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ECD 주요국의 고용보호와 사회적 보호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노동연구원
Korea Labor Institute
연구책임자 장지연
참여연구자 최영준 , 김기선 , 강성태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12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사업 관리 기관 한국노동연구원
Korea Labor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1400002901
과제고유번호 1105006684
사업명 한국노동연구원
DB 구축일자 2014-05-07

초록

본 연구는 OECD 주요국이 지난 30여 년간 고용보호의 수준을 낮추어가는 한편, 이를 보충할 만한 사회적 보호체계는 만들어가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유연안전성을 목표로 내걸었지만 실제 현실에서는 거대한 자유화의 물결을 거스르지는 못했기 때문에 노동시장의 유연화가 노동자 삶의 불안정으로 귀결되는 경향이라는 판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과정을 이론적으로 또 실증적으로 들여다보면서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제2장에서는 고용보호가 완화되면서 불안정해진 노동시장에 조응하여 사회적 보호체계는 어떤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목차 ... 3
  • 표 목 차 ... 6
  • 그림목차 ... 8
  • 요 약 ... 9
  • 제 1 장 서 론 ... 15
  • 제2장 복지국가 고용보호와 사회적 보호의 결합양식 : 1980년대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 19
  • 제1절 문제제기 ... 19
  • 제2절 기존연구와 분석틀 ... 21
  • 1. 기능적 등가물 ... 21
  • 2. 다양한 결합양식 논의 사례 ... 22
  • 3. 이중구조론 ... 24
  • 4. 분석틀 ... 25
  • 제3절 결합양식의 변화양상 ... 26
  • 1. 지표를 통한 비교 ... 26
  • 2. 개별 국가 제도변화의 경험 ... 35
  • 제4절 제도변화의 유형 ... 53
  • 제5절 맺음말 ... 59
  • 제3장 노동시장 변화와 연금제도 개혁 : 고용불안정성과 노후소득보장 ... 67
  • 제1절 서 론 ... 67
  • 제2절 노동시장과 연금제도의 관계 ... 69
  • 1.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와 연금제도 ... 69
  • 2. 연금제도 유형과 노동시장의 위험 ... 72
  • 제3절 OECD 국가의 노동시장과 연금체제의 변화 ... 76
  • 1. OECD 국가 연금체제 ... 76
  • 2. 고용불안정의 증가와 연금개혁의 동향 ... 82
  • 3. 고용불안정과 노인빈곤 : 퍼지셋 결합 분석 ... 90
  • 제4절 사례연구 ... 98
  • 1. 네덜란드 ... 98
  • 2. 영 국 ... 100
  • 3. 일 본 ... 103
  • 4. 독 일 ... 105
  • 제5절 결론과 정책적 함의 ... 106
  • 제4장 고용보호 수준의 국제비교 ... 113
  • 제1절 서 론 ... 113
  • 제2절 고용보호지수의 의의 ... 115
  • 1. 고용보호지수의 개념과 유형 ... 115
  • 2. 경제협력개발기구의 고용보호지수 ... 117
  • 3. 세계은행의 기업활동평가 중 고용지수 ... 124
  • 4. IMD의 세계경쟁력연감과 WEF의 국제경쟁력보고서 ... 128
  • 5. 각 고용보호지수의 특징 ... 133
  • 제3절 고용보호 수준의 국제비교 분석 : 경제협력개발기구의 고용보호지수를 중심으로 ... 135
  • 1. 고용보호지수의 기준에 대한 비판 ... 142
  • 2. 고용보호지수의 방법론적 문제점에 대한 비판 ... 143
  • 3. 결 론 ... 145
  • 제5장 고용보호법제와 고용보호의 실제 : OECD 고용보호 지수를 중심으로 ... 147
  • 제1절 서 론 ... 147
  • 1. 연구의 목적과 대상 ... 147
  • 2. OECD 고용보호지수 산정의 개요 ... 151
  • 제2절 고용보호법제와 고용보호지수의 정확성 ... 154
  • 1. 예비적 설명 ... 154
  • 2. 정규직의 개별해고 규제 ... 156
  • 3. 임시직의 채용과 해고 규제 ... 172
  • 4. 집단해고의 추가 규제 ... 184
  • 제3절 고용보호의 실제와 고용보호지수의 적정성 ... 189
  • 1. 문제제기 ... 189
  • 2. 경영해고 절차의 비교 ... 191
  • 3. 기준 내용의 적정성 ... 194
  • 제4절 요약 및 맺음말 ... 196
  • 1. 요 약 ... 196
  • 2. 맺음말 : 고용보호지수의 한계 ... 198
  • 제6장 요약 및 결론 ... 200
  • 참고문헌 ... 205
  • 끝페이지 ... 220

표/그림 (1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