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국어와 외국어 어휘 산출과 언어 switch 에 따른 뇌 활성화 영역
Brain activation areas associated with L1 and L2 vocabulary retrieval and language switching 원문보기

한국인지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2002 May 01, 2002년, pp.203 - 207  

남기춘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이동훈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동휘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재활의학과) ,  문양호 (육군사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람이 모국어인 한국어 단어를 산출할 때와 외국어인 영어 단어를 산출할 때 관여하는 대뇌 영역을 fMRI 를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단일 언어를 산출할 때와 두 언어를 수시로 바꾸어서 인출할 때 관련되는 뇌 영역이 어디인지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는 외국어를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 12 세 근처에서 배우기 시작한 대학생이었다. 흔히 분류하는 방식으로 late learner로 구분되는 학생들이었다. 한 피험자가 세 종류의 실험 모두에 참여하였다. 피험자의 실험과제는 그림을 보고 그림에 해당되는 이름을 인출하여 말하는 과제였다. 실험 1, 2, 3 모두에서 사건관련 fMRI(event-related fMRI) 기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그림을 보고 그림 이름에 해당되는 한국어 어휘와 외래어 어휘를 산출하게 하였다. 언어관련 뇌영역인 Wernicke 영역, Broca 영역, SMA 영역, SMG 영역 등에서 유의미한 활성화가 있었다. 실험 2 에서는 실험 1 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그림을 사용하여 그림의 영어 이름과 외래어 이름을 인출하게 하였다. 외국어인 영어 단어를 산출할 때에도 모국어 단어를 산출할 때와 유사한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특히 외래어 산출 시에는 뇌 활성화 영역이 모국어와 영어 단어 산출할 때와 모국어 산출할 때 활성화되는 공통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모국어 산출과 영어 단어 산출의 차이점은 외국어 산출 시에 활성화 영역이 전반적으로 더 컸다는 것과 외국어 단어 산출 시에 Broca 영역보다 조금 밑쪽에서 그리고 모국어 단어 산출시에는 전전두엽 영역에서 더 많은 활성화가 있었다. 실험 3 에서도 실험 1 과 실험 2 에 사용하지 않았던 그림을 사용하였다. 실험 3 의 특이한 결과는 언어 switching 이 있는 경우에 전통적인 언어 영역 활성화 외에 전전두엽의 활성화가 컸다는 것이다. 아마도 언어를 바꾸어 가면서 단어를 산출하는 것이 전전두엽의 정보선택과정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어휘 산출시에 모국어 어휘, 외국어 어휘, 외래어 등을 산출할 때 공통되는 언어 영역과 언어 특성적 영역이 활성화된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 같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어를 사용할 수 있으나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서 10세를 전후로 배우기 시작한 한국인 피험자가 그림을 보고 그림에 해당되는 이름을 모 국어 혹은 외국어인 영어로 산출하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뇌 영역이 어디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 되었다. 실험 1에서는 한국어 혹은 영어로만 그림의 이름을 산출하는 경우에 모국어 담당 영역과 외국어 담당 영역이 다른지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뇌 기능 영상기법인 fMRI의 최신 기법인 사건 관련 뇌 기능 영상(event related fMRI)를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언어 간 전환에 따른 영역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건 관련 뇌 기능 영상은 기존의 fMRI의 실험 설계였던 블록설계 (box-car design)에 비해 하나의 자극에 의한 뇌 활성화 신호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자극를 임의적인 순서로 제시할 수 있는 장점과 실험 참가자의 습관화 (habituation)를 피하고 과제에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실험 1에서는 한국어 혹은 영어로만 그림의 이름을 산출하는 경우에 모국어 담당 영역과 외국어 담당 영역이 다른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2는 산출해야 하는 언어가 모국어에서 외국어로 혹은 외국어에서 모국어로 무선적으로 변하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영역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 1의 결과는 외국어 단어를 산출할 때 보다 모국어 단어를 산출할 때에 더 많은 활성화가 있었다.
  • 실험 2는 언어 간 교환(switching)에 따른 뇌 활성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