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가정 내에서 결혼이주민 여성인 어머니가 사용하는 언어환경에 따라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언어양상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는 결혼이주민 여성과 그들의 자녀, 연구대상 유아의 유치원교사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이들 유아에게 표준화된 언어발달 검사를 실시하여 언어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경험하는 언어환경을 어머니가 다중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어머니가 모국어를 사용하는 경우,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와 배우자(부)의 모국어를 균형 있게 사용하는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유아의 언어양상을 분석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다중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유아는 복합문장이나 완성된 문장보다는 단문과 단어를 사용하였으며 수용어휘의 부족과 상황에 맞는 어휘사용에서 오류를 범하거나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모국어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는 또래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도 소극적인 태도나 침묵하기, 웃거나 고개끄덕이기 등의 비언어적 표현을 주로 사용하였다. 셋째,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와 배우자의 모국어를 균형 있게 사용하고 아버지가 지속적인 언어교육에 참여한 경우에 유아는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에서 혼란을 보이거나 큰 어려움이 없었으며 이중언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하고 사회적 관계에서도 자신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민 여성이 사용하는 언어환경이 그들 자녀에게 깊은 영향을 미치며 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해서는 어머니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와 육아에 대한 아버지의 역할증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가정 내에서 결혼이주민 여성인 어머니가 사용하는 언어환경에 따라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언어양상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는 결혼이주민 여성과 그들의 자녀, 연구대상 유아의 유치원교사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이들 유아에게 표준화된 언어발달 검사를 실시하여 언어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경험하는 언어환경을 어머니가 다중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어머니가 모국어를 사용하는 경우,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와 배우자(부)의 모국어를 균형 있게 사용하는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유아의 언어양상을 분석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다중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유아는 복합문장이나 완성된 문장보다는 단문과 단어를 사용하였으며 수용어휘의 부족과 상황에 맞는 어휘사용에서 오류를 범하거나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모국어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는 또래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도 소극적인 태도나 침묵하기, 웃거나 고개끄덕이기 등의 비언어적 표현을 주로 사용하였다. 셋째, 어머니가 자신의 모국어와 배우자의 모국어를 균형 있게 사용하고 아버지가 지속적인 언어교육에 참여한 경우에 유아는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에서 혼란을 보이거나 큰 어려움이 없었으며 이중언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하고 사회적 관계에서도 자신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민 여성이 사용하는 언어환경이 그들 자녀에게 깊은 영향을 미치며 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해서는 어머니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와 육아에 대한 아버지의 역할증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at finding language environments whic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and what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are. To achieve the purpos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se nationalities ...
This study aimed at finding language environments whic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and what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are. To achieve the purpos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se nationalities are Philippines, Vietnam, China and Japan, and each child’s teacher. The language environments whic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were categorized into three fields: the case that their mothers primarily speak in multi-lingual, the case that they communicate in mother tongue, and the case that they harmoniously use their native language and spouse’s mother tong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that their mother primarily speaks in multi-lingual, children used more simple sentences or words than complex sentences or complete sentences, and experienced insufficient vocabulary ability, errors and linguistic confusion in proper word usage. Second, in the case that their mother communicates in their native languages, children often used non-verbal expressions in verbal interaction with peers, such as negative attitude, silence, just smiling and nodding. Third, in the case that a mother harmoniously uses her native language and her spouse’s mother tongue and her husband constantly participates in language training, children had no confusion or difficulty in vocabulary ability and expression, and had a good command of bilingual languages and showed confidence in social relationship.
This study aimed at finding language environments whic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and what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are. To achieve the purpos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se nationalities are Philippines, Vietnam, China and Japan, and each child’s teacher. The language environments whic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were categorized into three fields: the case that their mothers primarily speak in multi-lingual, the case that they communicate in mother tongue, and the case that they harmoniously use their native language and spouse’s mother tong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that their mother primarily speaks in multi-lingual, children used more simple sentences or words than complex sentences or complete sentences, and experienced insufficient vocabulary ability, errors and linguistic confusion in proper word usage. Second, in the case that their mother communicates in their native languages, children often used non-verbal expressions in verbal interaction with peers, such as negative attitude, silence, just smiling and nodding. Third, in the case that a mother harmoniously uses her native language and her spouse’s mother tongue and her husband constantly participates in language training, children had no confusion or difficulty in vocabulary ability and expression, and had a good command of bilingual languages and showed confidence in social relationship.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