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보험 사각지대 해소 방안 - 사회보험료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노동연구원
Korea Labor Institute
연구책임자 이병희
참여연구자 강성태 , 은수미 , 장지연 , 도재형 , 박귀천 , 박제성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04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사업 관리 기관 한국노동연구원
Korea Labor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1300020887
DB 구축일자 2013-10-26

초록

이 연구는 사회보험 사각지대를 발생시키는 가장 큰 유형인 보험료의 미납 문제에 주목하여 사각지대의 발생원인, 규모와 실태를 밝히고, 사회보험료 지원정책의 필요성과 정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 설계, 입법화에 필요한 법적 정당화 근거와 법률적 쟁점을 다룬다.
◈ 사회보험 사각지대와 이중노동시장의 제도화
복지국가가 지속가능하려면 ‘안정적인 고용’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때의 안정적인 고용이란 생애기간 동안 고용되어 있는 기간이 길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만약 소득보장체계가 사회보험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목차 Contents

  • 표 지 ... 1
  • 책머리에 부쳐 ... 3
  • 목 차 ... 5
  • 표 목 차 ... 10
  • 그림목차 ... 12
  • 요 약 ... 13
  • 제1장 머리말 ... 19
  • 제1절 문제 제기 ... 19
  • 제2절 연구의 구성 ... 21
  • 제1부 사회보험 사각지대의 실태와 해소 방안 ... 23
  • 제2장 사회보험 사각지대와 이중노동시장의 제도화 ... 25
  • 제1절 머리말 ... 25
  • 제2절 사회적 시민권과 사회보험 ... 27
  • 제3절 노동시장과 사회보장의 이중구조화 : 대륙유럽의 경우 ... 30
  • 1. 노동시장의 이중구조화 ... 31
  • 2. 사회보장의 이중구조화 ... 34
  • 제4절 사회보장 사각지대의 암묵적 제도화 : 우리나라의 경우 ... 36
  • 1. 노동시장 이중구조화 ... 37
  • 2. 사회보장 사각지대 ... 38
  • 제5절 소 결 ... 40
  • 제3장 고용안전망 사각지대 : 기여회피인가 규제회피인가 ... 43
  • 제1절 문제 제기 ... 43
  • 제2절 연연구 방법 및 자료 ... 47
  • 1. 연구 방법 ... 47
  • 2. 연구 자료 ... 50
  • 제3절 생애취업경험과 고용보험 ... 51
  • 제4절 사각지대 형성 메커니즘 : 사용자의 규제회피와 노동자의 순응 ... 58
  • 1.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의 확산과 노사의 의식변화 ... 58
  • 2. 사업주의 규제회피 ... 60
  • 3. 순응을 낳는 반복적 경험 ... 64
  • 제5절 노동자의 순응과 국가의 의무 회피 ... 69
  • 1. 노동자의 기피 ... 69
  • 2. 국가의 의무 불이행 ... 71
  • 제6절 소 결 ... 74
  • 제4장 사회보험료 지원을 통한 공식고용 촉진 방안 ... 81
  • 제1절 문제 제기 ... 81
  • 제2절 사사회보험 사각지대의 규모와 실태 ... 83
  • 1. 사회보험별 사각지대의 발생 유형 ... 83
  • 2. 임금근로자의 사회보험 사각지대 규모와 실태 ... 88
  • 3. 비임금근로자의 사회보험 사각지대 규모와 실태 ... 92
  • 제3절 사회보험료 지원정책의 의의 ... 94
  • 1. 사회보험료 지원정책의 필요성 ... 94
  • 2. 사회보험료 지원정책의 노동정책적 목적 ... 98
  • 제4절 사사회보험료 지원정책의 쟁점 ... 100
