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형 및 행동 습관 관련 50개 SNP 마커 분석을 위한 targeted amplicon next-generation sequencing 패널 개발
Development of targeted amplicon next-generation sequencing panel of 50 SNPs related to externally visibl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37 no.3, 2024년, pp.189 - 199  

박희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유전자과) ,  노윤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유전자과) ,  김응수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유전자과) ,  박현철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유전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법유전학에서 개인의 신원확인을 위한 STR 프로필 분석이 불가한 경우, DNA를 이용한 외형추정특성을 이용하여 개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최근 눈동자, 머리카락, 피부 색과 같은 외형추정특성을 확인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지만, 이러한 외형추정특성 정보만 가지고는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외형과 관련된 표현형을 수사정보로서 활용하기 위해 눈 모양, 머리카락 굵기, 피부 색 뿐만 아니라 탈모, 체형, 고도근시, 얼굴모양, 여드름, 행동습관과 관련된 SNP를 탐색하였다. 이들 표현형과 관련된 50개의 SNP를 선정하여 한 번에 증폭할 수 있는 targeted amplicon NGS 방식의 multiplex PCR 패널을 개발하였다. 실험 결과 14개 샘플에서 50개 SNP의 대립유전자 유형과 빈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본 패널을 가지고 더 많은 샘플을 이용하여 유전형과 표현형 간 연관성 확인 및 결과 해석 방법을 분석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forensic genetics, when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an individual's identity through STR profile analysi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individual can be obtained using DNA-based phenotypic traits estimation. Recently,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methods to determine externall...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법과학 시료에서 외형 예측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표현형을 구체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외형 관련 SNP 마커를 찾고, SNP 마커의 분석을 통한 외형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법과학 시료에 적용 가능한 외형 추정 및 행동 습관 관련된 SNP를 선별하고, 선별된 다수의 SNP 마커를 NGS 기반으로 분석하기 위한 패널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법과학 시료의 분석을 위한 50개의 외형 추정 및 행동 습관 관련 SNP를 선별하였고, targeted amplicon NGS 방법을 이용하여 각 SNP의 유전형을 확인할 수 있는 NGS 패널을 개발하였다. 본 실험 기법은 DNA의 양이 적거나 고도로 분해되어 STR 분석이 어려운 시료에서 효과적으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어 개인을 추정하는 데 법과학적인 증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J. M. Butler, M. D. Coble, and P. M. Vallone, Forensic Sci. Med. Pathol., 3, 200-205 (2007). https://doi.org/10.1007/s12024-007-0018-1? 

  2. R. Thompson, S. Zoppis, and B. McCord, Methods Mol. Biol., 830, 3-16 (2012). https://doi.org/10.1007/978-1-61779-461-2_1? 

  3. M. Kayser and P. M. Schneider, Forensic Sci. Int. Genet., 3(3), 154-161 (2009). https://doi.org/10.1016/j.fsigen.2009.01.012? 

  4. P. M. Schneider, B. Prainsack, and M. Kayser, Dtsch Arztebl Int., 51-52(51-52), 873-880 (2019). https://doi.org/10.3238/arztebl.2019.0873? 

  5. M. Kayser, Forensic Sci. Int. Genet., 18, 33-48 (2015). https://doi.org/10.1016/j.fsigen.2015.02.003? 

  6. M. Kayser and P. Knijff, Nat. Rev. Genet., 12, 179-192 (2011). https://doi.org/10.1038/nrg2952? 

  7. B. Sobrino and A. Carracedo, Methods Mol. Biol., 297, 107-126 (2005). https://doi.org/10.1385/1-59259-867-6:107? 

  8. M. Kowalczyk, E. Zawadzka, D. Szewczuk, M. Gryzinska, and A. Jakubczak, Med. Sci. Law, 58(4), 201- 209 (2018). https://doi.org/10.1177/0025802418803852? 

  9. H. J. Seo, S. H. Cho, J. H. Lee, S. H. Lyoo, M. Y. Kim, and S. D. Lee, Korean J. Leg. Med., 14, 23-31 (2017). https://doi.org/10.7580/kjlm.2017.41.2.23? 

  10. P. M. Schneider, B. Prainsack, and M. Kayser, Dtsch Arztebl. Int., 116(51-52), 873-880 (2019). https://doi.org/10.3238/arztebl.2019.0873? 

  11. R. A. Strum, Hum. Mol. Genet., 18(R1), R9-R17 (2009). https://doi.org/10.1093/hmg/ddp003? 

  12. S. Walsh, F. Liu, A. Wollstein, L. Kovatsi, A. Ralf, A. Kosiniak-Kamysz, W. Branicki, and M. Kayser, Forensic Sci. Int. Genet., 7(1), 98-115 (2013). https://doi.org/10.1016/j.fsigen.2012.07.005? 

