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연구책임자 |
김경희
|
참여연구자 |
김완수
,
최인봉
,
김광규
,
박준홍
,
도승이
,
김선희
,
김지영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8-12 |
과제시작연도 |
2018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1900002207 |
과제고유번호 |
1105013335 |
사업명 |
한국교육과정평가원(R&D) |
DB 구축일자 |
2019-06-15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02207 |
초록
▼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성과를 12년 동안 장기적으로 추적・조사하는 종단연구의 기초연구 2년차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1차 연도 연구에 이어 종단 패널조사 설계를 확정하였고, 웹 기반 기술공학적 기능을 적용하여 학생의 국어, 수학, 문제해결역량, 사회・정서적 역량을 측정하는 학생검사 및 배경변인 조사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예비검사를 시행하여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인지, 사회, 정서적인 측면에서 학생 성장을 추적할 수 있는 도구로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올해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초・중등 학교교육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성과를 12년 동안 장기적으로 추적・조사하는 종단연구의 기초연구 2년차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1차 연도 연구에 이어 종단 패널조사 설계를 확정하였고, 웹 기반 기술공학적 기능을 적용하여 학생의 국어, 수학, 문제해결역량, 사회・정서적 역량을 측정하는 학생검사 및 배경변인 조사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예비검사를 시행하여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인지, 사회, 정서적인 측면에서 학생 성장을 추적할 수 있는 도구로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올해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초・중등 학교교육 성과 종단연구 모형과 조사 설계
본 연구에서는 1차 연도 연구에서 제안했던 종단연구 모형 안을 교육이 이루어지는 제 단계와 실행되는 수준에 따라 구조화하여 학교교육 성과 종단연구 모형으로 확정하였다. 또한 역시 1차년도에 개발하여 검토했던 종단조사 설계 방안을 점검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착수시기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중다 패널의 학교급별로 2년의 간격을 두고 시행하는 한국 초・중등 학교교육성과 종단연구의 종단조사 설계를 확정하였다. 그리고 종단조사 설계안에 대한 전문가 협의회,델파이 조사를 통해 학교급별 성과 단기 패널조사 설계, 학업성취도 장기 추적 평가, 학업성취도 장기 추적 평가와 패널조사의 병행, 중3 학업성취도 표본에 대한 패널조사 설계 등 4개의 조사설계 대안을 발굴하였다. 또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이 4개 대안들 중 후속하는 연구에서 추진할수 있는 조사 설계 대안으로 학교급별 성과 단기 패널조사 설계와 중3 학업성취도 표본에 대한 패널조사 2가지를 선택하였다. 이러한 검토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종단조사 설계나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조사 설계 대안의 장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설계를 기반으로 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학교교육 성과 모형과 종단조사 설계 방안을 포함한 본 연구의 산출물이 시도 단위의 교육종단연구 등에서 활용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 웹 기반 학생검사와 배경변인 조사 도구 개발 및 구성
본 연구에서는 1차 연도 연구에서 개발했던 국어, 수학, 문제해결역량 학생검사의 평가틀을 웹 기반 검사를 구현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하였으며, 이를 통해 1차 연도에 개발했던 지필식문항을 웹 기반 문항으로 일부 전환하였고 새로 웹 기반 기술공학적 기능을 적용한 학생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사회・정서적 역량은 1차 연도 개발 문항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이들 문항을 보완하거나 새롭게 개발하였고, 시나리오는 웹 기반 학생검사로의 전환에 따라 문자 정보 기반에서 그래픽이나 그림 기반으로 매체 양식을 전환하여 웹 형태로 구현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충실한 이행, 실질적인 교과 역량의 평가 가능성 제고, 실질적인 교과 연계 문항 제작 가능성 제고,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성 제고, 학습자의 평가 부담감 감소라는 웹 기반 검사의 효용과 웹 기반 시스템의 고도화 및 행정적・재정적 지원 필요라는 웹 기반 검사정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델파이 조사와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배경변인 조사도구를 확정하고 웹 기반 배경변인 조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배경변인 조사도구는 학교 수준에서 학교장 설문, 학급 수준에서 교사 설문, 학생 및 가정 배경 수준에서 학생 설문과 학부모 설문 조사도구로 구성하였다.
