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군 생활 적응 증진을 위한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Mental Fitness Positive Psychology Program for Improvement of Adjustment to Military Life 원문보기

韓國心理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産業 및 組織, v.30 no.2, 2017년, pp.275 - 298  

김민순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현진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고영건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생활 적응 증진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Mental Fitness Positive Psychology; MFPP)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프로그램(고영건, 김진영, 2012)을 한국군 실정에 맞추어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78명의 병사들은 MFPP 집단 35명과 통제집단 43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MFPP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군 생활 적응기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군 생활 스트레스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본 MFPP 프로그램이 6회기의 단기 개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을 향상 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ental Fitness Positive Psychology; MFPP)program for improvement of adjustment to military life. In the present study, the Mental Fitnessprogram (Kim & Ko, 2009) was adapted for the Korean Army. A total of 78 military soldiers weredivide...

Keyword

참고문헌 (64)

  1. 고영건, 김진영 (2012).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프로그램. 서울: 학지사. 

  2. 구승신 (2006). 신세대 병사의 정신건강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24, 64-93. 

  3. 국민일보 (2014, 08, 09). [기획-윤일병 폭행사망 파장] 軍 부적응 원인 1위는 ‘선임병 횡포’.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2757712&code=11122100&cp=nv 에서 2016, 08, 05 자료 얻음. 

  4. 국방부 (2009). 자살예방 종합시스템 정립. 서울: 국방부. 

  5.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6. 김근향 (2011). 정신과 입원환자의 적응기능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김윤근 (2007). 병사들의 군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주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진영, 고영건 (2009). 긍정 임상심리학: 멘탈 휘트니스(mental fitness)와 긍정심리치료(positivpsychotherap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155-168. 

  9. 김현정 (2012). 긍정적 정신건강 모형의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나현주, 정영주, 유경원 (2010).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청년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동강대학 논문집, 33, 55-63. 

  11. 문장옥 (2011). 긍정기도문쓰기가 군 생활 만족도 및 자아 존중감, 군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민 진 (2010). 군대조직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방연구, 53(3), 97-123. 

  13. 민 진 (2011). 군대조직문화 특성의 도출과 분석. 한국조직학회보, 8(3), 91-121. 

  14. 박 일 (2012). 정신전력과 긍정적 정신건강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 일, 고영건 (2012). 정신전력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업 및 조직, 25(1), 105-124. 

  16. 박정조 (2013, 08, 27). [오피니언] 긍정의 나비효과. 국방일보.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parent_no=2&bbs_id=BBSMSTR_000000000251&ntt_writ_date=20130828 에서 2016, 08, 05 자료 얻음. 

  17. 박정화, 유성모 (2013). 군인의 개인적 특성과 셀프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오센틱 리더십, 심리적 웰빙, 정서적 웰빙이 조직웰빙에 미치는 영향. 뇌교육연구, 11(단일호), 21-46. 

  18. 박찬빈, 고영건 (2014). 대학생의 방어기제 유형에 따른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3), 673-693. 

  19. 박현철 (2001). 군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신태수 (1981). 군대 조직 구성원의 자아정체감과 군대 생활에의 적응과의 연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연합뉴스 (2015, 09, 06). 백군기 “군, 자살병사 절반은 자살가능성 미리 알아”.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9/05/0200000000AKR20150905048700001.HTML?input=1195m에서 2016, 08, 05 자료 얻음. 

  22. 윤성민, 신희천 (2010). 한국판 긍정심리치료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707-732. 

  23. 이윤희 (1963). 군대생활의 적응.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정애 (2012). 우울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5- 946. 

  26. 임영진 (2010). 성격 강점과 긍정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 (2010). 특별 심포지엄: 한국인의 행복 및 정신건강지수: 한국인의 정신건강.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0(단일호), 233-257. 

  28.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 (2012). 정신적 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369-386. 

  29. 정원철, 박영주 (2011). 연구논문: 병사의 군부적응 및 적응력향상 관련 국내 연구동향의 개관. 한국청소년학회, 18(1), 49-71. 

  30. 조용학 (2016, 04, 18). 자율 씨앗’ 뿌렸더니 ‘자긍 열매’ 주렁주렁. 국방일보.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160419&parent_no=1&bbs_id=BBSMSTR_000000000006에서 2016, 08, 05 자료 얻음. 

  31. 최유연, 손정락 (2012). 긍정심리치료가 사회 공포증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 불안, 낙관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3), 573-588. 

  32. 최은진, 박희현 (2012). 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중재효과. 한국 인간발달학회, 19(3), 129- 146. 

  33. 최혜란, 박숙희 (2009).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연구. 상담학연구, 10(3), 1743-1756. 

  34. 탁진국, 임그린, 정재희 (2014).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1), 139-166. 

