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역량 측정지표 및 도구개발 연구
Indicators and Measures of Creative Competency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연구책임자 김미숙
참여연구자 최상덕 , 차성현 , 조선미 , 하유미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12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사업 관리 기관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등록번호 TRKO201300030982
과제고유번호 1105006721
사업명 한국교육개발원
DB 구축일자 2013-12-21

초록

미래 우수인재의 핵심역량 중 하나로서의 창의역량 강화는 2009 개정 교육과정(미래형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목표로 제시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명확한 창의역량 개념에 따른 창의역량 측정도구는 창의역량 교육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이 될 수 있다. 기존의 창의역량 관련 연구는 주로 심리학 분야에서 창의성의 이름으로 개인의 창의적 능력과 자질에 관한 지표와 도구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미래학, 경제학, 공학 등의 타 분야에서 창의적 산출물과 환경에 대한 연구가 산발적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해

Abstract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future global leaders and citizens includes creativity. Despite its great importance, however, it is not easy nor simple to scientifically measure creativity. Moreover, the very term, creativity, has now being used in many different fields with somewhat diff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머리말 ... 2
  • 연구요약 ... 3
  • 목차 ... 5
  • 표목차 ... 8
  • 그림목차 ... 10
  • Ⅰ. 서 론 ... 1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3
  • 2. 연구 내용 ... 17
  • 3. 연구 방법 ... 19
  • Ⅱ. 이론적 배경 ... 23
  • 1. 창의역량/창의성의 개념 및 정의 ... 25
  • 2. 창의역량/창의성의 다양한 차원들 ... 40
  • 3. 창의역량의 지표 및 측정도구 분석 ... 46
  • Ⅲ. 창의역량의 개념 정립 및 측정지표 개발 ... 55
  • 1. 창의역량의 학제적/통합적 개념 정립 ... 57
  • 2. 창의역량 측정지표 개발 ... 62
  • Ⅳ. 예비조사를 통한 측정도구의 개발 ... 65
  • 1. 1차 예비조사 ... 68
  • 2. 2차 예비조사 ... 71
  • 3. 3차 예비조사 ... 75
  • 4. 4차 예비조사 ... 77
  • 5. 5차 예비조사 ... 79
  • 6. 6차 예비조사 ... 84
  • 7. 7차 예비조사 ... 85
  • Ⅴ. 본조사를 통한 측정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 91
  • 1. 본조사 연구 방법 ... 93
  • 2. 본조사 연구 결과 ... 116
  • Ⅵ. 결 론 ... 129
  • 1. 요약 및 논의 ... 131
  • 2. 연구의 의의 ... 135
  • 참 고 문 헌 ... 137
  • ABSTRACT ... 145
  • 부 록 ... 147
  • [부록 1] 창의역량 측정지표 문헌분석을 통한 수집 틀 - 학문분야별 ... 149
  • [부록 2] 창의역량 측정지표 수집틀 - 창의역량 영역별 ... 150
  • [부록 3] 창의역량 측정지표 측정 영역별 구성요소 - 인지능력, 비인지특성, 창의적 과정, 산출물, 가정환경, 학교 환경 ... 151
  • [부록 4] 기존의 문헌에서 확인한 측정 영역별 구성요소들의 측정도구와 방법 ... 157
  • [부록 5] 1차 예비조사 K초 학생 활동지 ... 196
  • [부록 6] 1차 예비조사 K초 활동 실시안 ... 206
  • [부록 7] 산출물 평정 양식 ... 207
  • [부록 8] 3차 예비조사 C초 인지능력 측정도구 ... 211
  • [부록 9] 3차 예비조사 C초 관찰 평정 척도 ... 216
  • [부록 10] 3차 예비조사 C초 활동 실시안 ... 220
  • [부록 11] Shavinina(2009) Coding Scheme 수정보완 ... 221
  • [부록 12] 5차 예비조사 나의 특성검사 설문지(Y초) ... 222
  • [부록 13] 5차 예비조사 나의 주변 환경 특성 설문지(K초) ... 227
  • [부록 14] 6차 예비조사 S초 활동지 ... 234
  • [부록 15] 7차 예비조사 설문지(E초) ... 237
  • [부록 16] Gough의 창의적 인성 척도 문항 ... 245
  • [부록 17] 본조사 활동지 창의적 단어 연결 검사(개별) ... 246
  • [부록 18] 본조사 활동지 창의적 단어 연결 검사(조별) ... 249
  • [부록 19] 본조사 나의 특성 검사 설문 ... 251
  • [부록 20] 본조사 창의적 문제해결 검사 ... 253
  • [부록 21] 본조사 창의적 글쓰기 검사 ... 255
  • [부록 22] 본조사 시계 만들기 ... 257
  • [부록 23] 본조사 콜라주 만들기 ... 259
  • [부록 24] 본조사 나의 주변 환경 특성 설문 ... 260
  • [부록 25] 본조사 관찰 평정지 ... 263

표/그림 (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