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디지털 구강스캐너에 대한 치위생(학)과 재학생의 인식
Dental Hygiene Students Perceptions of Digital Oral Scanne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13 no.1, 2025년, pp.181 - 189  

김민정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김지영 (경남정보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rve as a valuable resource for guiding the digitization of dental hygiene curricula and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Methods :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among a random sample of dental hygiene students who had undergone clinical practicums...

Keyword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구강스캐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술에 대한 교육과정을 개선·개편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러한 교육의 질적 개선은 치과위생사들이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와 적응력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디지털 기반 치과 진료의 표준화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디지털 구강스캐너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교육의 방향성과 개선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구강스캐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술에 대한 교육과정을 개선·개편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학생들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치과 임상에서 디지털 기술을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임상 중심의 치과위생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치위생(학)과 교육 과정의 디지털화와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 학생들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치과 임상에서 디지털 기술을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임상 중심의 치과위생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치위생(학)과 교육 과정의 디지털화와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 그러나 치위생(학)과 교육 과정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기술을 다루는 교육이 여전히 충분하지 않아, 학생들이 기술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구강스캐너 교육 경험과 학생들의 기대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교육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구강스캐너 교육 경험이 학생들의 기대와 실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치위생(학)과 교육에서 디지털 기술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학생들의 기대와 경험 간의 괴리를 줄이기 위해서는 이론과 실습을 균형 있게 조화시키는 접근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구강스캐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위생(학)과 디지털화와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Go HB, Seo YJ, Won BY, et al(2022). Transformation of digital dentistry and the need of introducing education in dental hygien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2(6), 467-475. DOI: 10.13065/jksdh.20220053 

  2. Kim HJ(2024). Dental personnels awareness and education needs on digital oral scanners. Graduate school of Cheongj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3. Kim SG(2022). Current status of dental radiology education and clinical usability analysis. Graduate school of Dongeu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4. Lee CH, Ahn SH(2019). Analysis of dental hygienists' perception of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digital oral scann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9(1), 33-44. DOI: 10.13065/jksdh.20190007 

  5. Moon HJ, Kim YS, Seong MG, et al(2017). Awareness of dental digital system of dental hygiene students.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19(1), 19-30. 

  6. Park JH, Lee MJ, Goo HJ(2015). Satisfaction towards clinical training institution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contents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5(4), 631-639. DOI: 10.13065/jksdh.2015.15.04.631 

  7. Son EG(2022). A convergence study on partial dental hygiene (department) and student satisfaction: focusing on approach motivation, avoidance motivation, and digital use recogni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3(5), 53-60. DOI: 10.15207/JKCS.2022.13.05.053 

  8. Won BY, Jang GW, Hwang MY, et al(2019). Current conditions of dental hygiene clinical training in Korea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9(1), 19-31. DOI: 10.13065/jksdh.20190012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