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약기업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아세안 국가 의약품 관련 특허제도 연구
A Study on Pharmaceutical Patent System in ASEAN for Competitiveness in Export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연구책임자 김대중
참여연구자 이수형 , 김진호 , 안수인 , 최상은 , 최재식 , 이병엽 , 장수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07
과제시작연도 2017
주관부처 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등록번호 TRKO201800035780
과제고유번호 1475010328
사업명 의약품등안전관리
DB 구축일자 2018-07-28
키워드 아세안 국가 의약품 시장.특허 요건.허가특허연계제도.특허심사과정.중재제도.ASEAN pharmaceutical market.patent requirement.patent approval linkage.patent review process.Dispute reolution system.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35780

초록

최근 아세안 국가 중 상당수는 WTO, TRIPS협정과 특허관련 조약에 가입함으로써 지식재산권 보호와 관련한 정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제약기업의 아세안 국가 현지 진출이 활발해 짐에 따라 현지에서 지적재산권 관련 분쟁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특허 관련 정책과 제도 등 현황분석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1장에서 제약기업(제약협회 가입회원) 대상(63개기업 응답, 응답율 33.7%)으로 아세안 국가진출경험, 아세안 국가 대상 의약품 출원경험, 아세안 국가 대상 의약품 특허관련 필요 정보, 정

Abstract

Recently many ASEAN countries affiliated to WTO and TRIPS convention to protect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urthermore Korean pharmaceutical companies have expanded their business in ASEAN countries and lawsuits on IPR are expected to increase in future. This initiated the investigation on th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용역연구개발과제 최종보고서 ... 3
  • 제출문 ... 5
  • 목차 ... 6
  • Ⅰ. 총괄 연구개발과제 요약문 ... 11
  • 국문 요약문 ... 11
  • Summary ... 13
  • Ⅱ. 총괄 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15
  • 제1장 국내 제약업체의 의약품 특허 정보 니즈 분석 ... 15
  • 제1절 설문조사 개요 ... 15
  • 제2절 설문조사 결과 분석 ... 16
  • 제2장 아세안 주요 국가의 의약품 시장 현황 ... 31
  • 제1절 의약품 시장규모, 생산규모, 공급자 등 분석 ... 31
  • 제2절 아세안 국가 의약품 수출입 무역 현황 ... 44
  • 제3장 의약품 관련 특허요건 및 관련 제도 ... 56
  • 제1절 의약품 특허 등록 요건 ... 56
  • 제2절 동남아 주요국가의 의약품 특허 등록 요건 분석 ... 65
  • 제3절 의약품 특허 존속기간 연장 제도, 자료 독점권,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 관련사항 ... 92
  • 제4절 싱가포르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 ... 101
  • 제5절 국가별 특허 담당기관 및 조직 ... 117
  • 제4장 의약품 특허 취득 절차 ... 126
  • 제1절 인도네시아 ... 126
  • 제2절 태국 ... 140
  • 제3절 싱가포르 ... 153
  • 제4절 필리핀 ... 167
  • 제5절 베트남 ... 179
  • 제5장 국가별 특허심판, 침해·무효 소송 등 사법제도 운영 현황 ... 191
  • 제1절 개요 ... 191
  • 제2절 인도네시아 ... 196
  • 제3절 태국 ... 201
  • 제4절 싱가포르 ... 204
  • 제5절 필리핀 ... 209
  • 제6절 베트남 ... 218
  • 제7절 시사점 ... 227
  • 별첨1. 아세안국가 의약품 특허정보 수요조사 ... 230
  • 별첨2. 발명 및 소특허 출원(PETTY PATENT)의 화학 및 의약 발명의 심사 ... 237
  • 끝페이지 ... 260

표/그림 (11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