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수정체 혼탁 유형에 따른 백내장의 유병률
Prevalence of Cataract with Different Type of Lens Opacity in the Korean Population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8 no.1= no.50, 2013년, pp.53 - 59  

김효진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40세 이상 한국 성인남녀에서 수정체의 혼탁 종류에 따른 백내장의 유형별 유병률을 산출하고 교정시력을 알아보았다. 방법: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 중 2009년 자료를 이용하여 인구 기반 단면 연구로 디자인하였다. 40세-95세까지 총 4,977명에 대해 연령과 성별에 따라 층화하여 백내장의 유병률과 수정체 혼탁의 종류에 따른 유병률을 조사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8.28{\pm}12.07$세 였고, 남자가 2,142명(43.0%), 여자가 2,835명(57.0%)이었다. 교정시력은 0.63 미만인 경우를 산출하였다. 결과: 전체대상자 4,977명 중에서 현재 백내장이 있는 경우는 40.6%(남자 17.5%, 여자 23.1%)로 나타났다. 백내장의 유형별 유병률은 핵형(56.3%), 피질형(23.4%), 혼합형(16.2%), 전낭하(3.0%), 후낭하(1.1%) 순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남녀의 차이는 없었고, 모든 연령대에서 핵형이 가장 많았다. 전낭하 백내장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교정시력이 0.63 미만으로 낮았다. 결론: 핵형 백내장의 유병률이 가장 높았고, 수정체의 혼탁을 고려한 역학 연구와 예방 정책의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calculated the prevalence of cataract in Korean and examined corrected eyesight with different types of opacification of crystalline lens. Methods: Using the data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population-based and cross-sectional research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 전국단위로 조사된 백내장의 종류별 유병률은 보고되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2009년 40대 이상의 한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수정체의 혼탁 종류를 나누어 백내장의 유병률과 그에 따른 시력을 분석함으로써 이후 백내장의 역학 연구와 백내장 환자들의 상담 시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Resnikoff S, Pascolini D, Etya'ale D, Kocur I, Pararajasegaram R, Pokharel GP, et al. Global data on visual impairment in the year 2002.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82(11):844-851. 

  2. Park SS, Lee HJ, Kim HJ, Lee EH. The prevalence of cataract and glaucoma in Korean. J Korean Vis Sci. 2012;14(1):77-84. 

  3. Yoon KC, Mun GH, Kim SD, Kim SH, Kim CY, Park KH, et al. Prevalence of eye disease in south korea: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09. Korean J Ophthalmol. 2011;25(6):421-433. 

  4. Leske MC, Connell AM, Wu SY, Hyman L, Schachat A. Prevalence of lens opacities in the Barbados Eye Study. Arch Ophthalmol. 1997;115(1):105-111. 

  5. West SK, Munoz B, Schein OD, Duncan DD, Rubin GS. Racial differences in lens opacities: the Salisbury Eye Evaluation (SEE) project. Am J Epidemiol. 1998;148(11): 1033-1039. 

  6. Congdon N, West SK, Bubrmann RR, Kouzis A, Munoz B, Mkocha H. Prevalence of the different types of agerelated cataract in an african popul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1;42(11):2478-2482. 

  7. Wu R, Wang JJ, Mitchell P, Lamoureux EL, Zheng Y, Rochtchina E et al. Smoking, socioeconomic factors, and age-related cataract: the Singapore malay eye study. Arch Ophthalmol. 2010;128(8):1029-1035. 

  8. Miglior S, Marighi PE, Musicco M, Balestreri C, Nicolosi A, Orzalesi N. Risk factors for cortical, nuclear, posterior subcapsular and mixed cataract; a case-control study. Ophthalmic Epidemiology. 1994;1(2):93-105. 

  9. Jin YH. A new logMAR vision chart: Jin's Vision Chart. J Korean Ophthalmol Soc. 1997;38(11):2036-2044. 

  10. Klein BE, Klein RE, Lee KE. Incident cataract after a five-year interval and lifestyle factors: the Beaver Dam eye study. Ophthalmic Epidemiol. 1999; 6(4):247-255. 

