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3-12 |
과제시작연도 |
2013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1400003779 |
과제고유번호 |
1105007286 |
DB 구축일자 |
2014-05-17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03779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적용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에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교육고정 적용의 의미를 규정하고 적용 방안 마련의 방향을 설정한 후, 그 토대 위에서 각 교과별로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내용에 따른 적용상의 쟁점을 도축하고 그것을 해소하기 위한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과 교육과정 적용’이라 함은 ‘교실에서의 실행에 적합한 교과 교육과정 적용의 기반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과 교육과정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적용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에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교육고정 적용의 의미를 규정하고 적용 방안 마련의 방향을 설정한 후, 그 토대 위에서 각 교과별로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내용에 따른 적용상의 쟁점을 도축하고 그것을 해소하기 위한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과 교육과정 적용’이라 함은 ‘교실에서의 실행에 적합한 교과 교육과정 적용의 기반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과 교육과정 지원 및 관리’를 의미한다. 교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에는 새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교원 연수 방안, 교과 교사 대상의 연수 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교과별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방안, 교과 교육과정의 질적 수준 제고 방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2009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을 구안하기 위해서는 2009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총론)의 주요 변화 사항과 각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사항을 고려하여 적용 방안을 구안해야 할 것이다. 이에 진로집중과정에 따른 선택과목 편성, 이수 단위 증감과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 과목별 성격 및 특성을 고려한 이수 경로, 교과 집중이수에 따른 교과 수업방법 및 평가, 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학교(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 구축 등을 고려하여 적용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각 교과에서는 교과별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내용을 살피고, 그 변화의 안정적 정착을 저해하는 쟁점이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쟁점 및 문제점 분석은 일반 고등학교 292개교의 교육과정 편제표 분석 결과, 2,044명의 현장 교사 대상 설문 조사 결과, 전문가협의회 등을 바탕으로 하였다. 이후 각각의 쟁점과 그로 인해 발생 가능한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어 적용 방안을 구안하였다. 필요한 경우에는 구체적인 예시 자료도 개발하여 학교 현장의 요청에 부응하고자 하였다. 각 교과별 적용상의 쟁점과 적용 방안은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체육, 미술 교과의 순으로 제시하였다. 각 교과별로 제안된 적용 방안을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국어과에서는 고등학교에서 함양해야 할 국어 능력의 안정적인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과정 편성 예시안을 제공하고 신설된 ‘고전’ 과목에 대한 안내 자료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수 단위 증감 운영을 대비하여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을 안내하고 교육과정 재구성 예시안을 제시하였으며, 진로집중과정 운영 본연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학생이 진로와 적성에 적합한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학생용 과목 안내 자료를 개발하였다. 교육 내용 측면에서는 현장 교사의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이해도 제고를 위해 각 내용 성취 기존을 달성하기 위해 가르쳐야 하는 학습내용 요소를 분석한 자료나 각 과목별 내용 성취 기준들 간 연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고 그 예시안을 개발하였다. 한편 교수·학습 효과를 제고하고 국어과 교육의 수원성을 도모하는 교수·학습 구현을 목표로 통합적 지도에 대한 구체적 정보 제공 차원에서 관련 예시 자료를 구안하였으며, 선택과목별 특성에 맞는 각종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통해 현장의 수업 설계를 지원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수학과에서는 기본과목 편성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수학과 선택과목 안내 자료에 대한 예시를 개발하였으며, 이수 단위 증감 운영 측면에서는 각 교과 간 의견 교환의 장 마련과 사례 공유를 강조하였다. 진로 집중과정 운영을 위해서는 학생의 진로와 선택과목 이수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충분한 안내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고 진로과정별로 이수 경로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교수·학습의 측면에서는 수학적 과정에 대한 구체적 안내와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의사소통의 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영어과에서는 과목 선택의 쟁점 해소를 위해 교육과정 및 관련 정보 공유의 기회 제공, 일부 과목 기피 및 쏠림 현상에 대한 적극적 접근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수 단위 증감과 관련해서는 학교 여건 파악 및 개선, 학교 면인 고려한 방안 구안, 선행 사례 공유 및 활용 자료 적극적 홍보 등이 필요하며, 진로집중과정의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 각 과정 및 선택과목에 대한 이해 제고, 진로집중과정과 대학입학전형 연계 강화 방안 등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영어과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과 관련해서는 학생 친화적 안내 자료 제작 및 배포, 교사의 교육 내용 재구성 능력 제고, 교육과정과 EBS 영어 교재의 연계 방안과 함께 학급당 학생수 축소 및 교사가 담당하는 과목 수 축소, 정교사 수급 대책 마련 및 원어민·회화 전문 강사 활용, EBS 교재 관리 체계 강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영어과 선택과목 안내 자료와 진로집중과정 편제표를 포함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적용 방안의 예시를 개발하였다.
사회과에서는 집중이수제 운영의 전면적 재검토를 요청하였으며,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 진로에 맞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과목 선택을 위한 안내 자료를 작성하여 제공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균형적이고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이수 경로를 인문 사회과정과 자연이공과정별로 제시하였다. 한편 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자양한 수업 내용 재구성 방법과 수행평가 방법을 개발하였다.