❏ 웹 기반 종단조사 시스템 개발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종단조사 시스템을 통해 배경변인 조사뿐만 아니라 학생검사 시행 관련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학생검사와 채점을 온라인으로 수행하도록 확장하였다. 웹 기반 종단조사 시스템은 학생, 교사와 같은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현한 포털과 관리자 권한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는 관리도구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별도의 웹사이트로 설계하였다. 포털은 종단연구 개요 등 종단연구에 대한 안내와 학생 및 학부모 등이 접속하여 종단조사를 웹에서 시행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관리도구 시스템에서는 패널 관리, 학교 관리, 통계관리, 사용자 관리, 관리자 관리, 패널조사 관리, 채점 관리, 채점 시행, 학교 시행 관리를 수행하도록 설계하였다. 이후 설계에 따라 패널 관리 시스템에 학생검사 시행을 위한 감독관, 채점자 및 채점 관리자 권한을 추가하고 패널 관리 기능을 고도화 하였다. 조사도구 개발・관리 시스템은 학생검사 도구 관리를 위한 기능을 추가하였으며, 온라인 조사 시스템은 학생검사 도구를 시행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결과 처리 시스템은 배경변인 조사 결과 처리를 위한 기능을 구현하였으며,학생검사 채점과 평가 결과 산출을 위한 기능을 구현하였다. 데이터 저장・관리 시스템은 배경변인조사 관련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고도화하고 학생검사 관련 자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관련 기능을 추가하였다.
❏ 웹 기반 종단조사 예비 시행
본 연구에서는 1차 연도에서 시행하였던 인지실험의 규모를 늘려 1, 2차에 걸쳐 예비검사를 시행하였다. 1차 예비검사를 2018.10.15.∼19일에, 2차 예비검사는 2018.11.19.∼ 23일에 시행하였고, 1, 2차 예비검사 시행을 위해 시행 계획을 수립하고 학교로부터 받은 학교 정보를 토대로 시행 매뉴얼을 제작하여 각 학교에 송부하였다. 시행 당일에는 연구진이 검사 시행 학교를 방문하여 시행의 전 과정을 모니터링 하였다. 학교에서도 시행 매뉴얼에 따라 검사를 실시하며 시행의 전과정을 모니터링 하여 설문 조사지를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하였다. 시행 완료 후 모니터링 결과,검사 준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 초등학교 4, 5학년은 4교시 연속 검사를 경험해 본 적이 없어 4교시 연속 검사를 진행할 경우 학생들이 다소 힘들어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것, 초등학생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용어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 2차 검사 시행 전 시스템 측면의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는 것 등을 확인하였다. 2차 예비검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시행되었다. 두 차례에 걸친 시행을 통해 웹 기반 검사에 대한 학생들의 긍정적 의견과 학교 현장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검사에서 웹 기반검사로의 전환 방안에 대한 정책적인 결정과 학교교육에서 컴퓨터 활용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1, 2차 시행 완료 후 채점은 각 영역별로 채점자 1명이 학생 1명의 전체 답안을 채점하고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채점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채점자 연수를 실시하였고 서답형 문항의 온라인 채점이 완료되면 각 영역에 대한 검사결과 데이터를 추출하여 정해진 절차에 따라 데이터 클리닝 과정을 거쳐 최종 분석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종단연구 체제 안정화를 위해 시도 단위 종단조사의 체계화 및 국가 지원의 제도화, 대규모 성취도 평가와 패널조사의 연계를 통한 증거 기반의 교육 실천 유도, 한국 초·중등 학교교육 성과 종단연구 실행을 통한 교육종단연구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둘째, 초·중·고등학생의 역량 강화를 위해 교과 역량 평가의 착근성 제고를 위한 역량평가 문항 개발 및 보급과 기초연구 활성화, 학생의 문제해결역량 강화 및 문제해결역량 평가지원, 사회·정서적 역량 연구와 조사 강화를 통한 학생의 사회·정서적 역량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혁신적 평가 체제 착근성 제고를 목적으로 실행 가능한 계획을 통해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혁신적인 평가체제 도입을 조속하게 추진하고 학생의 평가 부담감 감소 및 친숙성 제고를 위해 사회·문화적 차원에서의 교육 지원 강화, 혁신적인 평가체제 정착을 위한 교육정보화 기반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출처 : 연구요약 7p)
Abstract
▼
This is the second-year study of the longitudinal study of the long-term follow-up survey of the achievement of school education for 12 years. In this study, the design of the longitudinal panel survey was confirmed following the first-year study, and the survey system for the test that measures stu
This is the second-year study of the longitudinal study of the long-term follow-up survey of the achievement of school education for 12 years. In this study, the design of the longitudinal panel survey was confirmed following the first-year study, and the survey system for the test that measures students' Korean language, mathematic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and for the background information was established by applying web-based technical engineering function. and the survey system was completed as a tool to track student growth in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aspects by conducting pilot tests to examin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the field. Specifically,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in this year are summarized as follows.
❏ Excavation of Alternatives for Longitudinal Research Models and Research Desig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school education was structured according to the level and the stage at which school education was conducted, thus confirming it as a model of the performance of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it decided to confirm the final longitudinal survey design, which conducts the panel survey at intervals of two years for each school levels, by collecting opinions on the timing of the launch of the survey through Delphi survey, and to quickly implement the survey when budget is secured.
