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 평가·적응 기술 및 정책지원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limate-change Health Impact Assessment and Adaptation Technologi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신용승
참여연구자 배현주 , 하종식 , 박해용 , 정진희 , 강정은 , 김선덕 , 김윤승 , 문난경 , 박정규 , 서양원 , 신지영 , 심창섭 , 이명진 , 이정호 , 정선화 , 임유라 , 김소희 , 유미나 , 오효경 , 김윤승 , 문성원 , 김진실 , 간순영 , 서명순 , 윤민지 , 조성경 , 김시진 , 윤성지 , 김태현 , 손상욱 , 장연수 , 이하나 , 김재훈 , 서준호 , 오제하 , 장경애 , 강동균 , 정태혁 , 최철환 , 박은미 , 박준선 , 강성식 , 방영찬 , 최명준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03
과제시작연도 2015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700003993
과제고유번호 1485012948
사업명 환경정책기반공공기술개발사업
DB 구축일자 2017-09-20
키워드 기후변화.건강영향.적응기술.정책지원.시스템.Climate Change.Health Impact.Assessment.Adaptation.Technologies.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3993

초록

개발 목적 및 필요성
○ 개발의 목적
- 기후변화-건강영향평가 관련 DB 구축
- 기후변화-건강영향 평가 · 예측 요소기술 개발
- 기후변화-건강영향 적응 · 저감 툴박스(tool box) 개발
○ 개발의 필요성
-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을 평가하고 적응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특화된 시스템 부재
-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에 대한 평가예측과 정책지원을 위한 시스템화된 기술 필요

연구개발결과
○ 기후변화-건강영향 정책지원시스템(C-CHAMP)의 개발
- 정책지원시스템 사용자

Abstract

Ⅳ. Results
○ Health Impact Assessment by Type of Climate Change Impact
In order to evaluate the health effects of climate change, the assessment model for each impact element was developed and analysis data was collected. Health effects were evaluated on a personal and regional level to confir

목차 Contents

  • 표지 ... 1제 출 문 ... 3요 약 서 ... 4요 약 문 ... 8SUMMARY ... 15목차 ... 21표목차 ... 24그림목차 ... 33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41 1-1. 연구개발 목적 ... 41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 42 1-3. 연구개발 범위 ... 50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53 2-1. 해외 기술개발 동향 ... 53 2-2. 국내 기술개발 동향 ... 60 2-3. 연구개발대상 기술의 차별성 ... 63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67 3-1. 연구개발의 내용(범위) 및 최종목표 ... 67 가.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67 나. 연도별 목표 및 내용 ... 68 다. 연도별 연구단계 및 추진체계 ... 69 3-2.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 73 가. 건강영향평가 분석자료 및 DB구축 ... 73 나. 폭염/한파로 인한 건강영향 평가기술 개발 ... 132 다. 기상재해(태풍/호우)로 인한 건강영향 평가기술 개발 ... 217 라. 오존으로 인한 건강영향 평가기술 개발 ... 249 마. 자외선으로 인한 건강영향 평가기술 개발 ... 349 바. 기후변화-건강영향 적응·저감 기술 개발 ... 359 사. 기후변화 건강영향 정책지원시스템(C-CHAMP) 개발 ... 634 아. 기후변화의 건강영향 교육·홍보 ... 675 3-3. 연구개발 결과 요약 ... 707 가. 연구내용 요약 ... 707 나. 결론 ... 709 다. 연구성과 ... 710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 717 4-1. 목표달성도 ... 717 4-2. 관련분야 기여도 ... 718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721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7237.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 7278.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 729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 731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 73311. 기타사항 ... 73512. 참고문헌 ... 737부 록 ... 749 <부 록 1> 하절기 폭염으로 인한 사망영향(6대 광역시) ... 750 < 부록2> 하절기 폭염으로 인한 상병영향(6대 광역시) ... 762 < 부록3> 동절기 한파로 인한 사망영향(6대 광역시) ... 781 < 부록4> 동절기 한파로 인한 상병영향 분석 ... 806 <부록 5> 기후변화 건강영향 국제 심포지움 회의록 ... 878 <부록 6> 기후변화 건강영향 정책지원 시스템(C-CHAMP) 사용자 매뉴얼 ... 892끝페이지 ... 935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