  • 1. 사회보험료 지원정책의 개요 ... 100
  • 2. 사회보험료 지원정책의 쟁점 ... 102
  • 제5절 소 결 ... 107
  • 제2부 사회보험료 지원정책의 법적 기초와 쟁점 ... 109
  • 제5장 영국의 사회보장과 사회보험료 지원정책 ... 113
  • 제1절 영국 사회보장의 개관과 특징 ... 113
  • 1. 영국 사회보장의 개관 ... 113
  • 2. 영국 사회보장의 특징 ... 114
  • 제2절 국민보험 ... 119
  • 1. 법적 기초 ... 119
  • 2. 가입 대상 및 국민보험번호 ... 120
  • 3. 국민보험료 ... 122
  • 4. 보험 급여의 수급 요건 ... 130
  • 5. 국민보험 재정 ... 133
  • 제3절 국민보험료 지원 제도 ... 134
  • 1. 보험료 납부간주 제도 : 저임금근로자 ... 134
  • 2. 국민보험 크레딧 제도 ... 137
  • 3. 감액 보험료 제도 : 혼인 여성과 미망인 여성 ... 140
  • 제4절 소 결 ... 141
  • 제6장 독일의 사회보험제도와 사회보험료 지원정책 ... 147
  • 제1절 머리말 ... 147
  • 제2절 독일의 사회보장제도와 사회보험제도 ... 148
  • 1. 독일 사회보장법의 특성과 체계 ... 148
  • 2. 독일 기본법상 사회보장 관련 주요 법리 ... 151
  • 3. 독일 사회보험제도의 특성과 주요 내용 ... 156
  • 제3절 독일 현행법상 사회보험료 감면 제도 ... 165
  • 1. 사회보험 재정 조달의 법적 근거(「사회법전」제4권 제20조 제1항 관련) ... 165
  • 2. 저임금근로자에 대한 보험료 감면 제도 ... 167
  • 3. 근로자 보험료 감면의 구체적 내용 ... 172
  • 제4절 소 결 ... 175
  • 제7장 프랑스의 사회보험과 사회보험료 지원정책 ... 178
  • 제1절 머리말 ... 178
  • 제2절 사회보험료 체계 ... 179
  • 1. 사회보험료의 정의 ... 179
  • 2. 사회보험료 부과 방식 ... 180
  • 제3절 저임금에 대한 사용자의 사회보험료 감면 제도 ... 183
  • 1. 저임금에 대한 사용자의 사회보험료 감면 제도 : 배경 ... 183
  • 2. 저임금에 대한 사용자의 사회보험료 감면 제도 : 연혁 ... 184
  • 3. 저임금에 대한 사용자의 사회보험료 감면 제도 : 현행 ... 186
  • 4. 평 가 ... 189
  • 제8장 우리나라 사회보험료 지원정책 논의 검토 ... 195
  • 제1절 머리말 ... 195
  • 제2절 기존 사회보험료 감면정책 ... 196
  • 1. 기존 감면정책의 내용 ... 196
  • 2. 기존 지원정책의 특징 ... 199
  • 제3절 사회보험료 지원 관련 입법안 ... 200
  • 1. 의원 입법안 개관 ... 200
  • 2. 검 토 ... 206
  • 제4절 주요 국가의 사회보험료 지원정책과 우리나라 논의 비교 ... 221
  • 제5절 소 결 ... 223
  • 제9장 사회보험료 지원정책의 법적 의의와 쟁점 ... 226
  • 제1절 머리말 : 사회정책과 법 ... 226
  • 1. 법적 정당화의 필요성 ... 226
  • 2. 사회정책의 법적 기초 ... 227
  • 3. 사회정책에서 노동권과 사회보장권 ... 234
  • 4. 사회정책에서 국가의 의무와 재량 ... 238
  • 제2절 사회보험료 지원정책의 법적 의의 ... 241
  • 1. 고용친화적 사회보장 ... 242
  • 2. 1차 사회안전망의 강화 ... 243
  • 3. 고용과 사회보장에서 국가의 적극적 의무 실현 ... 244
  • 4. 사회보험의 이념 실현 ... 245
  • 5. 재정부담 등을 고려한 정책 ... 248
  • 제3절 사회보험료 지원정책의 법적 쟁점 ... 249
  • 1. 지원 대상과 관련하여 ... 249
  • 2. 지원의 법적 성격․입법 형식 등과 관련하여 ... 254
  • 3. 국가 지원 방식과 관련하여 ... 255
  • 4. 제도 운영의 감독과 관련하여 ... 257
  • 참고문헌 ... 258

표/그림 (17)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