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수 나눗셈에서 몫과 나머지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Quotient and Remainder in Division of Decima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9 no.3, 2016년, pp.193 - 210  

정상태 (사천동성초등학교)

초록

연구자는 중상위권 이상의 학생들에게서, 문장제로 주어진 $10{\div}2.4$의 문제에서 몫을 4, 나머지를 4로 기록한 사례를 목격할 수 있었다. 이러한 흥미로운 반응으로부터 연구자는 소수 나눗셈에서 몫과 나머지를 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자세히 살펴보고, 분석한 문제점에 따른 지도방안을 구안하였다. 연구결과 많은 학생들이 소수 나눗셈에서 나머지의 소수점 처리에서 오류를 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것이 세로 나눗셈 알고리즘의 몫과 나머지 처리에서 발생하는 어려움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개선 방안으로, 가분수와 대분수의 특징을 살려 분수형태로 표현된 나눗셈의 결과에서 몫과 나머지를 인식하는 방식의 교수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세로 나눗셈 방식이 갖는 것과의 비교를 통해, 각각의 방식이 갖는 장단점을 이용함과 동시에 소수 나눗셈의 몫과 나머지를 구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10{\div}2.4$ problem situation, we could find that curious upper and middle level students' solution. They solved $10{\div}2.4$ and wrote the result as quotient 4, remainder 4. In this curious response, we researched how students realize quotient and remainder in divis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에네스(Dienes)의 수학적다양성의 원리는 무엇인가? 이러한 내용 제시 방식은 ‘변수를 포함한 개념은 비본질적인 변수를 가능한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경험을통해 학습되어야 한다’는 디에네스(Dienes)의 수학적다양성의 원리(강옥기 외, 2012)와도 일맥상통하며 하나의 개념이라도 여러 관점에서 조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몫과 나머지를 조명하는데 있어서도 여러 관점의 조명이, 학생의 개념 습득을 공고하게 하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
국어사전에서 설명하는 나머지의 의미는? 국어사전(국립국어원, 2015)은 몫을 ‘여럿으로 나누어 가지는 각 부분’, ‘나눗셈에서 피제수를 제수로 나누어 얻는 수’로 정의하며, 수학에서는 후자의 의미를 주로 사용한다. 나머지는 ‘어떤 한도에 차고 남은 부분’, ‘어떤 일을 하다가 마치지 못한 부분’이라는 의미와 함께 ‘나누어 똑 떨어지지 아니하고 남는 수’라는 수학적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국립국어원, 2015). 이렇듯 국어사전적 정의에서 몫과 나머지는 일상적인 상황과 수학적인 상황 모두에 해당되는 설명을 포함하는데, 박교식(2011)은 몫과 나머지라는 용어가 일상어에서 출발하여 수학적 의미가 확립되었다고 말한바 있다.
계통성이란? 그런데 학생들이 알고 있는 것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것은 수학의 특징 중 계통성과 긴밀히 연결된다. 계통성은 어떤 기초적인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그 기반 위에 다른 내용을 더 첨가함으로써 발전되고 통합된 새로운 내용을 일관성 있게 이어나가는 것을 말하 며(강문봉 외, 2013), 특히 어떠한 개념이 교수학적 변환 과정을 거쳐 제시된다 하더라도 그 변환된 내용이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중등학교 교육과 정과도 논리적이고 일관되게 적용되어야 함을 노은환 외(2015)는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계통성을 유지하여 학습 내용이 제시되더라도, 새롭게 학습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기존의 것과는 다른 여러 가지 면이 존재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Reys, R. E., Suydam, M. N., Lindquist, M. M., & S mith, N. L. (1999). 초등 수학 학습 지도의 이해. (강문봉 외 18인 역). 서울: 양서원. (영어 원작은 1998 출판) 

  2. 강문봉 외 (2013). 초등수학교육의 이해. 서울: 경문사.(Kang, M. M., Kang, H. K., Kim, S. M., Park, K. S., Park, M. H., Seo, D. Y., Song, S. H., Yoo, H. J, Lee, J. Y., Lim, J. H., Jeong, D. K., Jeong, E. S. & Jeong, Y. O. (2013). Th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Seoul: Kyungmoonsa.) 

