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디지털 역량이 구강스캐너의 스캔 시간 및 스캔 오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gital competence on scan time and scan error in intraoral scanning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24 no.4, 2024년, pp.271 - 280  

Yun-Woo Kim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  Do-Seon Lim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  Hee-Jung Lim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  Im-Hee Jung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 및 치위생(학)과 학생의 디지털 역량이 구강스캔 시간과 오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구강스캐너 사용 경험이 없는 치과위생사 및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동일한 대상자들에게 구강스캐너 사용법을 교육한 후, 구강 스캔을 3회 시행시켰고 이때 각 회차별 스캔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후, 3D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 모델스캐너로 채득한 기준데이터와 구강스캐너로 앞서 채득한 개별데이터를 중첩 분석하여 스캔오차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디지털 역량이 높고 스캔 시간이 적게 소요되었고, 디지털 역량 수준이 높은 그룹에서 스캔 시간이 짧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세부 역량 중에서는 디지털 기술과 디지털 지식 역량 점수가 1점 증가 시, 스캔 시간이 각각 3.73분, 3.98분 감소하였다(p<0.05). 반면, 스캔 오차는 디지털 역량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결론: 구강스캐너 연구 및 교육 시행 시, 연령과 디지털 역량을 고려해야 할 것이며, 추후 연구에서 치과 영역 맞춤형 디지털 역량 평가 도구 개발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test whether the digital competence of dental hygienists can affect their intraoral scanning potential in terms of scan time and error. Methods: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hygiene students who had never used an intraoral scanner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ir digi...

Keyword

참고문헌 (17)

  1. OECD. Measur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Paris: OECD; 2019:1-260. 

  2.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signing the future of Korea during the great transformation.?Sejong: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022:1-347. 

  3. Kim YS, Park HS, Ku IY. Perceptions of dental hygienists toward digital dentistry. J Korean Soc Dent Hyg 2013;13(6):909-16.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06.909 

  4. Kim CH. Impressions for complete dentures. J Kor Dent Assoc 1993;31(1):30-3. 

  5. Kim RW, Jang GW, Heo YR, Son MK.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digital impression in dentistry. J Korean Acad Prosthodont?2014;41(4):253-61.https://doi.org/10.14815/kjdm.2014.41.4.253 

  6. Kim JH, Lee HJ, Go SM, Kim HC. A survey on dental personnel's perceptions of digital dentistry and dental digital equipment. J Kor Dent?Assoc 2021;59(5):262-74. https://doi.org/10.22974/jkda.2021.59.5.001 

  7. Kang SH, Fang JW, Seung MJ, Hwang CH, Kim DH, Choi BH. Immediate restorations in a fully edentulous patient utilizing digital system: a?casereport.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5;53(2):157-66. https://doi.org/10.4047/jkap.2015.53.2.157 

  8. Choi SY. A study on the digital competenc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2018:21(5):25-35. https://doi.org/10.32431/kace.2018.21.5.003 

  9. Jung J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challenges for safe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digital therapeutic devices. Seoul:?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2023:1-4. 

  10. Son KBD, Lee KB. Effect of computer literacy on the working time of the dental CAD software program. J Prosthodont Res 2021;65(2):255-60.?https://doi.org/10.2186/jpr.JPR_D_20_00030 

  11. Park SM, Kang MW. Basic research on digital competence survey of Seoul residents. Seoul: Seoul Digital Foundation; 2021:1-79. 

  12. Song JH, Kim DW. A study on ability and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for the disabled: focusing on the effect of education for smart device?utilization. Informatization Policy 2014;21(2):67-88. https://doi.org/10.22693/NIAIP.2014.21.2.067 

  13. Oh JA, Yoo JW. A study on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Korean Public?Management Review 2018;32(2):319-44. https://doi.org/10.24210/kapm.2018.32.2.013 

  14. Park SH. The effect of CEO's digital competence on the innovation activities of companies. JHRMR 2021;28(4):73-101. https://doi.org/10.14396/jhrmr.2021.28.4.73 

  15. Vinayahalingam S, Kempers S, Schoep J, Hsu TMH, Moin DA, Cinneken B, et al. Intra-oral scan segmentation using deep learning. BMC Oral?Health 2023;23(1):643-51. https://doi.org/10.1186/s12903-023-03362-8 

  16. Min JH, Shin DJ.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JCME 2023;22(1):77-104. https://doi.org/10.21183/kjcm.2023.03.22.1.77 

  17. Seo SH, Cho BY, Kim JY, Kim JY, Kim HD, Go JA, et al. Korean elementary students' digital literacy attitude. Journal of Elementary Korean?Education 2016;61(1):153-88. ttps://doi.org/10.22818/jeke.2016..61.153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