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선도로 용량증대를 위한 교차로 개선방안 연구(3차)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문재필
참여연구자 이유화 , 이석기 , 이동훈 , 박순용 , 정준화 , 김영록 , 백종대 , 임성택 , 진민수 , 조원범 , 허진석 , 김도경 , 이동민 , 전진우 , 박재영 , 박용진 , 김대현 , 김영범 , 이다희 , 이상원 , 임규봉 , 한지원 , 황순천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12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등록번호 TRKO201700004335
DB 구축일자 2017-09-20

초록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간선도로에서 평면교차로는 도로용량 저하의 구조적 1원인으로, 열약한 기하구조 및 비효울적 교차로 운영으로 교통 지"E정체와 온실가스 배출량을 가중시키는 도로의 병목지점이다. 간선도로의 용량은 신호들 밀도와 교차로에 용량에 지배를 받으며, 교차로 용량은 신호운영 조건, 유효 녹색시간비(g/C)에 크게 좌우된다. <그림 1.1>에서는 유효 녹색간비에 따른 용량감소 정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다중 현시로 운영하는 교차로의 용량은 구간 용량보다 상당히 낮다는 것을

목차 Contents

  • 표지 ... 1제 출 문 ... 3목차 ... 7표목차 ... 16그림목차 ... 29제1장 서 론 ... 42 1. 연구 배경 및 목적 ... 42 2. 연구의 범위 ... 44 2.1 공간적 범위 ... 44 2.2 내용적 범위 ... 44 3. 연구 내용 ... 45제2장 간선도로 교차부 기하구조 및 교통운영 현황 조사 ... 48 1. 평면교차로 ... 48 1.1 교통운영 현황 ... 48 1.2 기하구조 현황 ... 51 2. 입체교차로 ... 55 3. 회전교차로 ... 59 3.1 회전교차로 건설 현황 ... 59 3.2 회전교차로 운영 현황 ... 65 4. 특수유형 교차로 ... 71 4.1 국내 ... 71 4.2 국외 ... 73제3장 국내외 관련 기준 및 연구 검토 ... 82 1. 국내외 관련 기준 검토 ... 82 1.1 평면교차로 ... 82 1.2 입체교차로 ... 102 1.3 회전교차로 ... 115 2. 국내외 관련 연구 검토 ... 125 2.1 평면교차로 ... 125 2.2 입체교차로 ... 160 2.3 회전교차로 ... 163제4장 현 기준 적정성 검토 및 개정/정립이 필요한 설계기준 도출 ... 168 1. 현 평면교차로 설계기준의 문제점 및 개정 필요성 ... 168 1.1 시뮬레이션 적정성 분석 ... 169 1.2 현 운영중인 교차로 대상 적정성 분석 ... 178 1.3 관련기준 개정 필요성 및 문제점 제시 ... 193 1.4 평면교차로 설계기준 개정 방향 정립 ... 196 2. 현 입체교차로 전환기준의 문제점 및 개정 필요성 ... 200 2.1 입체교차로 적정성 검토 대상지 선정 및 현황 ... 200 2.2 입체교차로 적정성 검토 조건 및 시뮬레이션 분석 ... 202 2.3 현 기준 개선방안 제시 ... 212 3. 현 회전교차로 설계지침의 문제점 및 개정 필요성 ... 217 3.1 관련 개정 필요성 및 문제점 제시 ... 217 3.2 현장조사 및 관련 공무원과 기술자 대상 면담 조사 결과 ... 218 3.3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개정방향 제언 ... 220제5장 평면교차로 설계기준 검토 및 재정립 ... 222 1. 교통운영(비신호·신호) 기준 재정립 방안 마련 ... 222 1.1 교차로 운영효과 평가 방법 및 절차 ... 222 1.2 시뮬레이션 분석 환경 구축 ... 226 1.3 시뮬레이션 분석자료 정산 ... 228 1.4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 234 2. 