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리차드 로티의 탈신격화 전략과 문화담론 -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성』을 중심으로 Richard Rorty’s De-divinized Strategy and Discourse of Culture-Centering around “Contingency, Irony, and Solidarity”
이 글은 리차드 로티의 문화철학과 연관된다. 특히 철학의 문화적 역할은 무엇일까를 문제의식으로 삼고, 로티적 접근법을 시론적으로 구성해 봄으로써 대답해보려는 것이다. 로티에게 철학의 문화적 역할은 역사와 사회를 떠나서는 대답될 수 없다. 시대에 따라 문화적 흐름이 바뀌어 가듯이 철학의 역할도 변화해왔다. 더욱이 그에게 철학의 정체성 또한 문화사적 흐름에 따라 바뀔 뿐이다. 다시 말해, 시대와 문화를 떠나 ‘철학의 본성이나 철학의 문화적 역할’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로티는 철학의 정체나 문화적 역할에 관한 독점적 사고방식을 비판한다. 이런 사고방식과 연관된 대표적 이야기는 진리담론으로 규정될 수 있고, 그 세부 갈래로 표상주의와 표현주의가 있다. 그리고 이것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담론을 로티는 제안한다.
먼저, 표상주의는 외적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나 [언어적] 의미가 ‘표상적’이라는 주장이다. 이 주장에 대해, 언어는 표상적 매개물이 아니라 은유적 도구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비판이 뒤따른다. 다음으로, 표현주의는 ‘자아’의 본성이 ‘표현적’이라는 주장이다. 표현주의는 다시 본성의 특징에 따라 도덕주의와 낭만주의로 나뉜다. 도덕주의는 자아의 도덕적 행위는 내적 도덕의식의 ‘표현’이라는 주장이고, 낭만주의는 자아의 문예적 행위는 내적 상상력의 ‘표현’이라는 주장이다. 로티는 도덕주의를 비판하기 위해, 자아의 본성(가령 칸트적 ‘도덕의식’)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상이하게 서술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도덕적 ‘양심’에 관한 프로이트적 재서술을 통해 비판을 실행한다. 한편, 로티는 낭만주의를 비판하기 위해 또 다른 자아의 본성인 ‘시적 상상력’에 대해 재서술한다. 이 능력은 자아의 또 다른 신비한 능력이 아니라 새로운 어휘를 창안해서 자아를 재서술하는 어휘 창안 능력일 뿐이다. 로티는 이러한 세 가지 비판을 통해 언어를 탈신격화시키고 그 결과 세계와 자아를 탈신격화시킨다. 그 귀결은 탈신격화된 문화이다. 이 문화 속에서 우리는 ‘믿음과 욕망 들의 그물망’인 자아를 새롭게 재서술하면서 재직조하는 삶을 적극적으로 긍정하면서 살아간다.
이 글은 리차드 로티의 문화철학과 연관된다. 특히 철학의 문화적 역할은 무엇일까를 문제의식으로 삼고, 로티적 접근법을 시론적으로 구성해 봄으로써 대답해보려는 것이다. 로티에게 철학의 문화적 역할은 역사와 사회를 떠나서는 대답될 수 없다. 시대에 따라 문화적 흐름이 바뀌어 가듯이 철학의 역할도 변화해왔다. 더욱이 그에게 철학의 정체성 또한 문화사적 흐름에 따라 바뀔 뿐이다. 다시 말해, 시대와 문화를 떠나 ‘철학의 본성이나 철학의 문화적 역할’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로티는 철학의 정체나 문화적 역할에 관한 독점적 사고방식을 비판한다. 이런 사고방식과 연관된 대표적 이야기는 진리담론으로 규정될 수 있고, 그 세부 갈래로 표상주의와 표현주의가 있다. 그리고 이것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담론을 로티는 제안한다.
먼저, 표상주의는 외적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나 [언어적] 의미가 ‘표상적’이라는 주장이다. 이 주장에 대해, 언어는 표상적 매개물이 아니라 은유적 도구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비판이 뒤따른다. 다음으로, 표현주의는 ‘자아’의 본성이 ‘표현적’이라는 주장이다. 표현주의는 다시 본성의 특징에 따라 도덕주의와 낭만주의로 나뉜다. 도덕주의는 자아의 도덕적 행위는 내적 도덕의식의 ‘표현’이라는 주장이고, 낭만주의는 자아의 문예적 행위는 내적 상상력의 ‘표현’이라는 주장이다. 로티는 도덕주의를 비판하기 위해, 자아의 본성(가령 칸트적 ‘도덕의식’)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상이하게 서술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도덕적 ‘양심’에 관한 프로이트적 재서술을 통해 비판을 실행한다. 한편, 로티는 낭만주의를 비판하기 위해 또 다른 자아의 본성인 ‘시적 상상력’에 대해 재서술한다. 이 능력은 자아의 또 다른 신비한 능력이 아니라 새로운 어휘를 창안해서 자아를 재서술하는 어휘 창안 능력일 뿐이다. 로티는 이러한 세 가지 비판을 통해 언어를 탈신격화시키고 그 결과 세계와 자아를 탈신격화시킨다. 그 귀결은 탈신격화된 문화이다. 이 문화 속에서 우리는 ‘믿음과 욕망 들의 그물망’인 자아를 새롭게 재서술하면서 재직조하는 삶을 적극적으로 긍정하면서 살아간다.
