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hild Care Policy in Kore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조세재정연구원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12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400012365
과제고유번호 1105007892
사업명 한국조세재정연구원
DB 구축일자 2014-07-05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12365

초록

우리나라는 2000년대 후반부터 미취학 아동에 대한 투자를 큰 폭으로 확대해 왔다. 영유아 보육에 대한 국가적 책임 강화 및 지원 확대는 그 자체로 바람직한 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보육인 프라의 질적 성숙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단기간에 양적팽창에 주력해 온 결과 현재 적지 않은 문제들을 경험하고 있다. 보육사업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수요자인 부모의 만족도는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재원 확보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지원대상과 금액을 확대해 오는 과정에서 재원분

Abstract

Public spending o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in Korea has rapidly increased since the late 2000s. In particular, government subsidy for child care, originally a selective benefit targeted to lower-income families, expanded over time to become a universal benefit. Starting from this year, a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 언 ... 3
  • 요약 및 정책시사점 ... 6
  • 목 차 ... 13
  • 표목차 ... 17
  • 그림목차 ... 20
  • Ⅰ. 서 론 ... 23
  • Ⅱ. 보육정책의 주요 내용 ... 27
  • 1. 정부 개입의 필요성 ... 27
  • 가. 시장실패 ... 27
  • 나. 인적자본 투자의 효율성 ... 29
  • 다. 가치재 ... 31
  • 2. 보육정책의 주요 내용 및 예산 ... 32
  • 가. 보육정책 ... 32
  • 나. 보육예산 ... 39
  • 3. 보육 현황 ... 43
  • 가. 보육기관 및 보육아동 현황 ... 43
  • 나. 보육서비스 이용 현황 ... 48
  • 4. 보육정책과 관련한 주요 쟁점 ... 54
  • 가. 획일적인 지원방식 ... 54
  • 나. 영아의 과도한 시설 이용 ... 58
  • 다. 미미한 비용 완화 체감효과 ... 62
  • 라. 보육서비스 품질 담보의 어려움 ... 65
  • Ⅲ. 주요 선진국의 보육정책 ... 73
  • 1. OECD 국가의 육아지원 정책 규모 ... 74
  • 2. 스웨덴 ... 77
  • 가. 육아휴직 ... 78
  • 나. 자녀지원 정책 ... 78
  • 다. 보육정책 ... 79
  • 3. 핀란드 ... 83
  • 가. 육아휴직 ... 83
  • 나. 자녀지원 정책 ... 84
  • 다. 보육정책 ... 84
  • 4. 노르웨이 ... 86
  • 가. 육아휴직 ... 87
  • 나. 자녀지원 정책 ... 88
  • 다. 보육정책 ... 88
  • 5. 프랑스 ... 91
  • 가. 육아휴직 ... 92
  • 나. 자녀지원 정책 ... 92
  • 다. 보육정책 ... 94
  • 6. 영국 ... 95
  • 가. 육아휴직 ... 96
  • 나. 자녀지원 정책 ... 97
  • 다. 보육정책 ... 97
  • 7. 미국 ... 101
  • 가. 육아휴직 ... 101
  • 나. 자녀지원 정책 ... 102
  • 다. 보육정책 ... 103
  • 8. 소결 및 정책시사점 ... 103
  • Ⅳ. 보육정책과 여성 노동공급 ... 109
  • 1. 여성 노동공급 추이 ... 109
  • 2. 보육료 지원과 여성 노동공급에 대한 이론적 배경 ... 116
  • 3. 선행연구 ... 120
  • 4. 실증분석 ... 125
  • 가. 자료설명 ... 126
  • 나. 영아 자녀를 둔 여성의 노동공급 실태 ... 127
  • 다. 실증분석 ... 135
  • 라. 시사점 ... 146
  • 5. 소결 및 정책시사점 ... 148
  • Ⅴ. 보육정책과 출산율 ... 154
  • 1. 출산율 추이 ... 154
  • 2.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요인 ... 158
  • 3. 선행연구 ... 160
  • 4. 실증분석 ... 171
  • 가. 자료 설명 및 표본 구성 ... 173
  • 나. 추가 자녀 출산계획 유무에 따른 기초통계량 비교 ... 175
  • 다. 추가 자녀 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78
  • 라. 시사점 ... 181
  • 5. 소결 및 정책시사점 ... 182
  • Ⅵ. 보육서비스 품질 제고 ... 186
  • 1.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 ... 187
  • 가. 제도 설명 ... 187
  • 나. 평가인증 현황 ... 190
  • 다. 문제점 ... 191
  • 라. 개선방안 ... 195
  • 2. 어린이집 인가제한제 ... 200
  • 가. 인가제한 기준 ... 200
  • 나. 인가제한 현황 ... 202
  • 다. 문제점 ... 205
  • 라. 개선방안 ... 208
  • 3. 보육교사의 자질 및 처우 ... 211
  • 가. 보육교사 자질 ... 212
  • 나. 보육교사 처우 ... 215
  • 다. 개선방안 ... 216
  • Ⅶ. 결 론 ... 224
  • 참고문헌 ... 231
  • 부 록 ... 239
  • <국문요약> ... 241
  • ... 243
  • 끝페이지 ... 245

표/그림 (31)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