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폭설 리스크 평가: 교통시설 및 건축물 피해를 중심으로
Risk Assessment of Heavy Snowfall Considering Climate Change: Focusing on Damage to Roads and Buildings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9 no.2, 2019년, pp.57 - 68  

이상혁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강정은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구름과 눈의 양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폭설의 강도가 늘면서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적설 빈도와 강도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적절한 적응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기온상승에 따른 고온 현상과 풍수해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진행된 반면, 폭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정량적 평가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와 미래의 폭설 리스크를 교통시설과 건축물 피해 측면에서 평가해보고, 폭설로 인한 피해가 우려되는 위험지역을 도출하고자 한다. 현재의 폭설 리스크는 과거정보를 기반으로 베이지안 확률통계기법을 활용했으며, 미래 폭설 리스크 평가를 위해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도출된 적설량 자료를 활용하였다. 현재는 강원도, 충청남도 및 전라도의 연안지역에서 높은 폭설 리스크를 보였으며,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하면 단기미래(2030년)에서 장기미래(2080년)로 갈수록 한반도 남부와 내륙지역으로 리스크가 확장되어 위험지역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amount of snowfall and clouds is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the severity of resulting damages is also increasing.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cenario,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snowfall are expected to increase, for which proper adaptation efforts are needed. In Korea, althou...

주제어

참고문헌 (41)

  1. 안소라, 이준우, 김성준.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강설량 예측 및 폭설 취약지역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35, no.3, 545-556.

  2. 2007 

  3. 2012 

  4.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heavy snowfall and response Han 39 2011 

  5. Increase and countermeasure of heavy snowfall areas due to climate change Han 1 2014 

  6. Hwang, Dae Ju, Lee, Suk Ho, Kim, Mun Mo, Kim, Byung Sik. Predicting Disaster Vulnerability in Gangwon Province Using the Disaster Risk Index Based on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s. Crisisonomy, vol.12, no.11, 85-97.

  7. 2001 

  8. 2007 

  9. 2014 

  10. 2018 

  11. 10.14383/cri.2014.9.2.125 

  12. Kim 2013 

  13. A study on selection for vulnerable area of urban flooding adaptable capacity using MaxEnt in Seoul Kim 205 2013 

  14. 10.17208/jkpa.2016.04.51.2.255 

  15. Spatio-temporal analysis of snowfall for 5 heavy snowfall areas in South Korea Kim 103 2012 

  16.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daptation ability by vulnerability analysis of heat wave: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Koo 331 2015 

  17. 구유성, 이성호, 이달별, 정주철. 폭설 위험요인의 지역 유형화를 통한 설해 저감방안 연구 -부산광역시의 도로를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15, no.2, 393-398.

  18. 2014 

  19. 권순호, 박희성, 정건희. 대설피해에 따른 방재취약성 분석 및 대응대책 방안.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16, no.2, 363-368.

  20. Lee 2014 

  21. 이명진, 강정은. 빈도비 모델과 GIS을 이용한 침수 취약 지역 예측 기법 개발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15, no.2, 86-102.

  22.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air pollution using entropy weights: Focused on ozone Lee 751 2015 

  23. 이상혁, 강정은, 박창석. 베이지안 확률통계와 GIS를 연계한 기후변화 도시홍수 리스크 평가: 서울시 서초구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19, no.4, 36-51.

  24. 2014 

  25. 2016 

  26. 2017 

  27. A study on the compound-disaster risk assessment by utilizing the bayesian network Nam 2014 

  28. 2010 

  29. 2018 

  30. Oh 201 2012 

  31. 오세민, 김길호, 정영훈, 김덕환, 김형수. PROMETHEE 기법을 이용한 폭설위험도 평가 -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15, no.1, 87-98.

  32. Oh, YeoungRok, Jeong, Sangman, Chung, Gunhui. Snow Depth Criteria for Snow Damage Warning Using Statistical Analysis.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17, no.2, 327-337.

  33. Park 2014 

  34. 박희성, 정상만, 정건희.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미래 신적설일수와 최심신적설 빈도 분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14, no.6, 365-377.

  35. 10.17208/jkpa.2014.04.49.2.347 

  36. Shin 3 2012 

  37. 2014 

  38. Yoo 2008 

  39. Won 2013 

  40. 원종석, 배윤신, 김상균. 서울시 도로의 폭설대응방안 연구 : 서초 1동을 중심으로.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ol.16, no.3, 67-74.

  41. 201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