This essay relates to Rortian philosophy of culture. Specially, I aim to construct Rortian approach with my critical mind of what is cultural role of philosophy. On Rorty, cultural roles of philosophy can’t answer independently of history and society. As if cultural streams have changed with the str...
This essay relates to Rortian philosophy of culture. Specially, I aim to construct Rortian approach with my critical mind of what is cultural role of philosophy. On Rorty, cultural roles of philosophy can’t answer independently of history and society. As if cultural streams have changed with the streams of the times, similarly philosophical roles have changed with them. Moreover, identities of philosophy also have changed with history of culture. That is to say, ‘a nature of philosophy and the cultural roles of philosophy’ are not independently of history and society. Thus Rorty criticizes a exclusive way of thinking in regard of philosophical identities and of cultural roles of philosophy. Narrations having something to do with such exclusive way of thinking can be contained into discourse of truth. This discoure includes the talks of representationalism and expressionism. And so Rorty criticizes them and suggests alterative discourses of them. Firstly, representationalism is a claim that our knowings or meanings to the external world are ‘representational’. But to criticize the claim, it should be understandable for language to be not representational medium but metaphoric instrument. Secondly, expressionism is a claim that the nature of self is ‘expressional’. Again, Expressionism is divided into moralism and romanticism according to a specific nature of self. Moralism is a claim that a moral action is an ‘expression’ of internal moral consciousness. Also, Romanticism is a claim that a literary action of self is an ‘expression’ of internal poetic imagination. To criticize moralism, Rorty show being able not to fix nature of self - for example, Kantian ‘moral consciousness’ - but to redescribe differently it. Specially, he carry out the criticism by Freudian redescriptions of the moral ‘consciousness’. And he, to critic romanticism, redescribe some ‘poetic imagination’ of the nature of self. This capacity is not a mysterious capacity, instead it can be redescribed as capacity of vocabulary-creation to redescribe differently self. Rorty, with such three sorts of criticism, de-divinizes language, and thus de-divinizes the world and self. Consequently, it draws a de-divinized culture. In this culture, we live in and affirm details of life, redescribing and reforming the self of ‘network of beliefs and desires’.
This essay relates to Rortian philosophy of culture. Specially, I aim to construct Rortian approach with my critical mind of what is cultural role of philosophy. On Rorty, cultural roles of philosophy can’t answer independently of history and society. As if cultural streams have changed with the streams of the times, similarly philosophical roles have changed with them. Moreover, identities of philosophy also have changed with history of culture. That is to say, ‘a nature of philosophy and the cultural roles of philosophy’ are not independently of history and society. Thus Rorty criticizes a exclusive way of thinking in regard of philosophical identities and of cultural roles of philosophy. Narrations having something to do with such exclusive way of thinking can be contained into discourse of truth. This discoure includes the talks of representationalism and expressionism. And so Rorty criticizes them and suggests alterative discourses of them. Firstly, representationalism is a claim that our knowings or meanings to the external world are ‘representational’. But to criticize the claim, it should be understandable for language to be not representational medium but metaphoric instrument. Secondly, expressionism is a claim that the nature of self is ‘expressional’. Again, Expressionism is divided into moralism and romanticism according to a specific nature of self. Moralism is a claim that a moral action is an ‘expression’ of internal moral consciousness. Also, Romanticism is a claim that a literary action of self is an ‘expression’ of internal poetic imagination. To criticize moralism, Rorty show being able not to fix nature of self - for example, Kantian ‘moral consciousness’ - but to redescribe differently it. Specially, he carry out the criticism by Freudian redescriptions of the moral ‘consciousness’. And he, to critic romanticism, redescribe some ‘poetic imagination’ of the nature of self. This capacity is not a mysterious capacity, instead it can be redescribed as capacity of vocabulary-creation to redescribe differently self. Rorty, with such three sorts of criticism, de-divinizes language, and thus de-divinizes the world and self. Consequently, it draws a de-divinized culture. In this culture, we live in and affirm details of life, redescribing and reforming the self of ‘network of beliefs and desir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