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토 유휴공간 현황과 잠재력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Vacant and Underutilized Land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국토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연구책임자 김동한
참여연구자 서태성 , 이미영 , 한우석 , 임지영 , 김현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12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등록번호 TRKO201700000286
DB 구축일자 2017-09-20
키워드 underutilized land.infill development.urban planning.urban redevelopment.planning support system.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0286

초록

FINDINGS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본 연구보고서의 주요 내용
[1] 고도성장 시대를 지나 안정성장 시대에 접어들면서 기존의 정주 지역이나 도시지역 내에서 유휴화되거나 이용되고 있지 않은 공간이 증가하고 있음
[2] 이 연구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유휴공간의 실체를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유휴공간의 현황 및 잠재력 분석방법을 정립
[3] 유휴공간의 분석을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제시하고 오픈소스 기반의 계획 지원체계를 시험개발
[

Abstract

Korea has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as well while achieving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over the past decades. Existing cities have grown explosively as well as new cities have been supplied in a planned way. However, Korea has been entering a more stable growth phase since

목차 Contents

  • 표지 ... 1발간사 ... 4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 6요약 ... 7목차 ... 38표목차 ... 41그림목차 ... 43제 1 장 연구의 개요 ... 46 1. 연구의 배경 ... 48 2. 연구의 목적 ... 49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 50 1) 연구 범위 ... 50 2) 연구 방법 ... 50 4. 연구의 흐름과 틀 ... 51 5.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 52 1) 선행연구 현황 ... 52 2) 본 연구의 차별성 ... 52 6. 연구의 기대효과 ... 54 1) 학술적 측면 ... 54 2) 정책적 측면 ... 54제 2 장 유휴공간과 충진개발의 개념 ... 56 1. 유휴공간의 개념 고찰 ... 58 2. 충진개발의 개념 고찰 ... 63 3. 국토도시 정책에서의 유휴공간과 충진개발의 함의 ... 66제 3 장 국외 사례 검토 ... 70 1. 독일 사례 ... 72 2. 미국 사례 ... 79 1) 해거스 타운(City of Hagerstown) ... 79 2) 클락 카운티(Clark County) ... 82 3) 왓컴 카운티(Whatcom County) ... 84 3. 영국 사례 ... 88 1) 충진개발 관련 정책 및 제도 현황 ... 88 2) 평가 부문 ... 92 4. 시사점 ... 98제 4 장 유휴공간 분석방법 정립과 모형 개발 ... 100 1. 개요 ... 102 2. 유휴공간 현황 분석 방법 ... 103 3. 유휴공간 잠재력 분석 방법 ... 108 4. 유휴공간 분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 112 5. 유휴공간 분석을 위한 계획지원체계 ... 115제 5 장 실증 연구 ... 120 1. 개요 ... 122 2. 유휴공간 현황분석 ... 127 1) 방치 공간 ... 127 2) 미이용 공간 ... 133 3) 저이용 공간 ... 136 3. 유휴공간 잠재력 분석 ... 142 1) 분석 개요 ... 142 2) 변수 및 자료 ... 143 3) 분석 결과 ... 150 4. 시사점 ... 157제 6 장 결론 및 향후 과제 ... 160 1. 연구의 의의와 한계 ... 162 2. 정책 제언 ... 164 3. 제도 개선 ... 167참고문헌 ... 170SUMMARY ... 176부록 ... 180끝페이지 ... 217

표/그림 (8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