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분석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of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3 no.2, 2024년, pp.284 - 300  

박기락 (신가중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진술을 분석하여 곧 적용될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해 초등학교 전체 성취기준의 진술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기준의 진술이 특정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차원에 편중되어 있다. 이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와 과학과의 교수·학습 방향에 부합하지 못하므로 다양한 유형의 활동과 탐구 학습이 가능한 성취기준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학년군별 지식 수준과 인지 수준의 위계화가 필요하다. 상위 학년군에서 오히려 하위 지식·인지과정 차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였으므로 체계적인 위계화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성취기준 서술어를 다양하게 사용할 필요가 있다. 특정 서술어에 의존하는 경향은 이전 교육과정보다 줄었지만, 한두 차례만 사용한 서술어가 절반 정도를 차지하므로 다양한 서술어를 균형 있게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성취기준에 반영하도록 성취기준 진술의 설계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로 과학 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 요소를 고려하여 초등학교 과학 교육에 적절한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 탐색 및 과학과 전체 교육과정의 위계성과 연속성 분석을 위한 중·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lucidates the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to identify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upcoming curriculum. Therefor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statements of the overall elementary school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

주제어

참고문헌 (36)

  1. 강경희(2023).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 영역 성취기준 비교. 교육과정평가연구, 26(3), 103-119. 

  2. 고희령(2012). 성취수준과 성취기준에 따른 중학교 3학년 과학과 자극과 반응 단원 지필평가 문항 분석. 교육연구, 54, 45-65. 

  3. 교육부(2022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 세종: 교육부. 

  4. 교육부(2022b).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9]. 세종: 교육부. 

  5. 김명정(2015). 핵심 성취기준에 따른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논리-사회과 법교육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47(2), 1-28. 

  6. 김영신, 권형석(2016).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개념과 성취 기준 추출 개념의 연계성 비교 연구-생명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5(3), 377-387. 

  7. 김은주, 이진숙, 이훤, 김대현(2016).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6), 911-923. 

  8.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2002). 과학교육학개론. 서울: 북스힐. 

  9. 김현미, 신항균(2019).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변화 분석: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3(4), 437-457. 

  10. 김형미, 강경희(2019).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에 기초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 I] 성취기준과 교과서 학습목표 분석. 생물교육, 47(4), 438-447. 

  11. 나지연, 윤혜경, 김미정(2015).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사용지도서 목표 간의 비교 분석-2009 개정 교육과정 3~4학년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4(2), 183-193. 

  12. 류상희(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의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0(2), 111-125. 

  13. 박경숙, 이혜숙, 서유선, 김영신(2006). Bloom의 신교육 목표 분류틀에 기초한 중학교 생물 영역의 목표 분류. 생물교육, 34(3), 365-376. 

  14. 박나무(2016). 제7차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리 부분 성취기준 비교 분석: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와 과학과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광주. 

  15. 박재근(2017).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탐구 활동 변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36(1), 43-60. 

  16. 서영진(2013).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46, 415-450. 

  17. 송은정, 제민경, 차경미, 유준희(2016).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 분석-TIMSS 인지적 영역 평가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607-616. 

  18. 윤지훈(2012).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적용 방안-영역 성취수준과 학기 성취수준을 중심으로. 한자한문교육, 1(29), 441-468. 

  19. 위수민, 김보경, 조현준, 손정주, 오창호(2011). Bloom의 신교육 목표 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과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체계 비교. 초등과학교육, 30(1), 10-21. 

  20. 이경화, 이향근(2010).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의 비판적 검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3), 287-311. 

  21. 이소연(2017).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경제 영역성취기준 진술 분석. 시민교육연구, 49(1), 93-112. 

  22. 이수진(2023). 2022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디지털 시민성 분석. 사회과교육연구, 30(1), 1-17. 

  23. 이혜숙, 김영신(2008). 제7차 초, 중등 생물 교육과정의 수업 목표 분석-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생물교육, 36(1), 52-62. 

  24. 임청환(2008). 새로운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7차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과학.수학교육연구, 31, 1-14. 

  25. 조창현, 최원호(2017).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단원평가문항 분석. 교육연구논총, 38(1), 29-39. 

  26. 조헌국, 노현아, 최재혁(2023).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에너지 관련 성취기준에 대한 네트워크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3(2), 125-136. 

  27. 진의남, 고인규(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기술의 세계' 분야의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실과교육연구, 23(1), 19-34. 

  28. 천주영, 이성민, 홍훈기(2017).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7), 551-573. 

  29. 최정순, 설규주(2014).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및 구조 분석: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경제영역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53(2), 1-19. 

  30. 최정인, 백성혜(2015).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277-288. 

  31. 최정임(2002).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 1의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 개발: 상태 변화와 에너지, 소화와 순환 영역을 중심으로. 이화교육논총, 12, 35-54. 

  32. Anderson, L. W., & Krathwohl, D. R.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Upper Saddle Rivere, NJ: Addison Wesley Longman Inc.. 

  33. Forehand, M. (2005). Bloom's Taxonomy: Original and Revised. Emerging Perspectives on Learning, Teaching, and Technology, 8, 41-44. 

  34. Gagne, M. (1977). Gilles Vigneault: Bibliographie descriptive et critique, discographie, filmographie, iconographie, chronologie. Quebec City: Presses Universite Laval. 

  35. Krathwohl, D. R. (2002).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4), 212-218. 

  36. Marzano, R. J., & Kendall, J. S. (Eds.). (2008). Designing and Assessing Educational Objectives: Applying the New Taxonomy.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