  35. 황순택, 김지혜, 박광배, 최진영, 홍상황. (2012). K-WAIS-Ⅳ 기술 및 해석요강. 대구: 한국심리주식회사. 

  36. 현명선, 정향인, 강희선 (2009). 군인들의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8(3), 305-312. 

  37. Boehm, J. K., & Lyubomirsky, S. (2009). The promise of sustainable happiness.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The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667-677).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38. 10.1186/1471-2458-13-119 Bolier, L., Haverman, M., Westerhof, G. J., Riper, H., Smit, F., & Bohlmeijer, E. (2013).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BMC Public Health, 13(1), 119. 

  39. Dunst, C. J., Hamby, D. W., & Trivette, C. M. (2004). Guidelines for calculating effect sizes for practice-based research syntheses. Centerscope, 3(1), 1-10. 

  40. 10.1037/0003-066X.56.3.218 Fredrickson, B. L.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56(3), 218-226. 

  41. 10.1037/0003-066X.60.7.678 Fredrickson, B. L., & Losada, M. F. (2005). Positive affect and the complex dynamics of human flourishing. American Psychologist, 60(7), 678-686. 

  42. Graham, J. R. (2012). MMPI-2: 성격 및 정신병리 평가 (이훈진, 문혜신, 박현진, 유성진, 김지영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5에 출판). 

  43. 10.1037/mil0000050 Kelly, D. R., Matthews, M. D., & Bartone, P. T. (2014). Grit and hardiness as predictors of performance among West Point cadets. Military Psychology, 26(4), 327-342. 

  44. 10.2307/3090197 Keyes, C. L. M. (2002). The mental health continuum: From languishing to flourishing in lif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3(2), 207-222. 

  45. Keyes, C. L. M. (2003). Complete mental health: An agenda for the 21st century. In C. L. M. Keyes & J. Haidt (Eds.), Flourishing: Positive psychology and the life well-lived (pp. 293-31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6. 10.1080/13607860410001669804 Keyes, C. L. M. (2004). The nexus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pression revisited: The complete mental health perspective and the moderating role of age and gender. Aging and Mental Health, 8(3), 266-274. 

  47. 10.1037/0022-006X.73.3.539 Keyes, C. L. M. (2005). Mental illness and/or mental health? Investigating axioms of the complete state model of healt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3), 539-548. 

  48. 10.1037/0003-066X.62.2.95 Keyes, C. L. M. (2007). Promoting and protecting mental health as flourishing: A complementary strategy for improving national mental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62(2), 95-108. 

  49. Keyes, C. L. M., & Lopez, S. J. (2002). Toward a science of mental health: Positive directions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s.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45-59).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0. 10.1037/a0024810 Larner, B., & Blow, A. (2011). A model of meaning-making coping and growth in combat vetera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5(3), 187-197. 

  51. 10.1037/a0022575 Lyubomirsky, S., Dickerhoof, R., Boehm, J. K., & Sheldon, K. M. (2011). Becoming happier takes both a will and a proper way: an experimental longitudinal intervention to boost well-being. Emotion, 11(2), 391-402. 

  52. 10.1037/h0039771 McCarthy, D. (1964). Mental Fitness. American Psychologist, 19(3), 201-202. 

  53. 10.1037/a0021658 Peterson, C., Park, N., & Castro, C. A. (2011). Assessment for the US Army Comprehensive Soldier Fitness program: The Global Assessment Tool. American Psychologist, 66(1), 10-18. 

  54.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55. Rashid, T., & Anjum, A. (2008). Positive psychotherapy for young adults and children. In J. R. Z. Abela & B. L. Hankin (Eds.), Handbook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p. 250-287). New York: Guilford Press. 

  56.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57. Seligman, M. E. P. (2011). 플로리시 (우문식과 윤상윤 역). 서울: 물푸레. (원전은 2011에 출판). 

  58. 10.1037/0003-066X.55.1.5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14. 

  59. 10.1037/0003-066X.60.5.410 Seligman, M. E. P., Steen, T. A.,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5), 410-421. 

  60. 10.1037/0003-066X.61.8.774 Seligman, M. E.,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61(8), 774. 

  61. 10.1002/jclp.20593 Sin, N. L., & Lyubomirsky, S. (2009). Enhancing well­being and alleviating depressive symptoms with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A practice­friendly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5(5), 467-487. 

  62. Stouffer, S. A., Suchman, E. A., DeVinney, L. C., Star, S. A., & Williams, R. B., Jr. (1949). The American soldier: Adjustment during military life.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63. Vaillant, G. E. (2010). 행복의 조건 (이덕남 역). 서울: 프런티어. (원전은 2008에 출판). 

  64. 10.1037/0022-3514.54.6.1063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1070.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