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관부처 과학기술 법제 분석 및 개선방안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및 사업화 법제를 중심으로 -
Analysis and Legisla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Legal Framework related S&T in Korea -Focused on uti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national R&D result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titute
연구책임자 양승우
참여연구자 최지선 , 이명화 , 김재경 , 권보경 , 한정선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12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사업 관리 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1400003563
과제고유번호 1105007869
사업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14-05-10

초록

1. 서론
□ 연구 필요성
○ 지식재산(Intellectual Property Rights)이 국가경쟁력 평가 및 경제성장의 주요 변인으로 인식되면서 창의성에 기반한 지식의 창출 및 활용이 국가과학기술 정책의 화두로 등장하고 있음
- 창조경제시대에서 기업 내지 국가의 경쟁력은 지식재산의 존재 및 활용 여부에 달려 있음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평가시스템에서도 지식재산 창출 및 활용 여부가 양적 및 질적 지표면에서 중심적인 평가지표로 자리 잡음
○ 그러나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한 연구개발성과의 활용의 경우 양적

Abstract

Sinc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recognized as a major factor in evaluation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economical growth, creation and utilization of knowledge based on creativity is seemed as a hot topic in national R&D policy. In the era of creative economy, competitiveness of a nation o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5
  • |요약| ... 7
  • |목차| ... 21
  • |표목차| ... 28
  • |그림목차| ... 29
  • |제1장| 서 론 ... 3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1
  • 1. 연구의 필요성 ... 31
  • 가. 국가혁신시스템의 요체로서의 지식창출 및 활용 ... 31
  • 나. 2013년 정부조직 개편과 지식가치사슬 체계상 정책수단의 부정합성 ... 37
  • 2. 연구의 목적 ... 39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0
  • 1. 연구의 범위 및 대상 ... 40
  • 2. 연구의 방법 ... 41
  • 가. 서 ... 41
  • 나. 선행연구 및 비교 법제 연구 ... 42
  • 다. FGI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이해관계자 분석방법론 ... 43
  • 제3절 연구의 학술적 의의 ... 45
  • |제2장| 과학기술 법제의 개편과 국가과학기술정책 ... 46
  • 제1절 국정 아젠다로서의 창조경제와 과학기술의 역할 ... 46
  • 1. 서 ... 46
  • 2. 창조경제의 개념 ... 47
  • 3. 창조산업의 개념 ... 49
  • 4. 창조경제 하에서의 과학기술의 역할 ... 51
  • 제2절 2013년 정부조직법 개편과 과학기술 법제 정합성 분석 ... 53
  • 1. 서 ... 53
  • 2. 정부조직법의 개정과 과학기술 행정체제 ... 54
  • 3. 2013년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른 과학기술 법제의 개편 ... 58
  • 4. 과학기술기본법의 개정 ... 63
  • 제3절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및 사업화 법제상 정책수단의 정합성 분석 ... 66
  • 1. 서 ... 66
  • 2. IP 창출, 활용 및 사업화 법제 및 정책수단 분석 ... 68
  • 가. 서 ... 68
  • 나. IP 창출, 활용 및 사업화 법제 ... 69
  • 다. IP 활용 및 사업화 관련 과학기술 법제상 정책수단 ... 69
  • 3. IP 활용 및 사업화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 분석 ... 71