  3. 강옥기 외 (2012). 초등수학교육학 신서. 서울: 교우사.(Kang, O. K., Kang, Y. S., Ko, S. S., Ko, H. K., Kwon, N. Y., Kim, K. Y., Kim, R. Y., Kim M. K., Kim, E. H., Ki m, I. P., Roh, S. S., Seo, B. E., Shin, J. H., Lee, S. J., Lee, J. K., Jeong, I. C., Han, I. K., Heo, H. J. & Hwan g, W. H. (2012). The New Book of Mathematics Education. Seoul: Kyowoosa.) 

  4. 교육부 (2011). 초등학교 수학 6-1.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1).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6-1. Seoul: Chunjae Education.) 

  5. 교육부 (2014a). 초등학교 수학 3-1.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4a).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3-1. Seoul: Chunjae Education.) 

  6. 교육부 (2014b). 초등학교 수학 3-2.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4b).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3-2. Seoul: Chunjae Education.) 

  7. 교육부 (2014c). 초등학교 수학 4-1.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4c).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4-1. Seoul: Chunjae Education.) 

  8. 교육부 (2015a). 초등학교 수학 5-1.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5a).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5-1. Seoul: Chunjae Education.) 

  9. 교육부 (2015b). 초등학교 수학 5-2.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5b).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5-2. Seoul: Chunjae Education.) 

  10. 교육부 (2015c). 초등학교 수학익힘책 5-2.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5c).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studing book 5-2. Seoul: Chunjae Education.) 

  11. 교육부 (2015d). 초등학교 수학 6-1.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5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6-1. Seoul: Chunjae Education.) 

  12. 교육부 (2015e). 초등학교 수학익힘책 6-1.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5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studing book 6-1. Seoul: Chunjae Education.) 

  13. 교육부 (2015f).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6-1.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5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guide book 6-1. Seoul: Chunjae Education.) 

  14. 김응태.박승안 (2016). 정수론(제 8판). 서울: 경문사(Kim, S. T. & Park, S. A. (2013). Number theory. Seoul: Kyungmoonsa.) 

  15. 김창수.전영배.노은환 (2011). 유한소수에서의 나눗셈알고리즘.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0(3), 309-327.(Kim, C, S.; Jun, Y, B. & Roh, E, H. (2011). The divission algorithm for the finite decimals. Journal of the Korea 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al Series A 50(3), 309-327.) 

  16. 노은환.정상태.김민정 (2015). 초등 수학에서 자연수와 분수의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 익히기 및 연산 사이의 연결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4), 563-588.(Roh, E. H., Jeong, S. T. & Kim, M. J. (2015). An analysis of matering concept and connection with operations in natural number and frac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9(4), 563-588.) 

  17. 박교식 (2011).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용어 등재와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의 적합성에 관한 논의.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21(4), 361-378.(Park, K, S. (2011). A discussion on suitability of registering term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using term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1(4), 361-378.) 

  18. 박교식.권석일 (2012).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소수 나눗셈에서의 몫과 나머지 취급에서 나타나는 부적절한 관념과 그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22(4), 445-458.(Park, K. S. & Kwon, S. I. (2012). A study on impropernotions appeared in dealing with quotient and remainder in division for decimal numbers in Korean elementary math textbooks and its improvem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2(4), 448-458.) 

  19. 이대현 (2011). 초등수학 지도의 원리와 방법. 경기: 동명사.(Lee, D. H. (2011). The Principles and Method to Teach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Gyeonggi: Dongmyungsa.) 

  20. 이용률 (2010). 초등학교 수학의 중요한 지도 내용. 서울: 경문사.(Lee, Y. L. (2010). The Important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Seoul: Kyungmoonsa.) 

  21. R, Ashlock. (2013). 남승인.류성림.권오용.남현준.류윤재.이목형.이장호 역.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초등수학 교수법.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10 출판) 

  2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3. Reys, R. E, Suydam, M. N., Lindquist, M. M, & Smith, N. L. (2012). 박성선.김민경.방정숙.권점례 역.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9 출판) 

  24. Van de Walle, J. A., Karp, K. S., & Bay-Williams, J. M. (2008). 남승인.서찬숙.최진화.강영란.홍우주.배혜진.김수민 역.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4 출판)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