보조차로(좌회전·우회전 전용차로) 운영 기준 방안 마련 ... 304 2.1 보조차로 설치 기준 재정립 ... 304 2.2 보조차로 길이 기준 재정립 ... 320 3. 교통 및 보조차로 운영 기준안 마련 ... 341 3.1 교통운영(비신호·신호) 기준 개정안 ... 341 3.2 보조차로 설치/길이 기준 개정안 ... 350제6장 입체교차로 설계기준 검토 및 재정립 ... 362 1. 입체교차로 전환기준 방안 마련 ... 362 1.1 입체교차로 전환기준 재정립을 위한 시뮬레이션 분석 환경 구축 ... 363 1.2 입체교차로 전환기준 교통량 평가 ... 368 1.3 소결 ... 421 2. 입체교차로 전환기준안 정립 ... 423 2.1 도시부의 입체교차로 전환기준안 제시 ... 423 2.2 지방부의 입체교차로 전환기준안 제시 ... 423제7장 회전교차로 설계기준 검토 및 재정립 ... 426 1. 회전교차로 회전부 설계제원 검토 및 재정립 ... 426 1.1 설계기준자동차 ... 428 1.2 소형 회전교차로 ... 430 1.3 1차로형 회전교차로 ... 438 1.4 2차로형 회전교차로 ... 441 2. 회전교차로 전환기준 검토 및 재정립 ... 445 2.1 교차로 유형별 전환기준 ... 445 2.2 보행량을 고려한 회전교차로 계획기준 개발 ... 451 3. 회전교차로 활성화 방안 개발 ... 488 3.1 간선도로 연계방안 ... 488 3.2 보호구역 인접 교차로에서의 회전교차로 적용방안 ... 492 3.3 연속적인 교차로에서의 회전교차로 적용방안 ... 495 3.4 특수형 회전교차로 사례 검토 ... 498 5.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개정안 마련 ... 504 5.1 회전교차로의 회전부 설계기준 ... 504 5.2 회전교차로 전환기준 ... 510 5.3 기타 ... 514 6. 평면·입체·회전교차로 통합 전환기준안 정립 ... 515제8장 회전교차로 용량분석 및 서비스수준 평가방법 재정립 ... 518 1. 회전교차로 용량분석 및 서비스수준 평가 방법론 ... 518 1.1 국내 회전교차로 용량분석방법론 및 서비스수준 평가 검토 ... 518 2. 국외 회전교차로 용량분석방법론 및 서비스수준 평가 검토 ... 522 2.1 HCM Method(Highway Capacity Manual Method, 2010) ... 522 2.2 미국 NCHRP 672 검토 ... 525 2.3 영국의 방법론 검토(Kimber,1997) ... 527 2.4 독일의 산정방법론 검토 ... 528 2.5 FHWA 2000 검토(Robinson et al., 2000) ... 531 2.6 스위스 산정방법론 검토 ... 533 2.7 프랑스 산정 방법론 검토 ... 535 2.8 호주 산정방법론 검토(AustRoad, 1993) ... 537 2.9 소결 ... 539 3. 회전교차로 기하구조에 따른 진입용량 영향분석 ... 540 3.1 국외 회전교차로 기하구조 영향 분석 연구 검토 ... 540 3.2 현 회전교차로 서비스수준분석 방법론과 기하구조영향 관계 분석 ... 545 3.3 소결 ... 557 4. 도로용량편람 회전교차로편 주요 파라메터 적정성 검토 ... 558 4.1 국내 회전교차로 주요 파라메터값 검토 ... 558 4.2 국외 회전교차로 주요 파라메터 값 검토 ... 559 4.3 현장조사를 통한 임계간격 및 추종시간 산정 ... 562 4.4 소결 ... 570제9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 572 1. 결론 ... 572 1.1 평면교차로 편 ... 572 1.2 입체교차로 편 ... 573 1.3 회전교차로 편 ... 574 2. 향후 연구과제 ... 575 2.1 평면교차로 편 ... 575 2.2 입체교차로 편 ... 575 2.3 회전교차로 편 ... 575참고문헌 ... 578부록 ... 588끝페이지 ... 608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