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현재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문화콘텐츠 개발의 문제를 원론적인 차원에서 재검토해보기 위한 시도이다. 특히 지역문화콘텐츠를 논의할 경우에는 지역의 문화적 특성, 지역발전, 문화콘텐츠의 실질적 효과 등에 대한 것들까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문제가 좀 더 복잡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문화콘텐츠의 개념규정에서의 혼란의 문제를 지적하고, 지역적인 차원에서 문화원형, 문화자원 등의 요소들이 문화콘텐츠라는 이름으로 바뀌면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지역문화원형의 존재 확인단계, 문화콘텐츠의 스토리텔링 단계, 콘텐츠 스토리의 디지털 멀티미디어화 단계, 콘텐츠의 상품화 단계로 나누어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사례로 강릉단오제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의 연구와 개발이 상호 연계적 관계를 유지하지 못한 채로 기형적인 디지털화와 상품화에 치중되는 문제를 지적하였다. 문화원형의 연구단계와 스토리텔링 단계에서 인문학적 연구가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이를 디지털화 단계와 상품화 단계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역문화콘텐츠의 단계별 연구와 개발 전략을 구축해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 본 연구의 중심주제이다.
본 논문은 현재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문화콘텐츠 개발의 문제를 원론적인 차원에서 재검토해보기 위한 시도이다. 특히 지역문화콘텐츠를 논의할 경우에는 지역의 문화적 특성, 지역발전, 문화콘텐츠의 실질적 효과 등에 대한 것들까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문제가 좀 더 복잡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문화콘텐츠의 개념규정에서의 혼란의 문제를 지적하고, 지역적인 차원에서 문화원형, 문화자원 등의 요소들이 문화콘텐츠라는 이름으로 바뀌면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지역문화원형의 존재 확인단계, 문화콘텐츠의 스토리텔링 단계, 콘텐츠 스토리의 디지털 멀티미디어화 단계, 콘텐츠의 상품화 단계로 나누어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사례로 강릉단오제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의 연구와 개발이 상호 연계적 관계를 유지하지 못한 채로 기형적인 디지털화와 상품화에 치중되는 문제를 지적하였다. 문화원형의 연구단계와 스토리텔링 단계에서 인문학적 연구가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이를 디지털화 단계와 상품화 단계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역문화콘텐츠의 단계별 연구와 개발 전략을 구축해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 본 연구의 중심주제이다.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cultural contents. Especially when we analyse local cultural contents, we have to consider, at the same time,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regional development, actual effect of cultural conten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ng process, i...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cultural contents. Especially when we analyse local cultural contents, we have to consider, at the same time,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regional development, actual effect of cultural conten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ng process, issues in local cultural contents will become more complicated. This study tries to point out confusion in definition of cultural contents that has not reached a consensus among the researchers. It will clarify the different notions of adjacent terms such as "original cultural contents", "cultural resources", and "cultural contents". It will thereby propose four practical stages of developing local cultural contents: the existenc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the story-telling stage, the digitalization stage, and finally the commercia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A case of "Kangreung Danho Festival" will be analyzed by adopting these four stages. This type of analysis will reinforce my argument and criticism on biased emphasis on simple digit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local cultural contents that does not encompass reciprocative nature of various component. In the study of cultural resources and story-telling proces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a systematic research in the point of humanities and culture studies, that provide the basis of developing local cultural contents and commercialization of original cultural resources.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cultural contents. Especially when we analyse local cultural contents, we have to consider, at the same time,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regional development, actual effect of cultural conten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ng process, issues in local cultural contents will become more complicated. This study tries to point out confusion in definition of cultural contents that has not reached a consensus among the researchers. It will clarify the different notions of adjacent terms such as "original cultural contents", "cultural resources", and "cultural contents". It will thereby propose four practical stages of developing local cultural contents: the existenc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the story-telling stage, the digitalization stage, and finally the commercia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A case of "Kangreung Danho Festival" will be analyzed by adopting these four stages. This type of analysis will reinforce my argument and criticism on biased emphasis on simple digit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local cultural contents that does not encompass reciprocative nature of various component. In the study of cultural resources and story-telling proces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a systematic research in the point of humanities and culture studies, that provide the basis of developing local cultural contents and commercialization of original cultural resourc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