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가족정책의 쟁점과 가족환경변화
The Issues of Family Policies and the change of family environment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1-10
과제시작연도 2011
주관부처 여성가족부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MOGEF)
등록번호 TRKO201300015099
과제고유번호 1105005535
사업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13-09-28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300015099

초록

본 연구는 한국사회가 직면하게 될 가족을 둘러싼 변화에 대한 대안을 가족정책이라는 틀 속에서 모색하려고 시도했다. 대부분의 산업화된 복지국가들에서 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결혼관계의 변화, 젠더역할의 변화, 인구고령화 등 가족과 가족을 둘러싼 변화에 직면해 있지만 그 사회적 결과가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어떤 국가는 여전히 높은 출산율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어떤 국가들은 저출산의 질곡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현상이 비교연구를 필요로 한다. 비교연구는 이처럼 결혼연령이 높아지고, 여성의 교육연수가 길어

Abstract

The study examined changes surrounding families in current Korean society focusing on the rapid decrease in birth rate specific to Korea. The paper is to discuss the restructuring of the family policy from a gender-integrating perspective. Government interventions in people's lives is quite limited,

목차 Contents

  • 표지 ... 1
  • 가족의 미래와 여성・가족정책전망(Ⅰ) ... 3
  • 연구요약 ... 4
  • 목 차 ... 18
  • 표 목 차 ... 22
  • 그 림 목 차 ... 24
  • Ⅰ. 서 론 ... 26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27
  • 2. 연구방법: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 28
  • 3. 연구보고서의 프레임 ... 29
  • 4. 연구의 내용과 구성 ... 32
  • Ⅱ. OECD 주요국 가족의 변화와 현재 ... 34
  • 1. 합계출산율과 여성고용율의 변화 ... 36
  • 2. OECD 주요국의 가구구성, 혼인, 동거, 이혼의 현재 ... 40
  • 3. 다양성, 외국인 거주비율, 국제결혼 ... 46
  • 4. 정리 ... 48
  • 제1부 미래 전망을 위한 다양한 가족정책 유형화의 시도 ... 50
  • Ⅲ. 젠더관점에서 본 가족정책 유형 ... 51
  • 1. 문제제기 ... 52
  • 2. 젠더 레짐의 다양성 ... 54
  • 가. 복지 레짐, 젠더 레짐, 돌봄 레짐 ... 54
  • 나. 젠더 레짐에 따른 유형화 분석틀 ... 60
  • 3. 새로운 젠더 레짐 ... 67
  • 가. 젠더 레짐의 최근 양상 ... 67
  • 나. 새로운 젠더 레짐의 가능성 ... 78
  • 다. 유형별 특성 분석 ... 83
  • 4. 요약 및 함의 ... 87
  • Ⅳ. 가족책임주의와 복지국가의 가족정책비교: 돌봄의 사회적 제공방식의 유형화 ... 89
  • 1. 문제제기 ... 90
  • 2. 가족책임주의와 가족정책유형 ... 91
  • 가. 가족주의 ⊃ 가족책임주의 ... 91
  • 나. 가족책임주의 ... 93
  • 다. 가족책임주의와 가족정책유형화 ... 95
  • 라. 분석과 분석을 위한 자료 ... 102
  • 3. 가족정책유형에 따른 정책특성 ... 103
  • 가. 공적․사적 탈가족화와 가족화의 일반 특성 ... 103
  • 나. 탈가족화: 공적방식 대 사적(시장)방식 ... 107
  • 다. 가족화: 공적방식 대 사적(시장)방식 ... 111
  • 4. 한국의 정책유형과 가족정책의 과제 ... 117
  • Ⅴ. 복지국가 체제로 본 가족정책: 돌봄정책의 전개와 한국적 함의 ... 120
  • 1. 서론 ... 121
  • 2. 복지국가와 돌봄 체제 ... 124
  • 3. 돌봄문제에 대한 국가별 대응 ... 128
  • 가. 영국 ... 128
  • 나. 프랑스 ... 135
  • 다. 스웨덴 ... 143
  • 4. 한국의 돌봄 정책의 형성과 변화 ... 150
  • 가. 가장 최소한의 개입과 가족책임 원칙 강조(1970년대-1990년대 후반) ... 150
  • 나. 돌봄의 시장기반의 탈가족화와 약한 가족화(참여정부 시기) ... 152
  • 다. 돌봄의 시장화, (재)가족화, 계층화 확대(이명박 정부 이후) ... 156
  • 5. 결론 및 정책함의 ... 158
  • Ⅵ. 동아시아 관점에서 본 가족정책: 가족 돌봄에서 사회적 돌봄으로 ... 162
  • 1. 서론 ... 163
  • 2. 동아시아의 가족과 여성 ... 165
  • 가. 동아시아의 가족 ... 165
  • 나. 변화하는 가족 ... 168
  • 다.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 171
  • 3. 동아시아의 가족정책 ... 175
  • 가. 일본 ... 175
  • 나. 타이완 ... 179
  • 다. 한국에의 시사점 ... 185
  • 4. 결론 : 가족 돌봄에서 사회적 돌봄으로 ... 188
  • 제2부 가족정책, 노동시장과 여성 내부의 차이 ... 190
  • Ⅶ. 가족정책, 일․가족 양립정책과 여성의 노동시장 조건 ... 191
  • 1. 성평등과 일-가족 양립 ... 192
  • 2. 일-가족 양립 정책의 개념과 영역 ... 193
  • 가. 일-가족 양립 정책의 정의 ... 193
  • 나. 일-가족 양립 정책의 영역 ... 195
  • 3. 영국, 프랑스, 스웨덴의 일-가족 양립 정책 ... 195
  • 가. 영국 : 아동빈곤 정책과 근로연계복지 정책으로서 일-가족 양립 정책 ... 195
  • 나. 프랑스 : 출산율과 실업율을 조절하기 위한 전략 ... 203
  • 다. 스웨덴 : 경제성장을 위한 여성노동력 활용 지원 전략 ... 213
  • 4. 영국, 프랑스, 스웨덴의 여성노동시장 조건의 비교 ... 219
  • 가. 출산률 추이 ... 219
  • 나. 취업률 추이 ... 220
  • 다. 여성의 파트타임 근로자 추이 ... 223
  • 라. 여성 임시․일용직 근로자 추이 ... 224
  • 마. 성별 임금격차 추이 ... 224
  • 바. 세 국가간 수렴과 특징 ... 226
  • Ⅷ. 가족정책, 여성 내 다양성과 차이 ... 228
  • 1. 문제제기 ... 229
  • 2. 주요국가의 대응사례 ... 231
  • 가. 여성의 경제활동 유무의 차이 ... 231
  • 나. 여성 내부의 양극화 ... 242
  • 다. 출신국가에 따른 차이 ... 246
  • 3. 한사회의 대응 ... 250
  • 가. 복지국가 논의와 돌봄노동 ... 251
  • 나. 여성들 간의 차이와 돌봄의 제도화 ... 253
  • 4. 결론 및 정책 함의 ... 258
  • Ⅸ. 결론 ... 261
  • 1. 정리 ... 262
  • 2. 결론 및 함의 ... 267
  • 참고문헌 ... 272
  • 부 록 ... 284
  • 부록 1. 계층적 군집분석 유형화 분석 결과 덴드로그램 (성별분업 기준 제외) ... 285
  • Abstract ... 286

표/그림 (7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