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 오염성 식품가공 부산물인 사과박과 간장박을 이용한 미생물 제재의 대량 생산 및 활용방안
Development of mass production process for microbial product with by-products from food processing, apple and soybean pomaces cause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heir application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동아대학교
Donga University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4-08
과제시작연도 2003
주관부처 농림부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등록번호 TRKO201400023401
과제고유번호 1380002129
사업명 농림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4-11-10

초록

○ 연구결과
1. 사과박과 간장박의 성분 분석
사과박의 구성성분은 탄수화물과 조섬유가 주성분이며 각각의 함량은 66.5% 및 4.7%이었다. 간장박은 탄수화물과 조단백 및 무기염류이 주성분이며 조지방과 칼슘 및 인이 포함되어 있으며 수분 함량은 11.0%이었다.
2. 미생물 제재의 생산기술 개발
가. 유용 미생물들의 사과박 및 간장박의 이용도 측정
본 연구에 사용한 대부분의 균주가 사과박과 간장박을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풀루란 생산배지의 구성성분에서 탄소원인 포도당이 차지하는 상대적인 가격은 약

Abstract

1. Results
가. Analysis of apple and soybean pomace
Apple pomace consisted mainly of carbohydrates(66.5%) and crude fibers(4.7%). Soybean pomace consisted mainly of carbohydrates, crude proteins and inorganic salts. Crude lipids, calcium and phosphorus were also found, and 11.0% was moistur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요약문 ... 3
  • SUMMARY ... 9
  • CONTENTS ... 16
  • 목차 ... 20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24
  •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과 필요성 ... 24
  • 1. 연구개발의 목적 ... 24
  • 2. 연구개발의 필요성 ... 24
  • 제2절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 ... 29
  • 1. 최종연구목표 ... 29
  • 2. 연차별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30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33
  • 제1절 국내외 관련기술의 현황과 문제점 ... 33
  • 제2절 앞으로의 전망 ... 33
  • 제3절 기술도입의 타당성 ... 34
  • 제3장 연구개발수행내용 및 결과 ... 36
  • 제1절 유용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 36
  • 1. 연구수행 방법 ... 36
  • 가. 균주동정 ... 36
  • 나. 균주의 길항작용 확인 ... 36
  • 2. 연구 결과 ... 36
  • 가. 균주 동정 ... 36
  • 나. B. stearothemophilus DL-3의 길항작용 ... 38
  • 제2절 사과박과 간장박의 구성성분 및 이용도 ... 40
  • 1. 연구수행 방법 ... 40
  • 가. 구성성분 분석 ... 40
  • 나. 생균수 측정 ... 40
  • 다. 사과박과 간장박의 이용도 ... 40
  • 2. 연구 결과 ... 41
  • 가. 구성성분 분석 ... 41
  • 나. 생균수 측정 ... 41
  • 다. 사과박과 간장박의 이용도 ... 42
  • 제3절 미생물 제재의 생산조건 최적화 ... 44
  • 1. 연구수행 방법 ... 44
  • 가. 최적배양 온도 ... 44
  • 나. 최적 배양 pH ... 44
  • 다. 사과박의 수분함량 확립 ... 44
  • 라. 간장박의 수분농도 확립 ... 44
  • 마. 사과박과 간장박의 혼합비율 최적화 ... 44
  • 2. 연구결과 ... 45
  • 가. 최적배양 온도 ... 45
  • 나. 최적 배양 pH ... 45
  • 다. 사과박의 수분농도 최적화 ... 45
  • 라. 간장박의 수분농도 최적화 ... 49
  • 마. 사과박과 간장박의 혼합비율 최적화 ... 52
  • 제4절 미생물 제재에 제조에 사용한 미생물들의 특성 ... 58
  • 1. 연구수행 방법 ... 58
  • 가. 생장곡선 ... 58
  • 나. B. stearothemophilus DL-3의 특성 연구 ... 58
  • 2. 연구 결과 ... 58
  • 가. 생장곡선 ... 58
  • 나. B. stearothemophilus DL-3의 특성 연구 ... 64
  • 제5절 미생물 제재의 보관 방법 최적화 ... 66
  • 1. 연구수행 방법 ... 66
  • 가. 최적 흡착제 선별 ... 66
  • 나. 최적 진공냉동 건조 방법 확립 ... 66
  • 다. 최적 보관 온도 ... 66
  • 2. 연구 결과 ... 67
  • 가. 최적 흡착제 선별 ... 67
  • 나. 최적 진공냉동 건조 방법 확립 ... 68
  • 다. 최적 보관 온도 ... 68
  • 제6절 미생물 제재의 기능성 비료효과 검정-I: 상추와 토마토 ... 71
  • 1. 연구수행 방법 ... 71
  • 가. 미생물의 배양 ... 71
  • 나. 미생물 제재의 제조 ... 72
  • 다. 공시작물 재배토양의 미생물 조사 ... 72
  • 라. 미생물 제재의 기능성 비료효과 검정 ... 72
  • 2. 연구 결과 ... 73
  • 가. 토양 미생물 상의 변화 ... 73
  • 나. 효과 검정 ... 77
  • 제7절 미생물 제재의 기능성 비료효과 검정-II: 상추와 배추 ... 79
  • 1. 연구수행 방법 ... 79
  • 가. 미생물의 배양 ... 79
  • 나. 미생물 제재의 제조 ... 79
  • 다. 공시작물 재배토양의 미생물 조사 ... 80
  • 라. 미생물 제재의 기능성 비료효과 검정 ... 80
  • 2. 연구 결과 ... 81
  • 가. 미생물 제재의 제조 ... 81
  • 나. 토양 미생물 상의 변화 ... 81
  • 다. 미생물 제재의 기능성 비료효과 검정 ... 122
  • 제8절 미생물 제재의 기능성 비료효과 검정-III: 상추와 배추 ... 131
  • 1. 연구수행 방법 ... 131
  • 가. 미생물의 배양 ... 131
  • 나. 미생물 제재의 제조 ... 131
  • 다. 공시작물 재배토양의 미생물 조사 ... 131
  • 라. 미생물 제재의 기능성 비료효과 검정 ... 132
  • 2. 연구 결과 ... 132
  • 가. 토양 미생물 종류별 생균수 측정 ... 132
  • 나. 효과 검정 ... 138
  • 제9절 미생물 제재의 유기질 사료효과 검정-I: 닭 ... 143
  • 1. 연구수행 방법 ... 143
  • 가. 미생물제재의 제조 ... 143
  • 나. 사료효과 검정 ... 143
  • 2. 연구결과 ... 143
  • 제10절 미생물 제재의 유기질 사료효과 검정-II: 돼지 ... 147
  • 1. 연구수행 방법 ... 147
  • 가. 미생물제재의 제조 ... 147
  • 나. 사료효과 검정 ... 147
  • 2. 연구결과 ... 147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52
  • 제1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 152
  • 제2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에의 기여도 및 기대효과 ... 153
  • 1. 기술적 측면 ... 153
  • 2. 경제.산업적 측면 ... 153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56
  • 1. 연구논문 발표 ... 156
  • 2. 특허출원의 의한 지적 재산권의 등록 ... 156
  • 3. 기술 이전 ... 156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56
  • 제7장 참고문헌 ... 157
  • 끝페이지 ... 16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