과학과에서는 학생들에게 선택과목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선태과목을 개설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이에 따라 학생용 과목 선택 안내 자료와 학생의 적성과 진로를 고려한 이수 경로 및 교육과정 재구성안을 개발 보급해야 함을 제안하고 과학 I 과목의 증감 운영 시 지침, 방안, 교육과정 재구성안 예시를 개발하였다. 한편 집중이수제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지 않다는 인식이 많았으나 운영이 불가피한 경경우를 대비하여 블록 타이미제의 활용,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한 평가 개선을 제안하였고 교육 내용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보급, 접근 용이성과 활용 가능도가 높은 교수·학습 예시 자료 개발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체육과에서는 학생의 신체 활동 보장을 위해 이수 단위의 탄력적 운영 허용을 제안하고 학교 자율교육과정에서 체육 시수 확대 방안 마련 및 관련 사례 제공을 권장하였다. 한편 체육 진로집중과정 및 체육중점학교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체육 진로 조기 선택 기회를 제공하고 체육 기초 전문 교육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인 지원 방안 강구를 제안하였다. 교수·학습 측면에서는 체육 교사의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교수 전략에 대한 교사 전문성 향상, 체육 시설의 확보와 확충을 제안하였으며 성취 평가제에 대한 연구 강화를 제안하였다.
미술과에서는 학습자의 적성과 진로에 적합한 미술 과목의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학생용 과목 안내 자료 개발 방안과 교사용 진로 과정 연계 심화과목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수 단위 증감 운영과 관련해서는 예술 교과군 기준 단위의 증감 운영 시 교육과정 편성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미술중점학교 운영의 안정적인 체제 구축을 위해 학교 평가의 내실화, 종합적인 인사행정체제 마련, 교사협의체와 네트워크 구축, 입학희망자 캠프 개최 등을 제안하였다. 교수·학습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미술 문화 과목에서 교과 통합 영역의 수업방안과 문화적 소양의 평가 방안을 제안하였다.
교과별로 제안한 각각의 적용 방안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나 뒷받침되어야 할 지원 방안들을 유목화하면,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정책을 제언할 수 있다. 첫째, 교과 교육과정 자료의 개발·보급 및 활용 시스템 구축이다. 이를 위해 개정 교과과정의 현장 적용을 위한 교육과정 관련 자료의 개발·보급.활용 시스템 개선, ‘교육과정 트라이앵글’ 구축을 통한 교육과정·교과서·수업 간 연계성 강화를 중점 과제로 추진해야 한다. 둘째,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선 및 지원을 통한 개정 교육과정의 현장 안착이다. 이를 위해 교원 연수 유형별 연수 대상·시기·내용·방법의 체계화 및 효율적 실행, 거점학교 또는 단위 학교 중심의 자발적 연수 실행 및 예산 지원의 현실화를 중점 과제로 추진해야 한다. 셋째,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공유를 통한 교상의 교육과정 역량 강화이다. 이를 위해 교과협의회 활성화를 통한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 및 결과 활용의 효율성 제고, 교과별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집 개발 및 보급을 중점 과제로 추진해야 한다. 넷째,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현장 중심의 상시적 적합성 검토 체계 구축이다. 이를 위해 교과 교육과정 현장 적용 및 상시 적합성 검토 시스템 구축, ‘국가⟶단위 학교⟶국가··’의 교과 교육과정 환류 체계 구축을 통한 학교 중심의 교육과정 개선을 중점 과제로 추진해야 한다.
Abstract
▼
This study explores effective application plans for the general high-school subjects curriculum and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were conducted to outline the fundamental p
This study explores effective application plans for the general high-school subjects curriculum and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were conducted to outline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a methodology framework of the study. It was decided to include. according La the principles and methodology,
the seven general high-school subjec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six aspects to be explored. The seven subjects are Korean, Mathematics, English, Social Studies, Natural Sciences, Physical Education, and Fine Arts. While the six aspectsarc 'Subject Sections/Offers'. 'Increase/Decrease of Class-Time Allocation'. 'Pathway-Focused Courses', 'Adequateness of Subject Content Amount/Level', 'Instruction/Learning and Assessment', and 'Other Needs and Requests'.
The research proces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a review of the changes in the curricula of the seven subjects was conducted. Second, the Current and/or anticipated situations of the high-schools, and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were examined. The research methods utilised include a document analysis of The 292 school curricula for the academic year 2013; a survey of 2044 subject teachers in high-schools; and a number o[ meetings, workshops, and seminars with curriculum experts (teachers, school inspectors, professors, administrators, and researchers).
