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고령 사회의 노인 돌봄 정책에 관한 융복합 연구
A Study on the Care Policy for the Elderly in Super-aged Socie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22 no.2, 2024년, pp.21 - 28  

김동건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의 당면한 돌봄 정책의 현황과 노인 문제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융복합 정책에 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노인 문제는 가족 개념, 가치관, 사회경제적인 구조의 변화로 노인의 건강 문제, 빈곤 문제, 역할상실의 문제, 돌봄 문제로 나타났다. 또한, 빈곤한 노인은 일자리와 취업 정책이 필요하며, 건강한 중산층 노인들은 여가생활과 자원봉사 활동을 할 수 있는 정책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지역사회의 돌봄 정책을 통하여 노인요양시설과 노인 요양 병원 등 여생을 보낼 수 있는 정책적인 수립이 필요하다. 초고령 사회는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총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며, 통계청의 예상으로 2025년이면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노인 복지정책은 다양한 프로그램과 노인 돌봄의 필요성과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향후, 초고령 사회는 많은 재원의 확보와 재원을 충당해 줄 생산인구의 유지가 필요하다. 즉 인간의 생애 주기는 출생에서 사망까지 노인의 자연 사망자와 출생 유아의 비율이 적절할 때 그 사회와 국가는 안정적이며, 활기가 있는 건강한 사회를 이룰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are policies and senior citizen issues in Korea, which has entered a super-aging society, and attempte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or desirable convergence policies. The problems of the elderly in Korea have emerged as health problems, poverty problem...

Keyword

표/그림 (1)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n.d.). Population Projections:?2017-20." Statistics Korea. 

  2. Jeon, Myung-suk, and Kim, Ki-myung (2021).?Elderly Welfare Theory, pp. 39-44. 

  3. S. S. Lim et al. (2014). Issues and Improvement?Strategies in Operating Elderly Leisure Welfare?Facilities.Case Analysis of Foreign Elderly Leisure 

  4. S. Y. Nam, (2018).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of Japan's Home Medical Care System. Ministry of?Health and Welfare ? Seoul Institute. pp.67-74 

  5. N. H. Kim & I. H. Ha. (2020). Policy Issues for?Rural Community Care. Korea Rural Economic?Institute, Policy Research Report, pp. 1-103. 

  6.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2020).?Long-Term Care Insurance Statistics Yearbook. 

  7. Kim, Seung-yeon, Jang, Ui-yeon, Kim, Jin-woo,?and Kwon, Hye-young(2018). "Establishing the?Concept and Direction of Korean Community Care?Through Comparison with Overseas Cases." 

  8. Choi, Sung-jae, Jang, In-hyeop(2010). Elderly?Welfare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Publishing and Cultural Center. 

  9. Lee, Yoon-kyung et al(2013). "Forecasting the?Demand and Restructuring the Supply System of?Elderly Welfare Services in 

  10. Lee, Suk-jin(2012). "Care as Labor."Monthly?Welfare Trends, 160:4-8. Response to Aging?Population." 

  11. Daly, M and Lewis, J., 2000, The concept of social?care and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welfare?stat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51(2), 281-298. 

  12. R. Hochschild. (1983). The managed?heart: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CA:?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 J. C. Toronto. (1993), Moral boundaries: A Political?Argument for an Ethic of Care, New York London:?Routledge 

  14. OECD. (2020). OECD Secretary-General's Report to?Ministers 2020. Paris : OECD Publishing. 

  15. C. W. Kim. (2008). A Study on Estimating the?Demand for Elderly Care Services. Social Welfare?Policy, 34, 81-103. 

  16. E. N. Kang et al. (2014). Risks and Response?Strategies in a Super-Aged Society: Super-Aged?Society and Elderly Welfare Services. Korea?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7. Y. O. Jang.(2000). The Impact of Functional?Disabili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Dementia?Patients and Related Variables of Caregivers on?Caregiving Stress. Journal of the Korean?Association of Family Management, 18(2), 203-216.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Plan for?Leading Projects on Integrated Community Care?Community Care. 

  19. Y. R. Kim, (2007).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the Elderly Care Labor Hours and Care Stress of?Family Caregivers. Women's Studies, 72(1), 31-72. 

  20. OECD(2020), OECD Secretary-General's Report to?Ministers 2020, OECD Publishing, Paris 

  21. K. H. Won et al. (2010). Strategies for Revitalizing?Shrinking. Cities in an Era of Population Decline?Chungbuk Development Institute. 

  22. S. K. Kim. (n. d.). A Study on Elderly Welfare in the?Constitution." Comparative Law and Culture?Research Institute, 

  23. M. O. Kim. (2004). Theory and Practice of Elderly?Health and Welfare. 

  24. D. M. Yoon et al. (2020). A Study on Diagnosing?the Status of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s?Provision and Improving Service Quality. Research?Report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5. Statistics Korea. (2019). Special Population?Projection for the Future, 2017-2067. 

  26. Busan Research Institute. (2021). Preparation of?Busan for the 'Super Seniors' in the Super-Aged?Societ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Institute. 

  27. S. A. Hong. (2014). Analysis of South Korea's Birth?Policies Through Slogans Over Time. Korean?Women's Development Institute.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