  13. L. Chaitanya, et al., Forensic Sci. Int. Genet., 35, 123- 135 (2018). https://doi.org/10.1016/j.fsigen.2018.04.004? 

  14. S. Cha, et al., BMC Genomics, 19, 481 (2018). https://doi.org/10.1186/s12864-018-4865-9? 

  15. F. Liu, et al., PLoS Genet., 8, e1002932 (2012). https://doi.org/10.1371/journal.pgen.1002932? 

  16. L. Paternoster, et al., Am. J. Hum. Genet., 90(3), 478-485 (2012). https://doi.org/10.1016/j.ajhg.2011.12.021? 

  17. M. K. Lee, J. R. Shaffer, E. J. Leslie, E. Orlova, J. Carlson, E. Feingold, M. L Marazita, and S. M. Weiner, PLoS One, 12, e0176566 (2017).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76566? 

  18. A. Fujimoto et al., Hum. Mol. Genet., 17(6), 835-843 (2008). https://doi.org/10.1093/hmg/ddm355? 

  19. A. Fujimoto et al., J. Hum. Genet., 54, 461-465 (2009). https://doi.org/10.1038/jhg.2009.61? 

  20. J. B. Richards et al., Nat. Genet., 40(11), 1282-1284 (2008). https://doi.org/10.1038/ng.255? 

  21. L. Petukhova et al., Nature, 466(7302), 113-117 (2010), https://10.1038/nature09114? 

  22. K. K. G. John, et al., J. Invest. Dermatol., 131(5), 1169-1172 (2011). https://doi.org/10.1038/jid.2010.427? 

  23. R. Li, et al., PLoS Genet., 8, e1002746 (2012). https://doi.org/10.1371/journal.pgen.1002746? 

  24. S. P. Hagenaars, W. D. Hill, S. E. Harris, S. J. Ritchie, G. Davies, D. C. Liewald, C. R. Gale, D. J. Porteous, I. J. Deary, and R. E. Marioni, PLoS Genet., 13(2), e1006594 (2017). https://doi.org/10.1371/journal.pgen.1006594? 

  25. C. J Willer et al., Nat. Genet., 41(1), 25-34 (2009). https://doi.org/10.1038/ng.287? 

  26. S. I. Berndt et al., Nat. Genet., 45, 501-512 (2013). https://doi.org/10.1038/ng.2606? 

  27. D. Shungin et al., Nature, 518, 187-196 (2015). https://doi.org/10.1038/nature14132? 

  28. C. C. Khor et al., Hum. Mol. Genet., 22(25), 5288-5294 (2013). https://doi.org/10.1093/hmg/ddt385? 

  29. V. J. M. Verhoeven et al., Nat. Genet., 45(3), 314-318 (2013). https://doi.org/10.1038/ng.2554? 

  30. C. Petridis et al., Nat. Commun., 9, 5075 (2018). https://doi.org/10.1038/s41467-018-07459-5? 

  31. T. L. Wall, S. M. Horn, M. L. Johnson, T. L. Smith, and L. G. Carr, J. Stud. Alcohol, 61(1), 13-17 (2000). https://doi.org/10.15288/jsa.2000.61.13? 

  32. R. Sherva, J. P. Rice, R. J. Neuman, N. Rochberg N. L. Saccone, and L. Bierut, Alcohol Clin. Exp. Res., 33(5), 848-857 (2009). https://doi.org/10.1111/j.1530-0277.2009.00904.x? 

  33. J. Gelernter, et al., Mol. Phychiarty, 19, 41-49 (2014). https://doi.org/10.1038/mp.2013.145? 

  34. B. Hancock, et al., Transl. Psychiatry, 5, e651 (2015). https://doi.org/10.1038/tp.2015.149? 

  35. A. Loukola, et al., PLoS Genet., 11, e1005498 (2015). https://doi.org/10.1371/journal.pgen.1005498.eCollection 2015? 

  36. Y. M. Patel, D. O. Stram, L. R. Wilkens, S. S. L. Park, B. E. Henderson, L. L. Marchand, C. A. Haiman, and S. E. Murphy, Cance Epidemion Biomarkers Prev., 24(1), 119-127 (2015). https://doi.org/10.1158/1055-9965.EPI-14-0815? 

  37. A. C. Jager et al., Forensic Sci. Int. Genet., 28, 52-70 (2017). https://doi.org/10.1016/j.fsigen.2017.01.011? 

  38. N. G. Xie, M. X. Wang, P. Song, Y. Wang, Y. Yang, J. Luo, S. Ren, and D. Y. Zhang, Nat. Commun., 13, 1880 (2022). https://doi.org/10.1038/s41467-022-29500-4? 

  39. R. Nielsen, J. S. Paul, A. Albrechtsen, and Y. S. Song, Nat. Rev. Genet., 12, 443-451 (2011). https://doi.org/10.1038/nrg298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