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화 〈블레이드 러너〉에 나타난 인간 주체성의 해석
The Construction of Human Subjectivity in Ridley Scott"s Blade Runner

문학과 영상=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film, v.3 no.2, 2002년, pp.263 - 279  

Sohyoung Chung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모더니즘에 이르러 주체성의 근원으로 여겨지던 인간의 의식은 언어철학의 등장으로 언어학적인 구성물로 재인식된다. 더 나아가, 인간의 주체성은 한 개인의 독창적인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관계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규명된다. 주체성의 약화는 인간과 기계의 구분이 점점 모호해지고 있는 전자시대를 맞아 더욱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사이보그를 다루는 과학소설과 영화는 대부분 인간과 사이보그의 대비를 통해 인간의 주체성에 대한 탐구를 하고 있다. 많은 작품들이 인간과 사이보그와의 대립을 그리지만 대부분 인간의 우월성으로 이야기의 귀결을 맺는 반면 리들리 스콧(Ridly Scott) 감독의 〈블레이드 러너〉(Blade Runner 1982)는 인간과 기계인간의 경계선을 무너뜨리며 인간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동시에 제시하고 있다.

〈블레이드 러너〉는 ‘레플리컨트(replicant)’라는 인간과 같은 모습을 한 사이보그를 등장시켜 여러 측면에서 인간과 비교한다. 고도의 과학기술의 발전은 육안으로 식별이 불가능한 인간과 동일한 신체를 지닌 사이보그를 만들어낼 뿐만 아니라 이 사이보그에게 감정과 기억능력, 자신이 인간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는 자아에 대한 의식까지도 부여한다.

그 결과 인간과 사이보그의 구별은 불가능해질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무의미한 것이 된다. 그러나 〈블레이드 러너〉에서 주장하는 것은 이러한 인간주체성의 소멸에 대한 회의와 인간의 우월성을 회복하려는 인본주의적 회귀가 아니라 우리는 이미 또 다른 진화의 단계에 들어섰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하면 사이보그는 인간과 구별되는 타자(他者)가 아니라, 단지 한 단계 더 진화된 인간의 모습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것이다. 〈블레이드 러너〉가 제시하고 있는 인간성의 정의는 인간은 커다란 진화과정의 한 단계일 뿐이라는 푸코, 그리고 우리 모두 사이보그라고 선언한 하라웨이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한다. 〈블레이드 러너〉는 인간의 주체성을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각에서 탐구한다는 점에서 다른 사이보그 영화들과는 분명한 경계선이 그어지는 영화라 할 수 있다.

주제어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