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배추 노화억제 성분을 이용한 가공제품 다양화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and Food Materials from Brassica oleracea var. capit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식품연구원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김현구
참여연구자 홍석산 , 손동화 , 김혜영 , 류미라 , 임성일 , 한호석 , 임태수 , 오현인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5-10
과제시작연도 2004
주관부처 농림부
사업 관리 기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등록번호 TRKO201300027120
과제고유번호 1380000345
사업명 농림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3-09-28

초록

○ 연구결과
양배추의 생리활성 성분의 검색 및 유효성분의 추출방법을 개발하였고, 전처리 방법이나 추출조건에 따른 생리활성 성분을 비교분석 하였다. 양배추의 생리활성 성분을 추출 방법, 용매, 온도, 시간에 따라 비교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또한 양배추의 다양한 제품 개발을 위해 양배추와 잘 어울리는 소재를 선정하고, 선정한 소재의 적절한 농도를 결정하여 다양한 종류의 음료와 차를 개발하였다. 또, 양배추의 장기간 저장을 위한 바람직한 조건과 공정의 최적화를 설계하였다. 양배추의 최적 추출조건 즉, 추출방법, 용매, 온

Abstract

Ⅱ. Objectives and Importance of the Project
Cultivation of cabbage has continuously increased due to its delicious, nutritious, and health-stimulating properties. The processing of edible cabbage, however, has may difficulties since the vegetable generally contains 85 ~ 95% water. Therefore, cons