In this study, three alternatives for the longitudinal research design that was planned in the first year study were drawn through Delphi survey and expert council, in terms of short-term panel study for the achievement by school level, long-term follow-up design in connection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specifically, long-term follow-up evaluation of academicachievement in connection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the combination oflong-term follow-up evalu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panel survey), and the designof the panel survey for the sampl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we have defined the method of applying the national level longitudinal survey plan developed in this study at the city and province levels and the role of each institution.
❏ Completion of the Web-based Student Test and Survey Tool for Background Variables
In this study, the test specifications for Korean language, mathematics,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tests developed in the first year of the study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to implement the web-based student tests. Through this process, paper-based test items developed in the first year were partly converted to web-based test items, and the test items applied with new web-based technical features were developed.
The self-report and scenario-base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tem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tems developed in the first year. The scenario was implemented in a Web-based form by switching media forms from text-based to graphic or pictorial based on the transition to web-based student tests.
In addition, through Delphi survey and committee meetings, the research tools for the background variables were finalized, and the survey system for the web-based background variables was established.
❏ Building a Web-Based Longitudinal Survey System
In this study, a prototype for a web-based longitudinal survey system was developed. The web-based longitudinal survey system consisted of six subsystems: panel management, research-tool development and management, online research, result handling, research support, data storage and management.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enhancement for each subsystem were comple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dminister student tests and perform grading online, collect data in one place, analyze and produce results. In addition, the requirements for government, local, schools and teachers were proposed when administering student tests and conducting background survey with a web-based system after collecting experts’ opinions.
❏ Pilot Test for Web-Based Longitudinal Survey
In this study, the first pilot test was administered from 10.15. to 10.19 in 2018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cognitive competency test that were conducted in the first year. The Web-based student test tool was developed with two types of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Type A and Type B, but only Type A was administered because the primary purpose of the first pilot test was to identify problems in web-based system operation and web-based survey implementation. The second pilot test will be carried out in November (2018.11.19. to 23) after correcting and compensating problems found in the first pilot test. The student response data for the test items should be sufficiently collected in the first and second pilot tests.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is study suggested political implications to establish a new type of evaluation system and to expand it's application regarding systematicization of the longitudinal study at the city and province levels, institutionalization of the national support system, induction of evidence-based education practice through linkage between large scale achievement test and panel survey,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he competency test item bank and activation of basic research for implementation of the subject competency tests, support for strengthening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development of problem solving tests, enhancement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of students through strengthening research on social emotional ability and survey, implementing student competency tests through introduction and activation of web-based student tests, implementation of a new type of evaluation system in response to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출처 : ABSTRACT 331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협력진 ... 3
- 머리말 ... 5
- 연구요약 ... 7
- 목차 ... 11
- 표목차 ... 13
- 그림목차 ... 16
- Ⅰ 서론 ... 19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1
- 2. 연구 내용 ... 26
- 3. 연구 방법 ... 30
- Ⅱ 학교교육 성과 종단연구 모형과 조사 설계 ... 37
- 1. 학교교육 성과 모형 ... 39
- 2. 종단연구 조사 설계 ... 44
- 3. 시사점 ... 75
- Ⅲ 웹 기반 학생검사와 배경변인 조사 도구 ... 79
- 1. 웹 기반 학생검사 개발 및 구성 ... 81
- 2. 배경변인 조사도구 개발 및 구성 ... 144
- 3. 시사점 ... 176
- Ⅳ 웹 기반 종단조사 시스템 ... 191
- 1. 국외 웹 기반 조사 시스템 사례 ... 193
- 2. 웹 기반 종단조사 시스템 설계 ... 216
- 3. 웹 기반 종단조사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 226
- Ⅴ 웹 기반 종단조사 예비검사 시행 ... 245
- 1. 웹 기반 종단조사 예비검사 시행을 위한 조사도구 구성 ... 247
- 2. 웹 기반 예비검사 시행 ... 249
- 3. 예비검사 데이터 수합 및 채점 ... 270
- 4. 결과 분석 방안 ... 273
- Ⅵ 결론 ... 277
- 1. 요약 ... 279
- 2. 정책 제언 ... 284
- 참 고 문 헌 ... 319
- ABSTRACT ... 331
- 부 록 ... 335
- [부록 1] 사회・정서적 역량 척도의 요인분석 ... 337
- [부록 2] 델파이 조사 내용 및 결과 ... 345
- [부록 3] 웹 기반 학생검사 시행 매뉴얼 ... 407
- 끝페이지 ... 42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