Third, the critical issues and concerns that negatively affect the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in the classes of each subject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Fourth, effective application plans In resolve the problems and systematic Support to accommodate the needs and requests were suggested together with a provision with some practical examples of effective application plans for an improvement in school situations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While the four research processes above were conducted by each subject and thus findings for changes in practice varied according to the prime issues, concerns, and the approaches, this study produced four major, comprehensive, evidence-based policy suggestions. They arc: 1) the construction of a system for the development, dissemination, and application of guidelines for each subject's Curriculum so that a triangular system with the National curriculum-coursebook-class could be effectively formulated; 2) the improvement of and support for teachers' education programmes so that a stabilis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schools could be realised; 3) the enhancement of teachers' ability to apply and reorganise the National Curriculum so that teachers' professionalism in subject curricula could be empowered; and 4) a continuous, regular reviewing and monitoring process of the implementation o[ the National Curriculum so that a formulation of a government-individual school-government level cycle could be secur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nnection of school-research-policies for a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provincial, and school curricula.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협력진 ... 9
- 머리말 ... 11
- 연구요약 ... 13
- 차례 ... 17
- 표 차례 ... 21
- 그림 차례 ... 33
- Ⅰ. 서 론 ... 35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7
- 2. 연구 내용 ... 39
- 가. 교육과정 적용의 의미 및 적용 방안의 범위 설정 ... 39
- 나. 2009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변화 분석 ... 39
- 다.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실태 및 요구 분석 ... 39
- 라. 교과별 교육과정 적용상의 쟁점 도출 ... 40
- 마. 교과별 교육과정 적용 방안 구안 ... 40
- 바. 교과 교육과정의 현장 안착을 위한 정책 도출 ... 41
- 3. 연구 방법 ... 41
- 가. 문헌 연구 ... 41
- 나. 전문가 협의회 ... 41
- 다. 교육과정 편제표 분석 ... 42
- 라. 설문 조사 ... 43
- 마. 워크숍 및 세미나 ... 46
- Ⅱ. 이론적 배경 ... 47
- 1. 교과 교육과정 적용의 의미와 범위 ... 49
- 가. 교육과정 적용관련 선행연구 분석 ... 49
- 나. 교과 교육과정 적용의 범위 탐색 ... 51
- 2. 2009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총론)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적용의 방향 ... 53
- 가. 2009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총론)의 주요 변화 사항 ... 53
- 나.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 57
- 3. 일반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향 ... 61
- 가. 진로집중과정에 따른 선택과목 편성 ... 62
- 나. 이수 단위 증감과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 ... 63
- 다. 과목별 성격 및 특성을 고려한 이수 경로 ... 63
- 라. 교과집중이수에 따른 교과 수업방법 및 평가 ... 64
- 마. 교과 교육과정의 효율적 적용을 위한 학교(교사)의 노력과 지원 ... 65
- Ⅲ.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적용의 쟁점 및 적용방안 ... 67
- 1. 국어과 ... 70
- 가.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 70
- 나. 국어과 교육과정 적용 실태 분석 ... 75
- 다. 국어과 교육과정 적용상의 쟁점 ... 113
- 라. 국어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 ... 123
- 2. 수학과 ... 146
- 가. 수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 146
- 나. 수학과 교육과정 적용 실태 분석 ... 150
- 다. 수학과 교육과정 적용상의 쟁점 ... 179
- 라. 수학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 ... 184
- 3. 영어과 ... 198
- 가. 영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 199
- 나. 영어과 교육과정 적용 실태 분석 ... 202
- 다. 영어과 교육과정 적용상의 쟁점 ... 247
- 라. 영어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 ... 261
- 4. 사회과 ... 280
- 가.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 ... 281
- 나. 사회과 교육과정 적용 실태 분석 ... 284
- 다. 사회과 교육과정 적용상의 쟁점 ... 309
- 라. 사회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 ... 314
- 5. 과학과 ... 325
- 가.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 326
- 나. 과학과 교육과정 적용 실태 분석 ... 330
- 다. 과학과 교육과정 적용상의 쟁점 ... 363
- 라. 과학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 ... 370
- 6. 체육과 ... 397
- 가. 체육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 398
- 나.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 실태 분석 ... 405
- 다.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상의 쟁점 ... 454
- 라.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 ... 460
- 7. 미술과 ... 465
- 가. 미술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 466
- 나. 미술과 교육과정 적용 실태 분석 ... 471
- 다. 미술과 교육과정 적용상의 쟁점 ... 506
- 라. 미술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 ... 514
- Ⅳ. 요약 및 정책 제언 ... 545
- 1. 요약 ... 547
- 가. 교육과정 적용의 의미와 적용의 방향 ... 547
- 나.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적용의 쟁점 및 적용방안 ... 548
- 2. 정책제언 ... 559
- 가. 교과 교육과정 관련 자료의 개발·보급 및 활용시스템 구축 ... 560
- 나.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선 및 지원을 통한 개정 교육과정의 현장 안착 ... 565
- 다.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의 공유를 통한 교사의 교육과정 역량 강화 ... 570
- 라.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현장 중시미의 상시적 적합성 검토 체계 구축 ... 573
- 참고문헌 ... 577
- ABSTRACT ... 583
- [부록] 교과별 설문조사 문항 내용 ... 585
- 끝페이지 ... 690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