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 약과 및 다식 제품의 대중화를 위한 품질향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echnology development for quality enhancement of traditional Yackwa and Dasik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식품개발연구원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3-09
과제시작연도 2002
주관부처 농림부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등록번호 TRKO201400023654
과제고유번호 1380001330
사업명 농림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4-11-10

초록

○ 연구결과
대표적인 전통 한과인 약과 및 다식의 대중화를 위한 품질 향상의 일환으로 제품의 저장, 유통 중 주된 품질 열화 현상으로 알려져 있는 조직감 경화 현상을 지연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물성 개량용 첨가물 적용, 공정변수 조절, 가식성 필름 소재 적용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약과와 다식제품을 25℃에서 저장하면서 저장에 따른 제품의 물리 화학적, 관능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기존 약과 및 다식반죽에 사용해 온 당 용액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적용함으로써 25℃에서 4주간 저장 후의 경도를 20 ∼ 40% 범위에서

Abstract

IV. Results and Recommendation
Part 1. Technology development for quality enhancement of Yackwa
Yackwa is a Korean traditional fried cake made from wheat flour, honey and other ingredients such as sesame oil, ginger extract and so on. The typical process of Yackwa includes mixing and kneading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요약문 ... 3
  • SUMMARY ... 15
  • CONTENTS ... 22
  • 목차 ... 25
  •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28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31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33
  • 제 1 절 실험재료 및 방법 ... 33
  • 1. 실험재료 ... 33
  • 가. 재료 ... 33
  • 나. 첨가물 ... 33
  • 다. 시약 ... 33
  • 2. 실험방법 ... 33
  • 가. 성분 분석 ... 33
  • 나. 품질 특성 평가 ... 34
  • 다. 공정 변수의 조절 ... 36
  • 라. 가식성 필름의 적용 ... 37
  • 마. 관능검사 ... 37
  • 제 2 절 연구결과 및 고찰 ... 37
  • 1. 약과의 저장성 증진 및 품질 향상 기술 개발 ... 37
  • 가. 적정 첨가물 응용에 의한 배합비 최적화 ... 37
  • 1) 약과제품의 최적 기초 배합비 선정 ... 38
  • 2) 약과제품의 최적 반죽용 시럽의 선별 ... 38
  • 3) 약과제품용 물성 개발제 첨가 효과 조사 및 선별 ... 40
  • 4) 약과제품의 최적 집청용 시럽의 선별 ... 54
  • 5) 약과제품의 최적 배합비 결정 및 개선된 제조법 지침 검토 ... 59
  • 6) 최종제품의 기호도 조사 ... 62
  • 나. 최적 제조공정 설정 ... 65
  • 1) 약과제품의 제품 다양화 및 반죽 분할량별 약과의 품질 특성 ... 65
  • 2) 튀김 조건별 약과의 품질특성 및 산화안정성 조사 ... 69
  • 3) 집청 조건별 약과의 품질 특성 ... 77
  • 4) 기본약과 제조공정의 설정 ... 78
  • 5) 약과제품의 pilot-scale 생산 및 저장 안정성 조사 ... 78
  • 다. 가식성 필름 응용 ... 81
  • 1) 약과제품용 가식성 필름 소재의 선정 ... 83
  • 2) 가식성 필름 소재의 최적 적용 조건 설정 ... 84
  • 3) 가식성 필름 적용 효과 조사 ... 86
  • 2. 다식의 저장성 증진 및 품질 향상 기술 개발 ... 95
  • 가. 적정 첨가물 응용에 의한 배합비 최적화 ... 95
  • 1) 모델 다식제품의 선정 ... 95
  • 2) 다식제품의 품질 변화 인자 분석 ... 96
  • 3) 다식제품의 최적 기초 배합비 선정 ... 97
  • 4) 다식제품의 최적 반죽용 시럽의 선별 ... 97
  • 5) 물성개량제의 효과 ... 105
  • 6) 항산화제의 효과 ... 106
  • 나. 최적 제조공정 설정 ... 107
  • 1) 다식제품의 제품 다양화 및 반죽 분할량별 약과의 품질 특성 ... 107
  • 2) 입도별 흑임자다식의 품질 특성 ... 112
  • 3) 코팅 유지별 다식의 품질 특성 ... 117
  • 다. 가식성 필름 응용 ... 122
  • 1) 다식제품용 가식성 필름 소재의 선정 ... 122
  • 2) 가식성 필름 소재의 최적 적용 조건 설정 ... 124
  • 3) 가식성 필름 적용 효과 조사 ... 125
  • 3. 약과 및 다식제품의 품질 개선을 위한 관능 특성 평가 ... 142
  • 가. 약과 시료의 관능 특성 검사 ... 142
  • 1) 튀김유별 약과의 관능 특성 ... 142
  • 2) 반죽 시럽별 약과의 관능 특성 ... 144
  • 3) 집청 시럽별 약과의 관능 특성 ... 148
  • 4) 검 처리 약과의 관능 특성 ... 149
  • 5) 크기별 약과의 관능 특성 ... 155
  • 나. 다식 시료의 관능 특성 검사 ... 157
  • 1) 송화다식의 관능 특성 분석 ... 157
  • 2) 혹임자다식의 관능 특성 분석 ... 162
  • 3) 시럽별 다식 시료의 관능 특성 ... 163
  • 4) 입도별 흑임자다식의 관능 특성 ... 169
  •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71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71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72
  • 제 7 장 참고문헌 ... 174
  • 끝페이지 ... 18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