. https://doi.org/10.3743/KOSIM.2023.40.3.163 

  3. Kim, Nam-Suk, Kim, Seon-mi, Gim, Seung-hwan, Suh, Su-hwan, You, Wansik, & Jeong,?Hye-mi (2013). Presentation on strategic planning model to strengthen academic?library's management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rivate University?Libraries, 43, 1-33. 

  4. Lee, Jae-Won (2019). A study of policy and agenda adoption trends of university library?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3(3),?83-99. https://doi.org/10.4275/KSLIS.2019.53.3.083 

  5. Lee, Yong-Jae (2015).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trategic plan of academic libraries:?focused on the cases of national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551-574.?https://doi.org/10.16981/KLISS.46.4.201512.551 

  6. Lee, Yong-Jae (2017). A comparative study on development plans and strategic plans?of academic libraries in Korea and oversea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61-66. https://doi.org/10.14400/JDC.2017.15.11.61 

  7. Lee, Yong-Jae (2021). Library Management Strategy and Marketing. Seoul: CRbooks.? 

  8. Lee, Yong-Jae, Jeon, Sun-Gu, & Jeong, Jin-Gyeong (2023). A study on librarians'?perception about the current status and establishment of academic library?development pla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4(4), 331-350. http://dx.doi.org/10.14699/kbiblia.2023.34.4.331 

  9. Rinfo (2024, January 28.). Academic information statistics system. Available:?http://www.rinfo.kr/ 

  10. University Library Act. No. 18547. 

  11. University Library Promotion Act No. 18547. 

  12. Yang, Hee-Mo & Hwang, Seon-Young (2014). Development of clinical scenarios and?rubrics for a program outcome-based evaluation for students' adult health nursing?practic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6(6), 653-667.?https://doi.org/10.7475/kjan.2014.26.6.653 

  13. Brown, W. A. & Gonzalez, B. A. B. (2007). Academic libraries: should strategic panning?be renewed?. Technical Services Quarterly, 24(3), 1-14. 

  14. Buchanan, S. & Cousins, F. (2012). Evaluating the strategic plans of public libraries: an?inspection-based approach.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 125-130. 

  15. Chance, S. & Williams, B. T. (2009). Assessing university strategic plans: a tool for?consideration. Educational Planning, 18(1), 38-54. 

  16. Pacios, A. R. (2004). Strategic plans and long-range plans: is there a difference?. Library?Management, 25(6/7), 259-269. 

  17. Redd, R. T., Sims, A., & Weekes, T. (2020). Framework for change: creating a diversity?strategic plan within an academic library.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60(3),?263-281. https://doi.org/10.1080/01930826.2019.1698920 

  18. Sanches, T. (2018). Shrink to fit or prune to strengthen: adapting the strategic plan in?an academic library as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 New Review of Academic?Librarianship, 24(3-4), 310-325. https://doi.org/10.1080/13614533.2018.1501714 

  19. Saunders, L. (2016). Room for improvement: priorities in academic libraries' strategic plans.?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56(1), 1-16.?https://doi.org/10.1080/01930826.2015.1105029 

  20. Walter, S. (2018). Communicating value through strategic engagement: promoting?awareness of the "value of libraries" through alignment across academic, student,?and administrative affairs. Library Management, 39(3/4), 154-165.?https://doi.org/10.1108/LM-09-2017-009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