  11. Navarro Esteban JJ, Gutirrez Leiva JA, Valero Caracena N, Buenda Bermejo J, Calle Purn ME, Martnez Vizcano VJ.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lens opacities in the elderly in Cuenca, Spain. Eur J Ophthalmol. 2007;17(1): 29-37. 

  12. Raju P, George R, Ve Ramesh S, Arvind H, Baskaran M, Vijaya L. Influence of tobacco use on cataract development. Br J Ophthalmol. 2006;90(11):1374-1377. 

  13. Xu L, Cui T, Zhang S, Sun B, Zheng Y, Hu A,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lens opacities in urban and rural Chinese in Beijing. Ophthalmology. 2006;113(5):747-755. 

  14. Krishnaiah S, Vilas K, Shamanna BR, Rao GN, Thomas R, Balasubramanian D. Smoking and its association with cataract: results of the Andhra Pradesh eye disease study from Indi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5;46(1):58-65. 

  15. Klein BE, Klein R, Lee KE, Meuer SM. Socioeconomic and lifestyle factors and the 10-year incidence of age-related cataracts. Am J Ophthalmol. 2003;136(3):506-512. 

  16. Foster PJ, Wong TY, Machin D, Johnson GJ, Seah SK. Risk factors for nuclear, cortical and posterior subcapsular cataracts in the Chinese population of Singapore: the Tanjong Pagar Survey. Br J Ophthalmol. 2003;87(9):1112-1120. 

  17. Leske MC, Wu SY, Hennis A, Connell AM, Hyman L, Schachat A. Diabetes, hypertension, and central obesity as cataract risk factors in a black population. The Barbados Eye Study. Ophthalmology. 1999;106(1):35-41. 

  18. Younan C, Mitchell P, Cumming R, Rochtchina E, Panchapakesan J, Tumuluri K. Cardiovascular disease, vascular risk factors and the incidence of cataract and cataract surgery: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Ophthalmic Epidemiol. 2003;10(4):227-240. 

  19. Park SS, Lee EH. Relations of cataract to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based on the KNHANES 2005, 2007. J Korean Oph Opt Soc. 2009;14(3):103-108. 

  20. Kim HJ, Park JW, Joo CH. An epidemiological study of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nterior polar cataract. J Korean Ophthalmol Soc. 2003;44(3):606-614. 

  21. Park JH.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alence of the cataract with smoking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korean adults. J Korean Vis Sci. 2011;13(3):197-203. 

  22. Park JH, Kim HJ, Ye KH.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ye health and household income of elderly. J Korean Oph Opt Soc. 2011;16(2):209-217. 

  23. Foster PJ, Wong TY, Machin D, Johnson GJ, Seah SK. Risk factors for nuclear, cortical and posterior subcapsular cataracts in the Chinese population of Singapore: the Tanjong Pagar Survey. Br J Ophthalmol. 2003;87(9):1112-1120. 

  24. Kim HJ, Joo CH. The prevalenc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nterior polar cataract in a hospital-based study in Korea. Korean J Ophthalmol. 2008;22(2):77-80. 

  25. Chew M, Chiang PP, Zheng Y, Lavanya R, Wu R, Saw SM, et al. The Impact of cataract, cataract types, and cataract grades on vision-specific functioning using rasch analysis. Am J Ophthalmol. 2012;154(1):29-38. 

  26. Kim O, Hwang JW, Kim KR, Kang JS. The experiences of daily life among elderly women with cataracts. Qualitative Research. 2008;9(2):129-141. 

  27. Park SS, Kim TH, Pak YS, Lee SY, Lee HJ, Lee EH. Associations of metabolic syndrome with glaucoma in Korean-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2007-9, 2010. J Korean Oph Opt Soc. 2012; 17(2):241-2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