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연구책임자 |
정혜경
|
참여연구자 |
김명화
,
김희경
,
서민희
,
박민규
,
임효진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8-12 |
과제시작연도 |
2018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1900002202 |
과제고유번호 |
1105013289 |
사업명 |
한국교육과정평가원(R&D) |
DB 구축일자 |
2019-06-15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02202 |
초록
▼
본 연구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이하 학업성취도 평가)가 빠르게 변화하는 정책방향과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국가수준에서의 지속적인 교육과정 점검 및 질 관리를 위한 기능을 공고히 할 수 있도록 표집자료에 기반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모집단 대표성 제고 및 교육적 의사 결정을 위한 결과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핵심 역량 및 교과 역량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적용에 따라 표집평가전환 이후에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활용을 제고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학업성취도 평
본 연구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이하 학업성취도 평가)가 빠르게 변화하는 정책방향과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국가수준에서의 지속적인 교육과정 점검 및 질 관리를 위한 기능을 공고히 할 수 있도록 표집자료에 기반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모집단 대표성 제고 및 교육적 의사 결정을 위한 결과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핵심 역량 및 교과 역량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적용에 따라 표집평가전환 이후에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활용을 제고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학업성취도 평가의 고유 목적인 학교교육의 질 관리를 강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표집평가를 통해서도 전수평가와 근접한 수준으로 국가수준의 공신력 있는 평가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표집자료의 대표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노력하였다. 둘째, 기존 전수평가 체제에서 강조되었던 학교 간 성취수준 비율 비교를 위한 평가 결과 산출 방식에서 벗어나 표집평가 체제의 특성에 맞도록 학업성취도의 서열화 정보는 축소하면서도 국가 수준, 시・도교육청 수준, 학교 수준, 학생 수준에서 교육적으로 유용한 구체적인 학업성취 특성(강점·취약점)을 산출하여, 교육의 질 관리 및 효율적인 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평가 결과 산출 방법을 모색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학생들의 인지적· 비인지적 측면에서의 균형 있는 교육성과 정보를 제공하고 그 결과를 교육적 진단 및 처방에 활용될 수 있도록 설문지 개선 방안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비인지적 특성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강화할 뿐 아니라, 이를 지표화하여 학업성취도와 함께 설문 결과를 산출·제공하고 추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그림 1]은 본 연구의 배경, 연구 목적,연구 내용, 연구 결과, 기대 효과를 도식화하여 제시한 것이다.
❏ 학업성취도 평가 표집자료 대표성 제고 방안 탐색
학업성취도 평가는 우리나라 중등교육의 질 점검을 위한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국가수준의 지표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대규모 평가로, 표집평가 체제에서도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표집 절차와 분석 방법에서 엄밀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학업성취도 평가가 표집평가로 전환됨에 따라 학업성취도 평가의 표집설계에 기반하여 정교한학생별 가중치 산출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표집설계와 가중치를 고려한 표집오차 산출방안 연구를 통해 모집단 특성에 대한 통계적 추론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표본 자료에서 산출되는 통계 추정치의 대표성을 제고하고 공신력 있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규모 표집평가나 조사 연구에서 적용하고 있는 조사 설계 방식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그 절차를 분석한 결과, 가중치 산정 시 표집설계를 반영한 단계별 가중치 산출, 표집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측치와 가중치 극단값 조정, 표집 이후의 사후보정 등 최종 가중치 산출까지 정교화 과정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업성취도 평가의 가중치 산정을 위해 학업성취도 평가의 2단계 층화 군집 표집설계에 따라 ① 기본 설계 가중치 산정, ② 결측치에 대한 보정, ③ 이상 가중치 절삭, ➃ 사후보정 방법을 적용하여 최종 가중치를 적용한 표집자료가 실제 모집단 분포와 유사하도록 방법 및 절차를 마련하였다. 둘째,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는 표본 자료에 근거한 모집단의 추정치이므로 평가 결과에 대한 해석을 돕기 위해 표집오차를 산출하여 제시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복잡한 표집 설계에 기반한 통계 추정치에 대해 대표적인 표집오차 산출 방법으로는 BRR(Balanced Repeated Replication), 잭나이프 방식, 테일러 선형화 방식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각 방법에 대한 이론과 적용 사례 및 장단점을 검토하고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점검하였다.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세 가지 표집오차 방식을 적용해 본 결과, 세 방식 모두 표집오차 크기에서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RR 방식이 다소 크게 추정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가중치와 표집오차 산출 방식 및 구체적 절차는 향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분석하는 데 적용될 예정이다.
