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상계』와 대중문화 담론 - 지식인ㆍ대중ㆍ영화를 중심으로
Discussion on Sasanggye and Pop Culture - Focusing on Intelligence, Public and Film

國際語文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v.54, 2012년, pp.419 - 462  

한영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는 1950~60년대 대중문화의 본격적인 정착기에 대중문화가 어떻게 지식인들에게 받아들여졌는지에 대해 분석했다. 대중문화 분야 중에서도 특히 대중문화의 꽃으로 대표된 영화를 중심으로 대중문화에 대한 다양한 논점들을 살펴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당시 대표적인 종합지 『사상계』에 게재된 영화 관련 기사들을 분석했다. 그리고 지식인과 대중, 대중문화의 관계에 대한 여러 논의들을 종합하여 전반적으로 1950~60년대 대중문화 양상을 가늠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사상계』의 대중문화 담론이 영화계의 담론 형성과 어떠한 차별성을 보여 주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면서 논의를 전개했다. 『사상계』에 게재된 영화 관련 글은 주로 지식인들의 교양을 충족시키는 수단으로 작용했다. 특히 지식인들은 주로 서구의 유명한 예술 영화를 전범으로 설정하고 그와 관련된 글을 게재하는 양상을 보인다. 반면 한국 영화는 저급한 대중들에게 호소하는 것으로 치부, 대중들이 영화를 통해 더욱 수동적인 존재로 전락한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양상은 대중과 대중문화, 지식인의 관계에 대한 글을 통해서 좀더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지식인들은 대중들이 저급한 수준의 매스미디어에 현혹되어 수동적인 존재로 전락하기 때문에 지식인들에게는 대중들을 계도할 사명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지식인이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태도와도 상통한다. 대중문화는 대중을 더욱 수준 낮은 존재로 전락시키는 것이므로 지식인들은 대중문화 현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이는 지식인들이 대중문화로서의 영화를 비판하는 관점과도 일치한다. 지식인들의 이러한 태도는 대중문화가 대중의 삶을 반영하면서도 예술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영화계의 시각과는 상충되는 것이다. 상업영화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비판하는 지식인들의 태도는 대중문화의 특성과 성격을 제대로 수렴하지 못한 채 무조건적으로 배격하는 편협한 인식의 발로라고 할 수 있다. 점차 증대해가는 대중문화의 양상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그것을 좀더 객관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1950~60년대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올바른 방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문화는 그 정착기에서부터 이미 저급성과 상업성에 의해 재단되었고 이는 이후로도 지속된 사회적 통념이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analyzed how pop culture was received by intelligence at the stage of full stabilization of pop culture in 1950s and 60s. It dealt with various points on pop culture focusing on films representing pop cultur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rticles regarding films published on Sasangg...

주제어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