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스트 개발시대의 토지보상제도 개선방안 연구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토지공법학회
연구책임자 석종현
참여연구자 김해룡 , 김원보 , 이헌석 , 최철호 , 김원중 , 정회근 , 고경운 , 심종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11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사업 관리 기관 국토교통부
등록번호 TRKO201600016308
DB 구축일자 2016-12-17

초록

1. 과업의 배경 및 목적

ㅇ 국민의 권리의식이 크게 높아지는 등 사회 경제적 여건 변화에 따라 토지보상 제도 재검토 필요

2. 과업의 내용

(1) 현행 토지 보상 실태 분석

(2) 제도 개편 방안 마련

ㅇ 공익사업 범위 명확화 및 보상협의 절차 개선

ㅇ 보상대상자의 사전 사후적 권리 구제 강화

ㅇ 토지수용위원회 기능, 운영 실태 조사 및 개선방안 검토

ㅇ 상가권리금 등 새로운 권리 유형에 대한 보상 방안 검토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목차 ... 7
  • 표목차 ... 18
  • 그림목차 ... 19
  • 요 약 문 ... 21
  • 제1장 과업의 개요 ... 67
  • 1. 포스트 개발 시대 도래 ... 67
  • 2. 새로운 토지보상제도의 필요성 ... 68
  • 제2장 토지보상 실태 분석 ... 70
  • 1. 설문 조사 ... 70
  • 2. 보상 실태 조사 ... 116
  • 3. 기존 사례 조사 ... 116
  • 제3장 토지보상법령의 핵심 운영체계 재정립 ... 117
  • 제1절 공익사업 적용범위의 명확화 ... 117
  • Ⅰ. 개요 ... 117
  • Ⅱ. 문제점 ... 131
  • Ⅲ. 개선 방안 ... 144
  • 제2절 토지보상법 적용범위의 명확화 ... 151
  • Ⅰ. 개요 ... 151
  • Ⅱ. 문제점 ... 153
  • Ⅲ. 개선 방안 ... 159
  • 제3절 사업인정 절차 개선 ... 164
  • Ⅰ. 현황 ... 164
  • Ⅱ. 사업인정 의제처리 사업의 문제점 ... 186
  • Ⅲ. 개선 방안 ... 186
  • 제4절 보상협의 절차의 개선 등 ... 190
  • Ⅰ. 현황 ... 190
  • Ⅱ. 문제점 ... 193
  • Ⅲ. 개선 방안 ... 198
  • 제5절 수용재결 절차의 개선 : 현황․문제점 및 개선방안 ... 213
  • 제1관 수용재결 절차 관련 ... 213
  • 제2관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운영 및 역할 정비 ... 219
  • 제4장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보상 방법 등 개선 ... 237
  • 제1절 토지 보상평가방법의 전환 ... 237
  • Ⅰ. 개요 ... 237
  • Ⅱ. 문제점 ... 267
  • Ⅲ. 개선 방안 ... 276
  • 제2절 사용의 경우 주거이전비 등 보상방법의 명확화 ... 281
  • Ⅰ. 개요 ... 281
  • Ⅱ. 문제점 ... 282
  • Ⅲ. 개선방안 ... 284
  • 제3절 사실상의 사도 범위의 명확화 ... 286
  • Ⅰ. 개요 ... 286
  • Ⅱ. 문제점 ... 292
  • Ⅲ. 개선방안 ... 295
  • 제4절 사실상의 사도 및 구거의 감정평가기준 개선 ... 299
  • Ⅰ. 개요 ... 299
  • Ⅱ. 문제점 ... 304
  • Ⅲ. 개선방안 ... 305
  • 제5절 건축물 감정평가방법의 개선 ... 307
  • Ⅰ. 개요 ... 307
  • Ⅱ. 문제점 ... 310
  • Ⅲ. 개선방안 ... 311
  • 제6절 수목 감정평가방법의 개선 ... 313
  • Ⅰ. 개요 ... 313
  • Ⅱ. 문제점 ... 317
  • Ⅲ. 개선방안 ... 320
  • 제7절 분묘 보상기준의 개선 ... 329
  • Ⅰ. 개요 ... 329
  • Ⅱ. 문제점 ... 334
  • Ⅲ. 개선방안 ... 335
  • 제8절 농업손실 보상대상자의 명확화 ... 339
  • Ⅰ. 개요 ... 339
  • Ⅱ. 문제점 ... 349
  • Ⅲ. 개선방안 ... 351
  • 제9절 축산손실 보상대상자의 명확화 ... 355
  • Ⅰ. 개요 ... 355
  • Ⅱ. 문제점 ... 358
  • Ⅲ. 개선방안 ... 363
  • 제10절 가격으로 보상한 건축물등의 소유권 취득 방안 ... 367
  • Ⅰ. 개요 ... 367
  • Ⅱ. 문제점 ... 371
  • Ⅲ. 개선방안 ... 372
  • 제11절 이주자택지 공급가격 결정방식의 개선 ... 375
  • Ⅰ. 개요 ... 375
  • Ⅱ. 문제점 ... 380
  • Ⅲ. 개선방안 ... 382
  • 제12절 주거이전비 보상대상자의 명확화 ... 385
  • Ⅰ. 개요 ... 385
  • Ⅱ. 문제점 ... 390
  • Ⅲ. 개선방안 ... 391
  • Ⅳ. 기타 관련된 사항 ... 394
  • 제13절 이사비 적정성의 검토 ... 397
  • Ⅰ. 현행 규정의 내용 ... 397
  • Ⅱ. 외국제도 ... 398
  • 제5장 새로운 권리 유형의 보상방안 검토 - 상가권리금 보상 방안을 중심으로 ... 400
  • 제1절 상가권리금 보상 방 ... 400
  • Ⅰ. 개요 ... 400
  • Ⅱ. 문제점 ... 404
  • Ⅲ. 개선방안 ... 406
  • 제6장 토지보상 법령 개정안(신·구조문대비표) ... 411
  • 1. 토지보상법 ... 411
  • 2. 토지보상법시행령 ... 421
  • 3. 토지보상법시행규칙 ... 421
  • 제7장 제도개선방안의 전문가 간담회 개최 및 결과 보고 ... 430
  • 1. 보상법상 손실보상 규정의 정당보상에의 수렴 ... 430
  • 2. 수용적격사업의 개별입법주의를 통한 사업인정의 실효성 제고 ... 431
  • 3. 토지수용위원회의 역할 분담 ... 432
  • 4. 간접보상으로서 사업손실보상의 입법 ... 432
  • 5. 사용수용의 입법화 ... 433
  • 참고문헌 ... 439
  • 부록 ... 443
  • [부록 1] 공익사업 관련 개별법률 분석 내용 ... 445
  • [부록 2] 공익사업별 사업인정 의제 및 보상 관련 내용 ... 452
  • [부록 3] 설 문 조 사 서 ... 474
  • 끝페이지 ... 490

표/그림 (15)

참고문헌 (25)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