❏ 교과 세부 학습영역 평가 결과 분석 방안 탐색
학업성취도 평가의 표집평가 전환에 따라 기존 전수평가 체제에서의 평가 결과 산출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즉 단위학교 및 시·도의 교육 책무성 점검보다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파악하여 학생의 요구에 맞는 교수‧학습을 실천할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다방면으로 이끌어 내고, 우리나라 교육의 질 관리 및 교육정책 효과 검증을 위하여 실효성 있는 평가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각 교과 내의 어떤 구체적인 세부 학습영역에서의 학업성취에서 강점과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향후 학생의 학습 과정에 도움이 되는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좀 더 유용하고 상세한 교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첫째,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교과 내 세부 학습영역 단위에서 산출하고 제공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 과학교과 검사 문항을 예시로 중학교 3학년 과학과 8개 세부 학습영역을 도출함과 동시에, 과학교과 학업성취도 문항과 세부 학습영역의 연결 관계를 제시하는 Q행렬을 개발하였다. 세부 학습영역을 도출하기 위해서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의 출제 근거인 교육과정상의 성취기준에 기반을 두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 역량 함양 및 역량 평가를 강조하는 점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과학교과에서 도출한 8개 세부 학습영역은 ① 현상에 포함된 과학 원리 설명하기, ② 과학적 원리를 실제 생활에 적용하기, ③ 탐구 문제를 발견하고 가설 설정하기,④ (문제해결을 위한) 탐구 방법을 설계하고 수행하기, 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기,⑥ 모형을 활용하여 현상을 설명하기, ⑦ 탐구 문제에 대한 결론이나 해결 방안 제시하기,⑧ 증거에 기반하여 논증하기(주장을 펼치거나 반론 제시하기)로 구성되었다. 둘째,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과학교과 8개 학습영역에서의 학업성취도를 산출함으로써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교과에서의 세부적인 특성(강약점)을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로 산출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전체적인 과학과 학업성취 특성을 요약하면, ‘현상에 포함된 과학 원리설명하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기’, ‘탐구 문제에 대한 결론이나 해결 방안 제시하기’와 관련된 학습영역에서의 성취를 수월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증거에 기반하여 논증하기’, ‘모형을 활용하여 현상 설명하기’, ‘탐구 방법을 설계하고 수행하기’에서의 성취를 가장 어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개별 학생들에게 한층 구체적인 교육적 피드백을 제공해줄 수 있도록 교과 세부 학습영역 성취도를 포함하는 평가결과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세부 학습영역 성취에서의 강점과 취약점을 제공하는 평가결과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과학교과 8개 세부 학습영역에서의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2수준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과학과 8개 세부 학습영역은 공통적으로 학생 수준 변인인 ‘수업 중 토론, 모둠활동, 실험‧실습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정도’와학교수준 변인인 ‘지역 규모(대도시/중소도시/읍면지역)’, ‘학생들에게 과학탐구 동아리 활동기회 제공 여부’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대도시‧중소도시에 비해 읍면지역에서 크게 취약점으로 나타나는 세부 학습영역에서의 성취도 향상을 위해 읍면지역의 어떠한 교육적 여건을 개선시켜야 하는지를 탐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학생의 수업 참여도, 특히 수업 중 학생의 토론, 모둠활동, 실험‧실습 등에서의 자발적‧적극적 참여를 증진시키거나, 학교에서 학생들의 과학 탐구 동아리 활동을 적극 지원하는 방안이 과학과의 모든 세부 학습영역에서의 성취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과학교과를 중점으로 수행한 세부 학습 영역 도출 및 분석 절차 등은 향후 학업성취도 평가의 모든 교과에 확대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학업성취도 평가 설문지 개선 방안 탐색
본 연구에서의 학업성취도 평가 설문지 개선 방안은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 및 교육 환경과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을 반영하여 학업성취도 평가의 설문 조사 도구를 개선함으로써 향후 설문자료를 학업성취도 결과와 연계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질 점검 기능을 공고히 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표집평가 전환이라는 외부적인 요인을 고려할 때 학업성취도 평가 시행 측면에서 그동안 전수용과 표집용으로 구분하여 사용되던 설문조사 도구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학업성취도 평가의 현황을 분석하고, 최근에 국내외의 학업성취도 평가 설문지 관련 동향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을 분석하여 학업성취도 평가 설문지 개선 방향을 크게 비인지적 영역 강화, 교육맥락변인의 정교화, 설문 결과 분석 및 해석의 정교화 세 가지로 수립하고, 2018년에는 우선적으로 비인지적 특성 구인 추가 개발, 설문지 틀 개선, 교과기반 정의적 영역 지표 개발을 수행하였다. 또한 학업성취도 평가개선 방향에 따라 단·중기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로드맵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 연구를 분석을 통해 그 필요성이 인정되고 있으나 현재 학업성취도 평가 설문지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구인인 끈기, 회복탄력성, 협력적 태도를 추가적인 구인으로 설정하고 문항을 개발하였다. 