  • 가. IP 활용 및 사업화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 현황 ... 71
  • 나. IP 활용 및 사업화 국가과학기술정책 총괄규범의 제정과 성과 ... 74
  • 4. 기타 IP 활용 및 사업화 과정에서의 문제점 ... 75
  • 가. 사업추진체계 및 IP 활용 및 사업화의 개념의 미정립 ... 75
  • 나.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배분 구조상 문제 ... 77
  • 다. IP 창출, 활용 및 사업화 법제와 정책수단의 정합성간 문제 ... 78
  • 라. 국가연구개발사업 환경상의 문제점 ... 78
  • 5. 소결 ... 79
  • 제4절 연구문제 및 방법론 도출 ... 81
  • |제3장| 외국의 연구개발성과 활용 및 사업화 법제 분석 ... 84
  • 제1절 외국의 연구개발성과 활용 및 사업화 동향 ... 84
  • 제2절 미국의 연구개발성과 활용 및 사업화 법제 ... 87
  • 1. 미국의 연구개발성과 성과귀속 법제 ... 87
  • 2. 미국의 연구개발성과 활용 및 사업화 관련 하부구조 ... 90
  • 가. 연방기술이전 컨소시엄과 연방연구소 컨소시엄 ... 90
  • 나. 국가기술이전센터 ... 91
  • 다. 중소기업 혁신연구 프로그램 ... 92
  • 라. 중소기업 기술이전연구 프로그램 ... 94
  • 마. ATP (Advanced Technology Program) ... 94
  • 3. 미국의 기술금융 법제 ... 95
  • 가. 중소기업투자법(Small Business Investment Act) ... 95
  • 나. 신생성장기업육성지원법(JOBS ACT) ... 97
  • 다. 기술이전 및 상업화 금융지원회사 ... 98
  • 4. 미국의 조세지원제도 ... 100
  • 제3절 유럽의 연구개발성과 활용 및 사업화 법제 ... 101
  • 1. EU ... 101
  • 2. 독일의 연구개발성과 활용 및 사업화 법제 ... 102
  • 가.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및 사업화 조직 ... 102
  • 나. 연구개발성과의 귀속과 배분 ... 104
  • 다.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 105
  • 3. 영국 ... 107
  • 가. 연구개발성과의 이전 및 사업화 조직 ... 107
  • 나. 영국의 조세지원제도 ... 108
  • 제4절 일본의 연구개발성과 활용 및 사업화 법제 ... 110
  • 1. 일본의 공공부문의 민간 기술이전 성과관리 법제 ... 110
  • 가. 대학 등에 있어서 기술에 관한 연구성과의 민간사업자로의 이전 촉진에 관한 법률 ... 110
  • 나. 이노베이션 추진 사업 대학사업 창출 실용화 연구개발 사업비 조성금 교부규정 ... 111
  • 다. 산업활력재생특별조치법 ... 112
  • 라. 대학 신사업 창출 거점 프로젝트(START) ... 114
  • 2. 일본의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및 사업화 법제 하부구조 ... 114
  • 가. 일본과학기술정보센터 ... 115
  • 나. 신기술사업단 ... 116
  • 다. 일본과학기술진흥기구 ... 116
  • 라. 일본의 기술지주회사 관련 법제 ... 118
  • 3. 일본의 기술금융 법제 ... 119
  • 가. 일본의 정책금융 개관 ... 119
  • 나. 정책금융지원 하부구조 ... 121
  • 다. 일본의 산업부흥 전략 ... 125
  • 4. 일본의 조세지원제도 ... 126
  • 제5절 소결: 우리나라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및 사업화 법제에 대한 시사점 ... 127
  • 1. 미국 ... 127
  • 가. 연구개발성과의 귀속 및 보상체계 확립 ... 127
  • 나. 정부 R&D예산 일부의 기술사업화 지원정책 마련 ... 127
  • 다. 민간부문 중심의 기술사업화 자금조달 체제 구축 ... 128
  • 라. 지식재산권 출원 및 유지비용에서의 조세지원 ... 129
  • 2. EU ... 129
  • 가. 연구개발성과의 귀속 ... 129
  • 나. 연구개발과 지식재산권연계 프로그램 도입 ... 130
  • 다. 공공부문의 벤처캐피탈 투자지원 ... 130
  • 라. Patent Box제도의 도입 ... 131
  • |제4장| 우리나라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및 사업화 법제 분석 ... 132
  • 제1절 창조경제와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및 사업화 법제 ... 132
  • 제2절 소관부처별 연구성과의 활용 및 사업화 관련 법제 분석 ... 134
  • 1. 서 ... 134
  • 2. 미래창조과학부 소관 연구개발성과 활용 및 사업화 법제 ... 137
  • 가. 과학기술기본법 ... 137
  • 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 140
