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3 no.4, 2024년, pp.461 - 475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 과학과 교과서의 물질 영역에 나타난 자기 평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위치', '평가 대상 및 내용', '응답 형태', '채점 기준', '레퍼런스', '평가 준거의 제작', '피드백'으로 구성된 분석 기준을 개발하였다. 7개의 출판사에서 발행한 과학 교과서와 실험관찰 교과서 총 14권을 모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에서 자기 평가는 주로 '마무리' 영역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는 전통적인 결과 중심적 평가와 유사한 양상이었다. 다만, 일부 교과서는 '본문'과 '도입'에서도 자기 평가를 제시하였다. 자기 평가의 평가 대상은 대부분 학생이었으며, 학생의 '지식'과 '역량', '태도'를 상대적으로 고르게 평가하고 있었다. 자기 평가에 대한 '응답 형태'는 '평정'이 가장 많았으나, 교과서별로는 '평정'이나 '체크리스트' 중 하나로 응답 형태를 단일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모든 교과서가 자기 평가에 대한 '채점 기준'과 '레퍼런스'는 제시하지 않으며, '피드백'은 일부 교과서에서만 제한된 방식으로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자기 평가를 위한 '평가 준거의 제작'도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자기 평가의 개선 방안과 효과적인 자기 평가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elf-assessments presented in the matter units of third grade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tical framework, comprising the 'position,' 'subject and content,' 'response form,' 'scoring criteria,' 'reference,' 'creation o...
강남화, 김민지(2020). 고등학교 통합과학 수행평가 사례를 통해 탐색한 교사의 수행평가 실천 특성과 PCK?사이의 관련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3), 291-305.
교육부(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교육부(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중학교. 세종: 교육부.
교육부(2022). 2022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세종: 교육부.
김민주, 임채성(2018).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에 대한 자기 평가, 교사 평가, 객관적 평가의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37(4), 440-454.
김민주, 임채성(2019).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에 대한 자기 평가, 동료 평가의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38(4), 439-452.
김민환, 박다해, 노태희(2022). 과학탐구실험의 '역사 속의 과학 탐구'에서 과학교사의 평가 실태와 평가 지향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6), 597-610.
김유라, 최애란(2019a).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 대한?교사의 인식과 실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1), 143-160.
김유라, 최애란(2019b).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서 과학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대한화학회지,?63(3), 166-182.
김현정(2020).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3~4 학년 운영 실태 분석. 현장과학교육, 14(3), 307-320.
남정희, 김지연, 한인식(2002). 자기평가가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46(3), 287-295.
남정희, 최준환, 공영태, 문성배, 이석희(2004). 자기평가에 대한 피드백 유형이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646-658.
남형채, 류성림(2000). 수학 수업에서 학생의 자기평가?방법. 과학.수학교육연구, 23(3), 55-71.
박정, 이진주(2015). 학생 자기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실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601-620.
백종호, 변태진, 이동원, 심현표(2020).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탐구실험' 평가 도구 및 평가 현황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5), 515-529.
윤도운, 고은아, 최애란(2018).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과학과 핵심역량 하위요소 추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1301-1319.
이선우, 남정희(2016). 고등학교 논의기반 탐구 과학 수업에서 학생 평가 활동이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2), 347-360.
조은비, 정도준, 남정희(2021). 협상에 기반한 동료평가?및 자기평가 활동 과학 영재 고등학생들의 모델링에?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65(6), 455-467.
홍소영(2018). 학생 자기평가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평가연구, 31(1), 309-331.
황성원, 김희경, 유준희, 박승재(2001).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개방적 탐구에서 과학적 탐구과정기능에 대한 자기평가 수행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506-515.
Ainsworth, L., & Christinson, J. (1998). Student?Generated Rubrics: An Assessment Model To Help All?Students Succeed. Assessment Bookshelf Series. White?Plains, NY: Dale Seymour Publications.
Andrade, H. (2010). Students as the definitive source of?formative assessment: Academic self-assessment and?self-regulation of learning. In H. L. Andrade, & G. J.?Ciizek (Eds.), Handbook of formative assessment (pp.?90-105). New York, NY: Routledge.
Andrade, H., & Valtcheva, A. (2009). Promoting learning?and achievement through self-assessment. Theory Into?Practice, 48(1), 12-19.
Black, P., & Wiliam, D. (1998). Assessment and?classroom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Principles, Policy & Practice, 5(1), 7-74.