또한 현재 설문지에 포함되어 있으나 학업성취도와 관련성이 낮고, 다른 구인과 문항이 중복되거나 문항이 구인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여 개선이 필요한 학교적응, 학교풍토, 행동통제를 학교적응, 학교풍토, 행동전략으로 수정하여 문항을 개발하고 수정·보완을 거쳐 예비 시행을 수행하였다. 예비시행 결과를 바탕으로 구인들의 양호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형적합도 지수는 모두 양호하였다. 학생들의 교과기반 정의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설문지 결과 분석 및 해석의 안정화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박인용 외(2016)가 수행한 수학과 정의적 특성 지표 개발연구를 확장하여 서민희 외(2018)가 개발한 국어, 영어, 사회, 과학 교과기반 정의적 특성문항을 활용하여 지표를 추가로 개발하였다. 일반 대중의 이해도를 고려하여 고전검사이론을적용한 것과 분석 및 해석의 엄밀성과 추이 분석을 위하여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척도와 지표를 개발하였다. 이 지표의 양호도 검증 및 타당화를 위하여 2018 학업성취도 평가 설문 중 교과기반 정의적 특성 응답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형적합도는 양호하였다. 또한 지표로 활용하여 2018년 교과기반 정의적 특성을 교과 간, 학교급별 실태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향후 분석 자료가 축적되면 연도 간 추이 분석 결과도 제시할 것이다. 이처럼 준거에 기반한 정의적 특성의 지표화를 통해 학생의 학업성취뿐만 아니라 정의적 특성에 대해서도 연도 간 변화 추이를 파악하여 교과 교육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 제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크게 네 가지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표집설계 정비 및 시행의 안정성 제고를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추진 전략으로는 원활한 시행을 유도하고 평가의 성실도를 높이기 위해 교육부와 시・도의 협조 체제 강화,학생들의 설문 응답 부담 경감을 위한 방안 마련, 매트릭스 샘플링 적용을 위한 표집설계개선 및 측정오차 반영 방안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학업성취도 결과 산출 및 제공서비스 강화를 제언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추진 전략으로 타당한 결과 산출을 위한 교과별 평가 틀 수립, 학생용·교사용·학교용, 그리고 시・도별로 차별적인 평가결과표 제공방안 마련, 교과별 세부 학습영역 성취와 교육맥락변인 연계 분석을 통한 교육적 진단—처방 방안 마련을 제시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비인지적 영역 강화를 통한 균형 있는 교육성과 유도를 정책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추진 전략으로는 설문 결과 분석 및 보고 시스템 구축, 설문지 지표 활용을 통한 비인지적 특성의 연도 간 추이 결과 산출 및 모니터링, 설문조사 심층분석 및 중장기 정책 효과 분석을 통한 증거 기반 교육정책 수립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정책제언을 통해 학생용, 교사용, 학교용, 시・도별로 차별적인 평가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적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각각의 특성과 현실에 적합한 교육을 실천할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인지적 측면에 대한 상세 정보(강점·취약점)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 평가 설문지의 비인지적 영역을 강화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을 반영하고, 인지적 성취에 지나치게 집중되었던 교육성과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활용도 제고를 위하여 평가 결과 산출 방법의 획기적인 변화와 다양한 설문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변화와 개선안은 컴퓨터 기반 평가로 전환될 경우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이 도입된다면 세부 학습영역별 결과와 비인지적 특성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고 다양한 유형의 문항 사용이 가능한 환경이 조성된다는 점에서 타당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평가 시행 및 결과 활용도 제고를 위한 핵심 전략으로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 도입을 네 번째 정책제언으로 제안하였다. [그림 2]는 연구 내용과 결과에서 도출된 정책제언을 도식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보다 정확하고 상세하며 유용한 교육적 정보 산출 방안 마련을 통해 학업성취도 평가 본연의 목적인 국가수준에서의 학교교육의 질 점검을 위한 실효성 있는 자료 제공이라는 취지를 더욱더 공고히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출처 : 연구요약 7p)
Abstract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mprov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based on sample data from the population and the utiliz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so that the NAEA reflects changing educational policies, the demand of the times, a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mprov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based on sample data from the population and the utiliz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so that the NAEA reflects changing educational policies, the demand of the times, and functions for checking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and maintaining the education quality.
