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영 한의학사전 편찬에 관한 연구
Study on Compiling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한의학연구원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1999-09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0200052428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Ⅰ.제 목 한ㆍ영 한의학 사전 편찬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본 연구는 한의학의 세계화와 국제경쟁력에 확보에 있어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일이다. 중의학은 국가의 대대적인 지원으로 날로 세계로 뻗어 나가고 있다. 줌의학 관련 많은 서적들이 이미 각국의 언어로 번역되어 있다. 이에 반해 우리 한의학은 중의학과 비교해 볼 때 이론적인 면에서나 임상적인 면에서 분명히 색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세계로 알리려는 노력이 거의 없었다. 이제 우리도 국제화 시대에 걸맞게 우리의 한의학을 세계 시장에 널리 알려야

Abstract

1. Title Editing Korean-English Oriental Medicine Dictonary 2. The purpose and the need of the work This work is the first step in globalizing Oriental Medicine. TCM is ganing its recognition under strong support of the Chinese government. The literatures of TCM are already translated into vari

목차 Contents

  • 제1장 서 론 ... 9
  •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9
  • 제2절 연구개발의 범위 ... 9
  • 제2장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 ... 10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11
  • 제1절 연구방법 ... 11
  • 제2절 연구내용 ... 12
  • 제3절 연구결과 ... 12
  •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 13
  • 제1절 목표 달성도 ... 13
  • 제2절 대외 기여도 ... 13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4
  • 제6장 참고문헌 ... 15
  • 『한ㆍ영 한의학 사전』에 대한 개요 ... 25
  • 1.의의 ... 25
  • 2.영역 원칙 ... 25
  • 3.분류 및 실례 ... 26
  • 4.기타 ... 29
  • 일러두기 ... 30
  • 1.표제어의 표기 ... 30
  • 2.표제어의 차례 ... 30
  • 3.대체어(代替語)의 표기 ... 31
  • 4.동의어의 표기 ... 32
  • 5.설명문의 서술 ... 33
  • 6.부록 ... 34
  • 부록1.약물의 학명, 생약명, 영어명 대조표 ... 965
  • 부록2.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처방명 ... 990
  • 부록3.경락 및 경락의 국제표준명(WHO 기준안) ... 1025
  • [ㄱ] ... 35
  • [ㄴ] ... 156
  • [ㄷ] ... 182
  • [ㄹ] ... 227
  • [ㅁ] ... 227
  • [ㅂ] ... 261
  • [ㅅ] ... 333
  • [ㅇ] ... 504
  • [ㅈ] ... 680
  • [ㅊ] ... 774
  • [ㅌ] ... 825
  • [ㅍ] ... 847
  • [ㅎ] ... 87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