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주관연구기관 | 강원대학교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연구책임자 | 차두송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7-07 |
과제시작연도 | 2016 |
주관부처 | 산림청 Korea Forest Service |
연구관리전문기관 | 산림청 Forest Service, Institute of forestry |
등록번호 | TRKO201800000057 |
과제고유번호 | 1405002865 |
사업명 | 임업기술연구개발 |
DB 구축일자 | 2018-02-17 |
키워드 | 생물권보전지역.산림보호지역.산림생물자원.인문자원.산림복원.MAB.Forest reserve area.Forest bioresources.Humanity resources.Forest restoration.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00057 |
GIS와 RS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DMZ일원 산림훼손지의 실태 파악 및 복원대책 수립을 하고자 하였으며, DMZ일원 민북지역의 산림 복원 대상지 조사 및 결과분석을 통하여 산림훼손지의 유형과 요인을 구분하고 산림복원 및 기본설계방안 마련을 위한 DB구축을 하였음. 산림훼손지의 유형구분에 따른 복원방법 제시 및 설계내역서 작성을 통하여 유형에 복원방법을 제시하고 정량적 비용 산출을 통하여 산림복원 대책을 위한 구체적 계획이 가능하도록 하였음.
우리나라 DMZ 접경지역의 산림자원의 경우, 흉고직경 6cm이상의 수종을 대상으로 조
GIS와 RS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DMZ일원 산림훼손지의 실태 파악 및 복원대책 수립을 하고자 하였으며, DMZ일원 민북지역의 산림 복원 대상지 조사 및 결과분석을 통하여 산림훼손지의 유형과 요인을 구분하고 산림복원 및 기본설계방안 마련을 위한 DB구축을 하였음. 산림훼손지의 유형구분에 따른 복원방법 제시 및 설계내역서 작성을 통하여 유형에 복원방법을 제시하고 정량적 비용 산출을 통하여 산림복원 대책을 위한 구체적 계획이 가능하도록 하였음.
우리나라 DMZ 접경지역의 산림자원의 경우, 흉고직경 6cm이상의 수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총 72개 수종이 출현하였으며, 가장 많은 수종이 출현한 지역은 양구군으로서 40개 수종이 출현하였으며, 고성·철원군 38개, 인제군 33개 순으로 나타났음.
DMZ 일원에 분포하는 자원식물의 종류조성은 110과 375속 601종 4아종 78변종 12품종으로 총 695종류로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4,971종(국립수목원, 2010)의 14.0%로 나타났음. 곤충자원의 경우 멸종위기종 1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06종, 고유종 15종, 기후변화지표종 5종을 포함하여 전체 15목 150과 937종의 곤충자원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DMZ 접경지역 내 인문자원은 산림휴양자원 98개소, 산림문화자원 119개소, 관광자원 200개소이며 이에 따른 주민소득증대방안과 관리방안을 제시하였음.
(출처: 보고서 요약서 6p)
Purpose & Contents
○ Establishing forest restoration measures on devastated area in the DMZ
- DB construction and devastated area classification through field survey
- Classification of existing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orest restoration measures and development of new technical measur
Purpose & Contents
○ Establishing forest restoration measures on devastated area in the DMZ
- DB construction and devastated area classification through field survey
- Classification of existing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orest restoration measures and development of new technical measures
- Monitoring forest restoration measures by devastated area type
- Investigating working process from field survey by classified devastated area and drawing documentation
○ DB construction and mapping of forest bioresources in the DMZ
- Investigating forest bioresources by field survey
- DB construction and mapping of forest bioresources by region
- Quantifying forest resources and constructing forest resources statistic
○ Establishing strategy of conservation, utilization and management for forest protection area in the DMZ
- Constructing humanity resources DB and forest management plan
- Suggesting development directions to increase citizens’ income by resources utilization
(출처: Summary 8p)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Copyright KISTI. All Rights Reserv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