For this, firstly, a systematic sampling design was designed so that the sample data could represent the population, and a methodological tool was considered by using a weighting method, and then a statistical method was also applied to produce a proper standard error in order to predict characteristics about the population.
Second, by applying a cognitive diagnosis model, academic achievement characteristics of sub-content sections of each subject were examined, and by piloting with the subject of science referring to key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way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analysis result of the NAEA was explored in order to extract sub-content sections of each subject.
Third, an improvement plan of the questionnaire of the NAEA was prepared to analyze and monitor students' affective features of each subject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current trend where non-cognitive domains are emphasized reflecting changes in the domestic and foreign policy and environment. The detail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Exploring ways to improve the representativeness of NAEA sample data
As the NAEA was converted into the sampling test, a method of calculating the weight based on the sampling design of the NAEA was prepared, and by studying on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standard error of the statistical estimated values considering the sampling design and the sampling weight,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data sampling from the population was improved. In addi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for statistical reasoning about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it was attempted to produce more reliable results of the NAEA.
In order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NAEA, the method and procedure to make the final weighted data samples correspond to the actual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were prepared by applying ① the weight calculation in the basic design, ② adjustment of non-response data ③ the outlier weight trimming, and ➃ the post-stratification according to the two-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design of the NAEA. Second,since the results of the NAEA were estimates, a method for producing standard error was examined to provide precision information for statistical reasoning and decision-making.
There are the BRR, Jackknife, and Taylor linearization methods as representative standard error calculation methods for studies with complex sampling designs such as NAEA. In this study, theoretical and application cases of these methods were examined,and the merits and demerits of each method were compared. In addition, the feasibility for applying these methods to the NAEA was investigated.
❏ Exploring the analysis method of yielding assessment results of sub-content sections of each subject
As the NAEA has changed into the sampling-based system in 2017, it is necessary to escape from emphasizing the function of monitoring the educational accountability of the individual school, city, and provinc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more useful and detailed educational information by providing analytic assessment results in which sub-content areas of each subject the students' efforts are necessary in order to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first, the way to re-analyze the results of the NAEA according to the sub-content areas of each subject was explored, and piloting with the science test items of the 2017 NAEA was conducted by extracting sub-content areas from science data of thir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and at the same time developing a Q matrix indic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 test items based on its achievementstandards and the sub-content areas of science as an example.
Second, by measur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8 sub-content areas in science of thir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using the cognitive diagnostic model, students’ detailed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weaknesses) were analyzed.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EA, the way to improve student report card by including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sub-content areas of each subject was suggested to provide individual students with more specific educational feedback.
Fourth,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variables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8 sub-content areas of science, the 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showed th weaknesse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in rural areas in comparison with large cities and small cities. In addition to promoting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participation, especially discussion, group activities, experimentation and practice, the idea that schools actively support students'scientific exploration club would be effective for 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 in all the sub-content areas of science.
❏ Exploring ways for improving the questionnaire of the NAEA
Changing into the sampling-based NAEA as an external factor, it was necessary to revise the existing questionnaire instruments for the sampling-based assessment. For this, in order to improve the questionnaire of the 2018 NAEA, the present status of the NAEA was examined, and the trend of the academic achievement survey questionnaires and the basic direc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Most of all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non-cognitive trait constructs as well as subject-based affective indicator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NAEA, the short to mid term improvement plan was suggested, and a roadmap for the follow-up study was also suggested. First, new items were developed by adding the constructs of ‘persistence,’ ‘resilience,’ and ‘collaborative attitude’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questionnaire of the NAEA but are already considered important constructs in domestic and foreign previous relevant studies. A pilot test was conducted by revising ‘adaptation to school,’ ‘school climate’ to improve, and explorator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constructs. In addition, in order to systematically monitor students' affective features, the need for stabilizing the method of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was emphasized.