목차 Contents

  • 제 출 문 ... 2
  • 연구개발보고서 초록 ... 3
  • 요 약 문 ... 4
  • SUMMARY ... 10
  • Contents ... 14
  • 목 차 ... 24
  •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 33
  • 제 1 절 연구 개발의 목적 ... 33
  • 제 2 절 연구 개발의 필요성 ... 34
  • 제 3 절 연구 개발의 범위 ... 36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37
  • 제 1 절 국내외 관련 기술의 현황과 문제점 ... 37
  • 제 2 절 앞으로의 전망 ... 38
  •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 39
  • 제 1 세부 양배추의 노화억제 성분을 이용한 가공제품 다양화 기술 개발 ... 39
  • 제 1 절 서 론 ... 39
  • 제 2 절 재료 및 방법 ... 40
  • 1. 실험 재료 ... 40
  • 2. 실험 방법 ... 42
  • 가. 양배추의 생리활성 성분의 검색 및 유효성분 대량 추출기술 개발 ... 42
  • 1) 추출효율 ... 42
  • 가) 추출효율(수율) 측정 ... 42
  • 2) 생리활성 측정에 따른 추출효과 분석 ... 43
  • 가) 전자공여작용의 측정 ... 43
  • 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 ... 43
  • 다) Tyrosinase 저해 효과 측정 ... 44
  • 라) 총 폴리페놀의 함량 측정 ... 44
  • 마) ACE inhibition effects ... 45
  • 바)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측정 ... 46
  • 나. 추출공정별 양배추의 특성 및 최적 추출조건 설정 ... 46
  • 1) 추출조건의 예비설정 ... 46
  • 2) 추출조건 최적화를 위한 중심합성 실험계획 ... 47
  • 3) 최적 추출조건의 예측 및 실증시험 ... 50
  • 4) 수율 및 생리활성 성분 측정 ... 50
  • 5) 통계처리 ... 50
  • 다. 생리활성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화 및 가공식품 개발 ... 50
  • 1) 양배추 추출물의 특성 조사 ... 50
  • 가) 색 도 ... 50
  • 나) 탁 도 ... 51
  • 다) 당 도 ... 51
  • 라) 유리당 ... 51
  • 2) 수세 시 양배추의 수분 흡수량 ... 52
  • 3) 가수량별 당도 변화 ... 52
  • 4) 양배추 음료의 개발 ... 53
  • 5) 양배추를 이용한 과립차의 개발 ... 53
  • 제 3 절 결과 및 고찰 ... 53
  • 1. 양배추의 생리활성 성분의 검색 및 유효성분 대량 추출기술 개발 ... 53
  • 가. 양배추의 생리활성 성분의 검색 ... 53
  • 1) 추출효율 ... 53
  • 가) Yield(%) ... 53
  • 2) 생리활성성분의 검색 ... 55
  • 가)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 ... 55
  • 나) SOD(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 58
  • 다)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 61
  • 라) Angiotensin Ⅰ-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ctivity ... 63
  • 마) Total polyphenol contents ... 65
  • 바) Nitrite scavenging ability ... 67
  • 나. 양배추의 전처리 및 추출방법에 따른 유효성분 대량 추출 기술 개발 ... 69
  • 1) Yield(%) ... 69
  • 가) 25 mL/g 추출 처리구 ... 70
  • 나) 50 mL/g 추출 처리구 ... 71
  • 다) 100 mL/g 추출 처리구 ... 72
  • 2)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 ... 73
  • 가) 25 mL/g 추출 처리구 ... 73
  • 나) 50 mL/g 추출 처리구 ... 76
  • 다) 100 mL/g 추출 처리구 ... 78
  • 3) SOD(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 81
  • 가) 25 mL/g 추출 처리구 ... 81
  • 나) 50 mL/g 추출 처리구 ... 84
  • 다) 100 mL/g 추출 처리구 ... 86
  • 4)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 89
  • 가) 25 mL/g 추출 처리구 ... 89
  • 나) 50 mL/g 추출 처리구 ... 91
  • 다) 100 mL/g 추출 처리구 ... 94
  • 5) Angiotensin Ⅰ-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ctivity ... 96
  • 가) 25 mL/g 추출 처리구 ... 96
  • 나) 50 mL/g 추출 처리구 ... 98
  • 다) 100 mL/g 추출 처리구 ... 99
  • 6) Total polyphenol contents ... 100
  • 가) 25 mL/g 추출 처리구 ... 100
  • 나) 50 mL/g 추출 처리구 ... 101
  • 다) 100 mL/g 추출 처리구 ... 103
  • 7) Nitrite scavenging ability ... 105
  • 2. 양배추의 최적 추출조건 설정 및 추출공정별 양배추 추출물의 특성 비교 ... 110
  • 가. 양배추의 최적 추출조건 설정 ... 110
  • 1) 양배추의 최적 추출조건 설정 시험 ... 111
  • 가) 동복(Bonus) ... 111
  • 나) 썸머파워(Summer power) ... 123
  • 다) 홍월적(Ruby star) ... 135
  • 2) 양배추의 추출공정 최적화 시험 ... 149
  • 나. 추출공정별(용매, 추출온도, 시간) 양배추 추출물의 특성 비교 ... 155
  • 1) 추출방법별 추출효율 및 생리활성 측정에 따른 추출효과 분석 ... 155
  • 가) 수 율 ... 155
  • 나) 총 폴리페놀 함량 ... 156
  • 다) 전자공여작용 ... 158
