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영양강화 목적의 식품첨가물 관리방안
Policy Development for managing food additives used for nutrient fortifica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정해랑
참여연구자 조양희 , 장영애 , 최성희 , 김우선 , 김도희 , 조영주 , 이지연 , 이현정 , 이연술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2-11
과제시작연도 2002
주관부처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관리전문기관 식품의약품안전청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등록번호 TRKO200300002315
과제고유번호 1470000756
사업명 식품의약품 안전성관리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circ}$ 국내 영양강화 목적 첨가물의 지정품목 및 사용조건
- 일반식품, 특수영양식품
${\circ}$ 국내 영양강화 목적 첨가물의 주요국 관리현황
${\circ}$ 시중 제품에 사용된 강화제의 종류
- 시판 중인 특수영양식품 253종을 구입하여 표시내용 분석
${\circ}$ 강화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관련 정책 조사, 분석

Abstract

A. Review of current management system for food additives used for nutrient foitification
${\circ}$ Comparison of foreign and domestic acts and regulations for substances that may be added for specific nutritional purposes in foods for particular nutritional uses as well as general foo

목차 Contents

  • 표지...1
  • 제출문...2
  • 차례...3
  • 표차례...5
  • 국문요약문...7
  • SUMMARY...11
  • 제1장 서론...15
  • 1. 연구의 필요성...15
  • 2. 연구목표...17
  • 3. 연구 추진체계...18
  • 제2장 영양강화 목적의 식품첨가물에 관한 국내외 관리동향...19
  • 1. 개별식품의 비타민, 무기질 규격정비...19
  • 2. 강화물질 지정절차의 보완...24
  • 3. 비타민 및 무기질의 상한 섭취량...25
  •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27
  • 제1절 강화제 지정현황...27
  • 1. 우리나라...29
  • 2. 일본...37
  • 3. 미국...48
  • 4. 유럽연합...55
  • 5. 코텍스...66
  • 6. 강화제 지정품목의 국가별 비교...75
  • 제2절 시판 제품의 강화제 표시실태...94
  • 1. 조사목적...94
  • 2. 조사내용 및 방법...94
  • 3. 조사결과...94
  • 4. 요약 및 결론...102
  • 제3절 주요국의 강화제 관련정책...103
  • 1. 영양소 상한섭취량...103
  • 2. 필수영양소의 첨가원칙...125
  • 3. 영양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물질의 심사기준...129
  • 제4절 관리현황 평가 및 개선방안...146
  • 1. 평가...146
  • 2. 개선방안...149
  •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156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과 및 계획...159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160
  • 참고문헌...161
  • 부록...164
  • 1. 한국의 강화제 지정품목 총 목록...165
  • 2. 보건기능식품에 있어서 캡슐, 정제 등 통상의 식품형태가 아닌 식품의 성분이 되는 물질의 지정 및 사용기준개정에 관한 지침(일본)...171
  • 3. 보건기능식품인 캡슐, 정제 등 통상의 식품형태가 아닌 식품의 성분이 되는 물질의 지정 또는 사용기준개정에 관한 절차...173
  • 4. 보건기능식품인 캡슐, 정제 등 통상의 식품형태가 아닌 식품의 성분이 되는 물질의 지정 및 사용기준개정의 요청서에 첨부해야만 하는 자료...175
  • 5. 영양소 상한섭취량에 관한 유럽연합 식품과학위원회의 의견...198
  • 6. 유아용조제식 및 성장기용 조제식에서 저항단쇄탄수화물(올리고당) 사용에 관한 유럽연합 식품상임위원회의 성명...26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