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 interdisciplinary education, v.4 no.1, 2024년, pp.85 - 111
김영환 (부산대학교) , 김영민 (부산대학교) , 김현수 (부산대학교) , 노지화 (부산대학교) , (부산대학교) , 박창언 (부산대학교) , 김은지 (핀란드 Tampere대학교) , 배진희 (예수대학교) , 손미 (부산교육대학교) , 정주훈 (부산대학교) , 이채영 (부산대학교)
Since the release of the 2000 PISA results, Finland's education has consistently been regarded as a competitor or benchmark for South Korea's educational system. However, recent indicators of division, opposition, and discontent within our educational sphere suggest a considerable departure from Fin...
강경희, 전홍주(2013). 스웨덴, 영국, 프랑스, 핀란드, 한국의 양육지원정책 변화 분석: 현금지원 정책, 보육시설서비스 정책, 조세혜택 정책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7(6), 283-304
권다은(2023). PISA 전후 우리나라의 교육 참조 국가 변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719-730
권미선(2023). 핀란드 1~2학년 초등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수학적 요소 분석, 학교수학, 25(3), 385-406.
권충훈, 김훈희(2009). 핀란드 교육의 성공 요인 분석과 논의. 교육사상연구, 23(30), 55-84.
김대석, 홍후조. (2010). 학교 과학교육과정이 과학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 측정: 한국과 핀란드의 PISA 2006 과학영역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8(1), 87-112.
김병찬(2011). 핀란드의 대학 교육활동 재정지원 사업의 특징과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4(1),?53-84.
김병찬(2015). 핀란드 교사교육 연구 동향 고찰. 한국교육학연구, 21(2), 249-277.
김선희(2014).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외국 교육과정의 탐색 일본, 대만, 홍콩,?핀란드, 중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4(4), 481-498.
김영환(2018). ICT 적용 교육혁신 연구들의 역대 정부별 연구주제 변화 동향분석: 18년간,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8(4), 239-264
김영환(2019). 국내 혁신학교 관련 연구주제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5(6),?113-132.
김영환(2021). 인공지능교육 관련 연구주제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1(4), 197-217.
김영환, 이승민, 배혜림, 손미(2019). 교육혁신관련 연구주제 변화 동향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9(1), 91-116
김영환, 정현숙(2014). 핀란드의 영어교육환경의 현황 및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4(6), 273-295.
김원경, 김가람(2019). 시각적 사고와 디자인 사고의 창의융합교육 적용 연구 - 우리나라.핀란드?수학교과서 시각요소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6), 127-138.
김유정, 홍훈기(2019). 한국과 핀란드의 고등학교 내신평가체제 비교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22(1). 77-100.
김은지(2023, 1월 17일). 핀란드 역량교육의 운영 실태와 성과,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https://21erick.org/column/9528/
김인옥, 박지희. (2017). 면담과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한 핀란드 영어교육의 시사점. 언어학 연구, 42, 289-310.
김정현(2014). 핀란드의 기초교육법과 교육제도, 공법연구, 42(4), 201-226
김하영(2020). 해외사례를 통한 국내 학교폭력 예방대책 탐색 : 노르웨이, 캐나다, 핀란드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32(1), 555-564.
도미향(2013). 핀란드의 보육 및 육아지원정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코칭연구, 6(1), 91-108.
박창언(2023). 새로운 교육과정-제도적 과정의 분석. 서울: 학지사.
박현정(2008). 학습동기, 자아개념, 학업성취간 관계의 집단간 동등성 분석-PISA 2006을 중심으로.?교육평가연구, 21(3), 43-67.
방정숙, 김유경(2017). 한국, 일본, 홍콩, 핀란드, 싱가포르 초등 수학 교과서의 합동과 대칭에 대한 비교.분석, 수학교육, 56(3), 235-255.
서현수(2021). 핀란드 복지국가의 과거, 현재, 미래: 정치제도, 복지체제, 교육정책의 연계와 다이내믹을 중심으로, 스칸디나비아 연구, 28, 97-139
서현수(2023). 역량 중심 복지국가와 교육혁신 4.0: 핀란드 교육개혁 모델의 특징과 함의, 스칸디나비아 연구, 31, 1-44
서현수, 최한수(2020). 보편적 복지국가에서 보편적 기본소득으로? 핀란드 기본소득 정책 실험의?최종 결과와 함의, 스칸디나비아연구, 26, 1-45
성기선, 김준엽(2010). 고등학생들의 사교육 참여 시간과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 비교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0(1), 103-126.