  • 다.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 ... 145
  • 라.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 147
  • 마. 지식재산기본법 ... 148
  • 바.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 150
  • 3.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및 사업화 법제 ... 152
  • 가.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 152
  • 나. 발명진흥법 ... 154
  • 다.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 157
  • 라.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 ... 159
  • 마. 중소기업 창업지원법 ... 160
  • 4. 교육부 소관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및 사업화 법제 ... 161
  • 가.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 161
  • 5. 기획재정부 소관 연구개발성과 활용 및 사업화 법제 ... 163
  • 가. 조세특례제한법 ... 163
  • 나. 기타 조세 법제 ... 165
  • 제3절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및 사업화 조직 법제 분석 ... 166
  • 1. 서 ... 166
  • 2. 산학협력단 및 기술지주회사 ... 172
  • 3. 연구소기업 및 신기술창업전문회사 ... 179
  • 4. 산학연공동연구법인 ... 186
  • 5. 민간 TLO 조직 ... 188
  • 가. 사업화 전문회사 ... 188
  • 나. 기술거래기관 ... 188
  • 6. 기술신탁기관 ... 191
  • 제4절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및 사업화 관련 금융 및 지원 법제 분석 ... 195
  • 1. 서 ... 195
  • 2. 현물출자 및 거래 법제의 전제조건으로서의 기술가치평가 ... 199
  • 3. 기술금융 법제 ... 203
  • 가. 기술담보대출제도 ... 203
  • 나. 크라우드 펀딩제도 ... 206
  • 다. 코넥스시장의 개설 ... 211
  • 라. 금융지원 법제와 WTO 보조금 협정 ... 212
  • 4. M&A 지원 법제 ... 214
  • 5. 창업지원 법제 ... 216
  • |제5장|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및 사업화 법제의 개선방안 ... 218
  • 제1절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및 사업화 법제 개선방향 ... 218
  • 제2절 자본조달 법제 개선방안 ... 220
  • 1. 금융투자 인프라 법제 개선방안 ... 220
  • 가. 금융시장을 통한 자본조달 법제 개선방안 ... 220
  • 나. 정책금융제도 관련 법제 개선방안 ... 221
  • 다. 기술이전ㆍ사업화 촉진계획 수립체계의 정비 ... 222
  • 라. R&DB사업 자본조달 법제 개선방안 ... 223
  • 2. 조세제도 정비방안 ... 225
  • 가. 기술이전 및 기술혁신형 기업 인수ㆍ합병에 대한 과세특례 신설 ... 225
  • 나. 투자시장 활성화를 위한 세제개편 방안 ... 227
  • 제3절 조직 인프라 법제 개선방안 ... 228
  • 1. 기술지주회사제도의 정비방안 ... 228
  • 2. 연구소기업 지분희석 관련 등록유지조건 개선방안 ... 230
  • 3. 기술거래기관 등 민간부문의 혁신역량 강화 방안 ... 232
  • 제4절 연구성과 귀속 및 기술료 관련 제도 개선방안 ... 234
  • 1. 연구개발결과물의 귀속 관련 부정합성의 제어 ... 234
  • 2. 실시권의 내용 관련 부정합성의 제어 ... 235
  • 3. 기술료의 사용기준 관련 부정합성의 제어 ... 236
  • 4. 기술료 결정방식 및 기술이전 기여자에 대한 보상제도 개선방안 ... 237
  • 제5절 창업 촉진을 위한 법제 개선방안 ... 239
  • 1. 공공기관 연구원의 휴ㆍ겸직 제도 개선방안 ... 239
  • 2. 농업분야 연구직 공무원의 창업 관련 법제 개선방안 ... 240
  • |제6장| 결론 및 학술적 정책적 기여 ... 242
  • 제1절 연구개발성과 활용 및 사업화 법제 개선방안 도출 ... 242
  • 1. 연구의 목적 및 방법론 ... 242
  • 2. 연구개발성과 활용 및 사업화 법제 개선방안 ... 243
  • 제2절 학술적ㆍ정책적 기여 ... 245
  • 1. 본 연구의 의의 ... 245
  • 2. 정책적 기여와 활용방안 ... 246
  • 3. 연구성과의 학술적 기여 ... 247
  • ∙참고문헌∙ ... 248
  • SUMMARY ... 259
  • CONTENTS ... 261
  • 끝페이지 ... 273

표/그림 (2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