Boud, D. (1999). Avoiding the traps: Seeking good?practice in the use of self assessment and reflection in?professional courses. Social Work Education, 18(2),?121-132.
Boud, D. (2003). Enhancing learning through self?assessment. London, UK: Routledge.
Boud, D., & Falchikov, N. (2007). Rethinking assessment?in higher education (pp. 191-207). London, UK:?Routledge.
Brown, G. T., & Harris, L. R. (2013). Student?self-assessment. In J. McMillan (Ed.), The Sage?handbook of research on classroom assessment (pp.?367-393). Thousand Oaks, CA: SAGE.
Brown, G., & Harris, L. R. (2014). The future of?self-assessment in classroom practice: Reframing?self-assessment as a core competency. Frontline?Learning Research, 2(1), 22-30.
Earl, L. M. (2003). Assessment as Learning: Using?Classroom Assessment to Maximize Student Learning?(pp. 95-97).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Fiske, S. T., & Taylor, S. E. (1991). Social cognition.?New York, NY: McGraw-Hill.
Grob, R., Holmeier, M., & Labudde, P. (2021). Analysing?formal formative assessment activities in the context of?inquiry at primary and upper secondary school in?Switzer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Education, 43(3), 407-427.
Harris, L. R., & Brown, G. T. (2018). Using?self-assessment to improve student learning. New?York, NY: Routledge.
Harris, L. R., & Brown, G. T. L. (2013). Opportunities?and obstacles to consider when using peer- and?self-assessment to improve student learning: Case?studies into teachers' implementation. Teaching and?Teacher Education, 36, 101-111.
Hattie, J., & Timperley, H. (2007). The power of?feedback.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7(1),?81-112.
Joughin, G., Boud, D., & Dawson, P. (2019). Threats to?student evaluative judgement and their management.?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38(3),?537-549.
Karaman, P. (2021). The impact of self-assessment on?academic performance: A meta-analysis study.?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and?Science, 7(4), 1151-1166.
Kearney, S. (2013). Improving engagement: the use of?'Authentic self-and peer-assessment for learning to?enhance the student learning experience. Assessment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8(7), 875-891.
Kostons, D., van Gog, T., & Paas, F. (2012). Training?self-assessment and task-selection skills: A cognitive?approach to improving self-regulated learning.?Learning and Instruction, 22(2), 121-132.
Lindblom-Ylanne, S., Pihlajamaki, H., & Kotkas, T.?(2006). Self-, peer-and teacher-assessment of student?essays. Ac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7(1),?51-62.
Noonan, B., & Duncan, C. R. (2005). Peer and?self-assessment in high schools. Practical Assessment,?Research, and Evaluation, 10(1), 17.
Panadero, E. (2017). A review of self-regulated learning:?Six models and four directions for research. Frontiers?in psychology, 8, 422.
Panadero, E., Brown, G. T. L., & Strijbos, J. W. (2016).?The future of student self-assessment: A review of?known unknowns and potential directions. Educational?Psychology Review, 28(4), 803-830.
Panadero, E., Tapia, J. A., & Huertas, J. A. (2012).?Rubrics and self-assessment scripts effects on?self-regulation, learning and self-efficacy in secondary?education.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2(6),?806-813.
Ramdass, D., & Zimmerman, B. J. (2008). Effect of self?correction strategy training on middle school students'?self-efficacy, self-evaluation, and mathematics division?learning.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20(1),?18-41.
Ross, J. A., Rolheiser, C., & Hogaboam-Gray, A. (1998).?Skills training versus action research in-service: Impact?on student attitudes to self-evaluation. Teaching and?Teacher Education, 14(5), 463-477.
Sadler, D. R. (2005). Interpretations of criteria-based?assessment and grading in higher education. Assessment?&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0(2), 175-194.
Taras, M. (2010). Student self-assessment: Processes and?consequences.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15(2),?199-209.
van Zundert, M., Sluijsmans, D., & van Merrienboer, J.?(2010). Effective peer assessment processes: Research?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Learning and?instruction, 20(4), 270-279.
Wanner, T., & Palmer, E. (2018). Formative self-and peer?assessment for improved student learning: the crucial?factors of design, teacher participation and feedback.?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43(7),?1032-1047.
Yan, Z., & Brown, G. T. L. (2017). A cyclical?self-assessment process: Towards a model of how?students engage in self-assessment. Assessment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42(8), 1247-1262.
Yan, Z., & Carless, D. (2022). Self-assessment is about?more than self: the enabling role of feedback literacy.?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47(7),?1116-1128.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