(출처 : ABSTRACT 277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협력진 ... 3
- 머리말 ... 5
- 연구요약 ... 7
- 목차 ... 15
- 표목차 ... 19
- 그림목차 ... 23
- Ⅰ 서론 ... 25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7
- 2. 연구 내용 ... 30
- 3. 연구 방법 ... 32
- Ⅱ 학업성취도 평가 표집자료 대표성 제고 방안 탐색 ... 37
- 1. 연구의 필요성 ... 39
- 2. 표집설계 개요 ... 41
- 가. 모집단 ... 41
- 나. 표집설계 및 절차 ... 42
- 다. 개선점 ... 44
- 3. 표집가중치 산정 방안 모색 ... 45
- 가. 표집가중치 이론 및 적용 사례 검토 ... 45
- 나. 학업성취도 평가 표집설계와 연계한 가중치 산출 방안 도출 ... 56
- 4. 표집오차 산출 방안 모색 ... 61
- 가. 표집오차 산정 방법 이론 및 사례 검토 ... 62
- 나. 학업성취도 평가 표집설계와 연계한 표집오차 산출 방안 도출 ... 67
- 5. 실증 자료 분석 ... 68
- 가. 분석자료 및 방법 ... 68
- 나. 표집가중치 적용 결과 ... 70
- 다. 표집오차 적용 결과 ... 79
- 6. 요약 및 시사점 ... 83
- Ⅲ 교과 세부 학습영역 평가 결과 분석 방안 탐색 ... 85
- 1. 교과 세부 학습영역 도출 방안 ... 87
- 가. 교과 세부 학습영역 도출의 필요성 ... 87
- 나. 국내외 교과 세부 학습영역에 대한 평가 결과 산출 및 제공 사례 ... 89
- 다. 인지진단모형 적용을 위한 과학과 세부 학습영역 도출 방안 ... 95
- 2. 교과 세부 학습영역 평가 결과 분석 방안 적용 ... 109
- 가. 인지진단모형 적용 방법 ... 109
- 나. 인지진단모형 분석 결과 ... 115
- 다. 교과 세부 학습영역 평가 결과에 대한 학생용 평가결과표 제공 방안 ... 139
- 3. 교과 세부 학습영역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144
- 가. 분석방법 ... 144
- 나. 모형 설정 ... 147
- 다. 분석 결과 ... 148
- 4. 요약 및 시사점 ... 157
- Ⅳ 학업성취도 평가 설문지 개선 방안 탐색 ... 161
- 1. 학업성취도 평가 설문지 개선 방안 ... 163
- 가. 학업성취도 평가 설문지 현황 ... 163
- 나. 국내외 학업성취도 평가 관련 설문지 최근 동향 ... 172
- 다. 학업성취도 평가 설문지 개선 방향 ... 182
- 2. 비인지적 영역 강화를 위한 구인 개발 ... 187
- 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새로운 구인 개발의 필요성 ... 187
- 나. 구인의 양호도 검증을 위한 사전 검사 개발 ... 193
- 다. 양호도 검증 ... 195
- 3. 분석 및 해석의 안정화를 위한 교과기반 정의적 특성 지표 개발 ... 202
- 가. 교과기반 정의적 특성 지표 개발을 위한 양호도 검증 ... 203
- 나. 정의적 특성 지표 개발 ... 206
- 다. 준거에 따른 정의적 특성 실태 ... 214
- 4. 요약 및 시사점 ... 222
- Ⅴ 연구요약 및 제언 ... 225
- 1. 연구요약 ... 227
- 가. 표집자료 대표성 제고 방안 탐색 ... 228
- 나. 교과 세부 학습영역 평가 결과 분석 방안 탐색 ... 230
- 다. 학업성취도 평가 설문지 개선 방안 탐색 ... 233
- 2. 정책제언 ... 236
- 정책제언 1 표집 설계 및 시행 안정성 제고 ... 238
- 정책제언 2 결과 산출 및 제공 서비스 강화 ... 242
- 정책제언 3 비인지적 영역 강화를 통한 균형 있는 교육성과 유도 ... 251
- 정책제언 4 컴퓨터 기반 평가 체제 도입 방안 연구 ... 258
- 참 고 문 헌 ... 263
- Abstract ... 277
- 부 록 ... 281
- [부록 1-1] 국내 종단연구 표집설계 사례 ... 283
- [부록 1-2] 2016년 학업성취도 평가 고등학교 표집자료 분석 결과 ... 286
- [부록 2] 연도별 설문구성 ... 292
- [부록 3] 2017년 학생설문지 변수별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중학교) ... 299
- [부록 4] 학교급별, 교과별 정의적 특성 문항 특성 및 신뢰도 ... 301
- [부록 5] 교과기반 정의적 특성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 307
- [부록 6] 교과기반 정의적 특성 지표 개발(흥미, 가치, 학습의욕) ... 315
- 끝페이지 ... 32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