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5-03 |
과제시작연도 |
2014 |
주관부처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
연구관리전문기관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등록번호 |
TRKO201500010472 |
과제고유번호 |
1395035574 |
사업명 |
농업실용화기술R&D지원 |
DB 구축일자 |
2015-07-11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500010472 |
초록
▼
Ⅳ. 연구개발결과
<제1세부과제 : 시설 생대추 품질향상을 위한 관비 시용기준 설정 연구>
본 연구는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는 대추 재배 포장에서 대추나무에 대한 적절한 관비수준을 설정하고자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수행되었다. 시험처리는 1년생 나무가 식재된 포장에서 토양검정 시비량을 기준으로 관비 50%, 관비 75%, 관비 100%, 관비 125%, 관비 150%와 관행(고형비료 100%) 처리를 두고 수행되었다. 시험 후 토양은 시험 전 토양에 비하여 pH는 낮아지고, EC 및 치환성 칼륨은 높아졌다. 대추
Ⅳ. 연구개발결과
<제1세부과제 : 시설 생대추 품질향상을 위한 관비 시용기준 설정 연구>
본 연구는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는 대추 재배 포장에서 대추나무에 대한 적절한 관비수준을 설정하고자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수행되었다. 시험처리는 1년생 나무가 식재된 포장에서 토양검정 시비량을 기준으로 관비 50%, 관비 75%, 관비 100%, 관비 125%, 관비 150%와 관행(고형비료 100%) 처리를 두고 수행되었다. 시험 후 토양은 시험 전 토양에 비하여 pH는 낮아지고, EC 및 치환성 칼륨은 높아졌다. 대추 잎의 양분함량은 8월 채취한 잎이 10월에 채취 잎에 비하여 모든 성분이 높게 나타났다. 대추나무의 생육은 2012년에는 각 처리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2013년에 대추나무 생육은 평균값으로 비교하면 관비 150%에서 가장 좋았다. 2014년에 대추나무 생육은 평균값을 비교하면 관비 125%에서 가장 좋았다. 대추잎에 대한 엽록소 함량은 8월과 10월에 채취한 잎이 7월에 채취한 잎에 비하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의 총 수량은 관비 100%, 관비 125%, 관비 150% 및 관행 처리에서 관비 50% 및 관비 75%에 비하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2세부과제 : 대추재배지 유기자원 시용기준 설정 연구>
본 연구에서는 퇴비 시용이 토양환경 및 대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시험으로 생대추 재배에 적합한 양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2012년에 보은군일원 대추재배지 30지점에서 토양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6월에 조사한 보은지역 대추재배지 평균 토양의 인산은 530 mg/kg 이었고, 칼리의 함량은 1.01 cmol /kg으로 대추에 대한 적정함량 기준보다 높았다. 유효인산 및 치환성 칼리의 적정분포율은 각각 13% 및 30%이었으며, 적정범위 초과율은 각각 57% 및 67% 이었다. 비가림 재배 토양의 양분함량은 노지재배 토양에 비하여 더 높은 경향이었다.
두 번째 시험으로 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퇴비의 화학적 함량을 알아보고자 2013년에 보은군일원 대추재배지 13지점에서 퇴비를 수거하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퇴비의 pH는 6.5~9.2 범위에 있었고, 유기물은 21~65% 범위에 있었다. T-N은 10.04~19.17 g/kg 범위에 있었고, P2O5는 7.60∼35.90 g/kg범위에 있었으며, K2O, CaO 및 MgO는 각각 2.91∼12.04 g/kg, 1.91∼8.78 g/kg 및 7.00∼11.00 g/kg범위에 있었다.
마지막 시험으로는 대추 재배시 적절한 퇴비자원 시용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우분과 부산물 퇴비 시용 시험을 수행하였다. 5년생 대추나무가 식재된 포장에 화학비료는 처리하지 않고 우분과 가축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부산물 퇴비를 처리한 후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은 대추재배 토양관리 처방서의 우분퇴비 추천량(15 톤/ha)을 기준으로 우분과 부산물 퇴비를 각각 50%, 100%, 150%, 200%와 부산물퇴비 100%+화학비료 처리를 두고 수행하였다. 시험 후 토양은 우분처리에서 시험 전에 비하여 모든 성분이 시험전 토양에 비하여 높아졌고, 부산물 퇴비처리에서 pH는 시험 전에 비하여 낮아지고 EC, 유효 인산, 유기물 및 치환성 칼륨은 높아졌다. 토양의 양분 축적정도는 우분처리 토양에서 부산물 퇴비 처리 토양에 비하여 높았다. 토양 EC, 유효인산 및 치환성 칼륨 함량은 우분 및 부산물 퇴비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우분처리에서 적숙 과실의 수량은 150% 수준에서 가장 좋았고, 부산물 퇴비처리에서는 200%수준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행처리와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화학 비료 시용 없이 토양관리 처방서 우분퇴비의 1.5배량에 해당하는 우분이나 혹은 토양관리 처방서 우분퇴비의 2.0배량에 해당되는 부산물 퇴비를 시용하면 관행처리와 비슷한 수량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제3세부과제 : 생대추 신선도 유지를 위한 저장기술 개발>
생대추 신선도 연장을 위한 저장방법을 구명하고자 식용코팅제와 살균패드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저장 전 과실품질 조사 결과 숙기 70∼80%에서 당도가 23.3°Brix로 적숙기의 당도 32.0°Brix 보다 8.7°Brix 낮은 반면 과실의 수분함량은 숙기 70∼80%에서 70.4%로 약 7.5% 높은 경향이었다. 식용코팅제 처리 시험에서 생대추 저장 20일 후 상품과율은 저장온도 0℃에서 키토산 2% 처리에서 91.7%로 가장 높았다. 생대추 저장시 살균패드를 처리하였을 때 저장 비닐내의 이산화황 농도의 경시적 변화는 저장 4일경 15 ppm으로 최고치를 보였으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서서히 낮아져 저장 후 20일 경부터는 1 ppm으로 유지 되었다. 살균패드 처리40일 상품과율은 87%이었고, 경도 및 당도는 40일 이후에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무처리 및 키토산 2% 처리에서는 부패 및 연화과 발생이 심하였다. 생대추(복조) 저장은 2±1℃에서 살균패드 처리시 저장 40일까지 가장 좋았다. 숙기에 따른 저장 효과는 숙기 70∼80%인 생대추를 저장하는 것이 적숙기인 생대추를 저장하는 것에 비하여 상품과율이 다소 높았으나 당도는 3.4°Brix 떨어졌다. 선별조건에 따른 저장 효과는 선별기 이용 전, 후에 관계없이 상품과율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
Sub Title : The study about fertig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of fresh jujube in rain shielding con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useful data for the optimal fertigation level on jujube trees at cultivation field equipped with sprinkler from 2012 to 2014. The one year old jujube
Sub Title : The study about fertig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of fresh jujube in rain shielding con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useful data for the optimal fertigation level on jujube trees at cultivation field equipped with sprinkler from 2012 to 2014. The one year old jujube tree planted at field in 2012. The experiment treatments were designed as the fertigation 50%, 75%, 100%, 125%, 150% and solid fertilizer 100% based on the recommended amounts of soil testing. In collected soil after experiment, pH value was lower than that before experiment. wherea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xchangeable potassium were higher. All nutrient contents of leaves were higher in collected leaves on August than those on October. Growth of jujube trees had no difference among treatments in 2012. In 2013, according to mean value, growth of jujube trees was the highest in fertigation 150% plot. In 2014, growth of jujube trees was the highest in fertigation 125% plot. Total fruit yield was higher in fertigation 100%, 125%, 150% and solid fertilizer 100% plots than fertigation 50% and 75% plots.
