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3게이지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의 임상 결과
The Clinical Results of Sutureless Vitrectomy Using 23-Gauge Surgical System 원문보기

대한안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thalmological Society, v.49 no.6 = no.330, 2008년, pp.911 - 916  

한정일 (건양대학교 김안과병원 명곡 안연구소) ,  조성원 (건양대학교 김안과병원 명곡 안연구소) ,  이태곤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  김종우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  이재흥 (건양대학교 김안과병원 명곡 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23게이지 기구를 이용한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하고 그 임상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본원에서 2006년 2월에서 2006년 7월까지 23게이지 무봉합 평면부유리체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성적 및 수술 중, 수술 후 합병증을 조사 하였다. 결과 : 대상군 111명 111안 이었고 남자가 42명(37.8%), 여자가 69명(62.2%)였다. 나이는 31세에서 88세로 평 균 59.1세였다. 당뇨망막병증 44안, 황반원공 18안, 망막앞막이 19안, 망막정맥 폐쇄에 의한 유리체 출혈이 16안, 당뇨망막병증과 망막정맥폐쇄가 동반되어 있던 경우가 3안, 열공성 망막박리가 4안, 나이관련 황반변성으로 유리체 출 혈이 2안, 유리체 황반 견인 증후군이 2안, 수정체의 유리체 탈구가 1안, 포도막염에 의한 유리체 혼탁이 1안, 그리고 유리체강 내 트리암시놀론 주입 후 생긴 2차성 녹내장이 1안이었다. LogMAR로 환산한 최대 교정 시력은 술 전 1.43±0.12, 술 후 0.88±0.11로 향상 되었다(P>0.05). 술 중 합병증은 13건(11.7%)으로 창상 누출로 공막봉합을 시행한 경우가 8건, 케뉼라를 삽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경우가 2건, 결막 봉합이 필요했던 경우가 3건이 있었다. 술 후 합병증은 21건(18.9%)으로, 술 후 1일째 저안압은 7건, 유리체 출혈이 7건, 전방출혈이 5건, 내안구염이 2건 이 있었다. 결론 : 23게이지 수술은 무봉합 수술의 장점을 가지면서, 20게이지 수술의 결막과 공막 절개창에 의한 단점도 보완할 수 있는 수술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23-gauge sutureless vitrectomy.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11 eyes that had undergone 23-gauge sutureless vitrectomy. The eyes underwent surgery from February 2006 to July 2006 and were examined for surgical outcome...

주제어

참고문헌 (10)

  1.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Machemer 75 813 1971 

  2. Ann Ophthalmol O'Malley 7 585 1975 

  3. Arch Ophthalmol Chen 114 1273 1996 10.1001/archopht.1996.01100140473024 

  4. Am J Ophthalmol de Juan 109 218 1990 10.1016/S0002-9394(14)75990-2 

  5. Ophthalmology Fujii 109 1814 2002 10.1016/S0161-6420(02)01119-3 

  6. Retina Eckardt 25 208 2005 10.1097/00006982-200502000-00015 

  7. Br J Ophthalmol James 84 822 2000 10.1136/bjo.84.8.822 

  8. Am J Ophthalmol Eifrig 138 799 2004 10.1016/j.ajo.2004.06.035 

  9. Stephen 3 2645 2006 4 

  10. Am J Ophthalmol Rai 140 1148 2005 10.1016/j.ajo.2005.07.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