성열관(2009). 핀란드는 어떻게 '핀란드식' 교육정책을 형성하게 되었는가?: 글로벌 거버넌스와 일국의 차용방식, 비교교육연구, 29(6), 55-82
손미, 정주훈, 김영환(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역대 정부별 연구주제 변화 동향 분석: 20년간,?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적용하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2(1), 31-53
신문승(2011). 핀란드 종합학교 교육의 성공요인과 시사점, 통합교육과정연구, 5(2), 127-149
신문승(2018). 싱가포르와 핀란드의 수월성 교육 체제비교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6(4), 29-51.
유경훈, 임종헌, 김병찬(2017). 핀란드 교육개혁의 특징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구 안암교육학연구), 23(1), 319-352.
윤승희(2015). 핀란드와 노르웨이의 양육수당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4. 1-24
윤유진(2009). 핀란드의 영어교육과정 연구. 한국교육논총 (구 교육연구논총), 30(1), 61-73.
이경남(2022). 우리나라의 기초학력으로서 문해력 지원 정책 현황 분석과 시사점. 새국어교육,?133, 327-356.
이소영, 노석구(2014). 우리나라 2009 개정 초등 과학교육과정과 핀란드 초등 과학교육과정 비교?분석. 초등과학교육, 33(3), 491-509.
이수상(2014).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4),?49-68.
이인화, 구남욱(2019). PISA 2015 읽기 영역 결과에 나타난 한국 학생들의 성취 특성 및 교육맥락변인의 영향력 분석 연구. 독서연구, 50, 113-144.
이진경(2023). 한국과 핀란드의 중학교 영어 교과서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5),?383-400.
이현지, 이동주(2022).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과 핀란드의 대학입학시험읽기 지문 난이도 비교 연구. 영어교과교육, 21(3), 183-203.
임미나(2021). 핀란드 학교폭력 회복적 조정 프로그램 현황과 한국 교육에 주는 시사점. 이화젠더법학, 13(2), 135-170.
임해미, 이현정, 김성숙(2016). 우리나라, 싱가포르, 일본, 핀란드의 PISA 2012 수학 성취와 교육맥락변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0(2), 97-110.
임해미, 한정아(2016). 우리나라, 싱가포르, 핀란드의 PISA 2012 수학에서의 성차에 대한 교육맥락변인 영향력 비교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2), 189-204.
전하람, 이경양, 임은희, 윤민주(2021). 성인의 학습준비도와 청소년기 학습흥미도 간의 관계 국제?비교: PIAAC과 PISA의 활용, 한국교육문제연구, 39(4), 195-218.
정경화(2020) 세상에서 제일 우울한 동네 핀란드가 천국을 만드는 법. 서울: 틈새책방.
정혜원, 박소영, 김정인, 김아름(2021). 청소년의 읽기 소양과 삶의 만족도의 영향변인 탐색: PISA?2018 한국 핀란드 국제비교. 교육과정평가연구, 24(1), 123-152.
조덕주.이경희(2013). 한국과 핀란드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 분석. 비교교육연구, 23(3).?177-206.
조문주(2011). 한국과 핀란드 수학교과서 삽화의 다문화적 내용 비교분석, 다문화교육, 2(1),?57-78.
채희인, 노석구(2015). 범교과적 핵심역량과 과학 핵심역량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연구 동향의 네트워크적 분석. 교과교육연구, 15(7), 23-40.
최은, 권오남(2020). 한국, 호주, 핀란드의 수학 교과서에서 삼각법 영역 비교. 수학교육논문집.?34(3). 393-419.
최혁준(2015). 한국, 일본, 핀란드의 PISA 2012 과학 결과 비교. 교원교육, 31(3), 379-399.
한유경, 박주형, 엄수정, 곽예린(2020). 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 대책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 영국, 프랑스, 독일, 핀란드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30(3), 25-56.
홍승아(2011). 양육수당제도의 젠더효과에 관한 연구 핀란드 가정양육수당제도를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31, 85-119
Aho, E., Pitkanen, K. & Sahlberg, P. (2010). 에르끼 아호의 핀란드 교육개혁보고서 (김선희, 옮김), 서울: 한울림. (원서출판 2009).
Park, H. W., & Leydesdorff, L. (2004).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Sahlberg, P. (2011). Finnish Lessons. What Can the World Learn from Educational Change in?Finland?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Sahlberg, P. (2016). 핀란드의 끝없는 도전 (이은진, 옮김), 서울: 푸른숲. (원서출판 2011).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