Sub Title : The study about application of organic material in jujube orchar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compost application on jujube tree growth and soil chemical property in jujube orchard. First, to obtain useful data for optimum nutrient management on fresh jujube cultivation, chemical soi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t 30 different jujube orchards in Boeun region. Investigated mean contents of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potassium in soil were 530 mg/kg and 1.01 cmolc/kg respectively. The values were higher than optimum level for jujube cultivation respectively.
Soil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potassium contents in optimum levels for jujube cultivation were 13% and 30% of total investigated sites respectively, 57% and 67% of total investigated sites were higher than the optimum levels, respectively. Nutrient contents of soil in rain shielding cultivation were higher than those in open field cultivation soil.
Second, chemical properties of compost were surveyed from 13 different jujube orchards in Boeun region to investigate nutrient contents in compost used in farms. pH range of investigated compost was shown from 6.5 to 9.2, organic matter range was shown from 21% to 65%. T-N was ranged from 10.04~19.17 g/kg, P2O5 was ranged from 7.60∼35.90 g/kg. K2O, CaO and MgO were ranged from 2.91∼12.04 g/kg, 1.91∼8.78 g/kg and 7.00∼11.00 g/kg respectively.
Third, experiment was performed to obtain optimum compost application level for jujube cultivation from 2012 to 2014. In this experiment, cow dung, by-product compost without livestock manure and by-product + chemical fertilizer were treated in cultivation field planted 5 years old jujube trees. The experiment treatments were designed as the cow dung and by-product compost 50%, 100%, 150%, 200%, and by-product 100%+chemical fertilizer based on the recommended amounts of cattle manure in jujube tree cultivation(15ton/ha) respectively.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after experiment were higher than before the experiment in all of plots with cow dung. In plots with by-product compost, pH of value in soil after experiment was lower than that before experiment, whereas EC, available phosphate, organic matter and exchangeable potassium were higher. Nutrients accumulated in soil of plots with cow dung were higher than those with by-product compost. EC, soil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potassium contents increased as application amounts of cow dung and by-product compost increased. Fresh jujube weight was the highest at cow dung 150% plot and by-product compost 200% plo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urveyed compared to by-product 100%+chemical polt. In conclusion, 150% cow dung or 200% by product compost application based on the recommended amounts of cattle manure in jujube tree cultivation could gain similar fresh jujube weight compared to by-product 100%+chemical polt.
Sub Title : Development of preservation techniques for freshness prolongation on fresh jujub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tend the storage period of Ziziphus jujuba (->fresh jujube fruit). As a result of researching fruit quality, it is 8.7°Brix(at 70~80% degree of harvest maturity’s sugar content : 23.3°Brix) lower than brix degree of optimum maturity. (But) On the other hand, it is 7.5%(at 70~80% degree of harvest maturity’s water content : 70.4%) higher than water content of optimum maturity. Fruit quality rate reached its peak(91.7%) after treatment of edible coatings and 2% (of) chitosan treatment with 0℃ of storage temperature. It reached the highest record(15ppm) since then 4 days storage in the longitudinal changes of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in vinyl pouches if it was sterilized for a month. And it went lower as time goes by, it kept 1ppm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as 20 days afterward. Hardness of fruit tended to decline after 40 days with special sterile pad treatment within changes of quality according to storage period. Brix degree of fruit tended to decline after 40 days in all treatment. The research showed the optimum conditions of fresh jujube storage was keeping them 40 days, 2±1℃ temperature in sterile pad treatment. Fruit quality rate were a bit higher when storing 70~80% harvest maturity as compared with storing optimum maturity of fresh jujube from the view of storage effect. But it dropped 3.4°Brix of brix degree. It showed a similar tendency of fruit quality rate that has nothing to do with using a sorter as the sorting condition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