  • 라)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 ... 160
  • 마) Tyrosinase 저해작용 ... 160
  • 바) 아질산염 소거작용 ... 161
  • 2) 양배추 추출물의 용매제거 제품평가 시험 ... 163
  • 가) 동복(Bonus) 추출물의 용매제거 제품평가 ... 163
  • 나) 썸머파워(Summer power) 추출물의 용매제거 제품평가 ... 163
  • 다) 홍월적(Ruby star) 추출물의 용매제거 제품평가 ... 164
  • 3) 양배추의 폐기물 처리대책 강구 ... 164
  • 가) 양배추 폐기물을 이용한 퇴비 제조 ... 166
  • 나) 양배추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 ... 168
  • 3.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화 및 양배추를 이용한 가공식품의 개발 ... 173
  • 가. 생리활성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화 및 품질평가 ... 173
  • 1) 품종별 양배추 추출물의 특성 조사 ... 173
  • 가) 동복(Bonus) 추출물의 특성 조사 ... 173
  • 나) 썸머파워(Summer power) 추출물의 특성 조사 ... 177
  • 다) 홍월적(Ruby star) 추출물의 특성 조사 ... 180
  • 2) 품종별 양배추 추출물의 추출조건 설정 ... 184
  • 가) 동복(Bonus)의 추출조건 설정 ... 184
  • 나) 썸머파워(Summer power)의 추출조건 설정 ... 186
  • 다) 홍월적(Ruby star)의 추출조건 설정 ... 188
  • 나. 양배추를 이용한 가공식품(음료, 차류)의 개발 ... 190
  • 1) 동복(Bonus) 추출물 및 부재료의 적정 음용농도 결정 ... 190
  • 가) 동복의 적정 음용농도 결정 ... 190
  • 나) 부재료 선정 및 적정 음용농도 결정 ... 192
  • 2) 썸머파워(Summer power) 추출물 및 부재료의 적정 음용농도 결정 ... 199
  • 가) 썸머파워의 적정 음용농도 결정 ... 199
  • 나) 부재료 선정 및 적정 음용농도 결정 ... 201
  • 3) 홍월적(Ruby star) 추출물 및 부재료의 적정 음용농도 결정 ... 209
  • 가) 홍월적의 적정 음용농도 결정 ... 209
  • 나) 부재료 선정 및 적정 음용농도 결정 ... 210
  • 4) 양배추 음료의 제조 공정 ... 216
  • 5) 양배추를 이용한 과립차의 제조 ... 218
  • 가) 양배추의 추출 및 농도 ... 218
  • 나) 부형제의 배합 ... 218
  • 다) 과립화 및 건조 ... 220
  • 라) 과립차의 제조 공정 ... 220
  • 제 4 절 결 론 ... 222
  • 위탁연구 과제 양배추 유용성분 추출 및 가공조건 최적화 모델링 ... 224
  • 제 1 절 서 론 ... 224
  • 제 2 절 재료 및 방법 ... 227
  • 1. 실험재료 ... 227
  • 2. 추출장치 및 추출방법 ... 227
  • 3. 추출조건의 예비설정 ... 229
  • 가. 추출용매의 가열특성 시험 ... 229
  • 나. 추출조건의 예비설정 시험 ... 229
  • 4. 추출조건 최적화를 위한 실험계획 및 회귀분석 ... 230
  • 5. 추출물의 품질 분석 ... 233
  • 가. 총 추출수율 측정 ... 233
  • 나. 총 페놀함량 측정 ... 233
  • 다. 전자공여능 측정 ... 233
  • 라. 활성성분 sulforaphane과 ally isothiocyanate 함량 분석 ... 233
  • 6. 최적 추출조건의 예측 및 실증시험 ... 235
  • 7. 추출물의 품질안정성 시험 ... 235
  • 8. 양배추 소재의 가공조건 최적화 및 적용성 시험 ... 235
  • 가. 양배추 음료 및 수프 제조 ... 235
  • 나. 십자화과 채소류에 대한 적용성 시험 ... 236
  • 다. 관능평가 ... 236
  • 9. 결과분석 ... 236
  • 제 3 절 결과 및 고찰 ... 236
  • 1. 유용성분의 현행 추출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의 효율 비교 ... 236
  • 2. 추출용매의 마이크로파 가열특성 ... 240
  • 3. 추출공정인자 별 예비조건 설정 ... 245
  • 가. 원료 입자크기의 영향 ... 245
  • 나. 용매비의 영향 ... 245
  • 다.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 용량의 영향 ... 247
  • 라. 추출용매 선정을 위한 용매 별 추출효율 확인 ... 248
  • 마. 추출시간의 영향 ... 251
  • 4. 양배추 활성성분의 GC/MS 분석조건 확립 ... 255
  • 가. Sulforaphane의 정량 ... 255
  • 나. Allyl isothiocyanate의 정량 ... 255
  • 5.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추출물의 품질특성 모니터링 ... 259
  • 가. 양배추 추출물의 총수율 변화 ... 269
  • 나. 총 페놀함량의 변화 ... 271
  • 다. 전자공여능의 변화 ... 273
  • 라. Sulforaphane의 함량 변화 ... 275
  • 마. Ally isothiocyanate 함량 변화 ... 277
  • 6. 양배추 유용성분의 추출조건 최적화 및 실증 ... 279
  • 7. 추출물의 저장안정성 ... 283
  • 8. 양배추 추출물 소재를 이용한 가공적성 평가 ... 289
  • 가. 양배추 음료 제조 ... 289
  • 1) 양배추 음료 제조조건 설정 ... 289
  • 2) 양배추 음료의 최적 배합조건 ... 293
  • 나. 양배추 수프 제조 ... 302
  • 1) 양배추 수프 제조조건 설정 ... 302
  • 2) 양배추 수프 제조를 위한 최적 배합조건 설정 ... 302
  • 9. 십자화과 채소류의 가공조건 예측모델 적용 ... 312
  • 제 4 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315
  • 제 5 장 연구개발 계획의 활용계획 ... 317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319
  • 제 7 장 참고문헌 ... 32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