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연구책임자 |
이미숙
|
참여연구자 |
신항수
,
장근주
,
이수정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6-12 |
과제시작연도 |
2016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1900002346 |
과제고유번호 |
1105011800 |
사업명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DB 구축일자 |
2019-06-15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02346 |
초록
▼
본 연구는 재외 한국학교의 특성을 고려한 학교 교육과정 운영 방안 및 정책 개선 방안제시를 통해 재외 동포 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재외 한국학교 교육 과정편성ㆍ운영전반에 대한 현황 및 실태 분석과 교원ㆍ학생ㆍ학부모의 인식과 의견을 조사하였다.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현황분석을위해2015-2016년학교교육계획서분석을실시하였고, 재외한국학교교육 관계자들의 인식과 의견 조사를 위해 2016년 4월 15일 부터 7월 3일까지의 기간 동안 재외 한국학교 교원 전수 대상 설문조
본 연구는 재외 한국학교의 특성을 고려한 학교 교육과정 운영 방안 및 정책 개선 방안제시를 통해 재외 동포 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재외 한국학교 교육 과정편성ㆍ운영전반에 대한 현황 및 실태 분석과 교원ㆍ학생ㆍ학부모의 인식과 의견을 조사하였다.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현황분석을위해2015-2016년학교교육계획서분석을실시하였고, 재외한국학교교육 관계자들의 인식과 의견 조사를 위해 2016년 4월 15일 부터 7월 3일까지의 기간 동안 재외 한국학교 교원 전수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9개교 727명의 의견을 조사 및 분석하였으며,북경 한국 국제학교 등 총 6개 재외 한국학교의 교원 37명과 학생 74명, 학부모 63명을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정책 제언의 적용 가능성 협의 등을 목적으로 총 4차례의 정책 실무 협의회를 개최하였고, 2016년 3월 부터 11월까지 총 12차례의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여 연구수행 과정의 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한 논의를 다각도로 전개하였다. 이러한 과정 및 절차를 통해 수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은 현행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명시된 기준 시수를 큰 폭으로 순증하여 편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어교과시수는 허용된 시수증대 범위와 실제로 편성된시수간에 간극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반면 초등과정의 경우사회/도덕 및 과학/실과시수는기준시수보다 적게 편성된 경우가 많으며 교과군에 해당되는 교과목 중 일부만을 편성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에서 발표한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에 도덕을 반드시 편성해야 하며 일부 교과목을 미편성할 수 없다는 지침이 명시됨에 따라(교육부재외동포 교육담당관, 2015: 5) 2016년에는도덕과 실과를 편성한 학교가 전년도에 비해 증가되었으나, 일부 학교에서는여전히 해당 교과목을 편성하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중학교교육과정편성현황을분석한결과에따르면대부분의 재외 한국학교에서 수학과 시수를 국가 교육과정 기준에 제시된 시수보다 증배하여 편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선택교과목의 경우에는기준시수를 2배이상 순증하여편성ㆍ운영하는경우가 대부분인것으로 파악되었다. 선택교과목의 시수순증이 많은 이유는 소재국의 언어를 지도하는 데 많은 시간을 배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현황은 학교실정과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영어과 선택과목을 다양하게 개설하고 해당 교과시수순증의 폭 또한 크다는 공통점이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향후 교육과정운영 개선을 위해 원어민이 담당하는 교과교육과정운영을 내실화하고 질관리를 강화하는 과제와 TOEFL과 같은 어학 시험을 과목으로 신설한 문제점을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재외 한국학교교원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운영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한국학교교육과정운영현황, 소재국의특성반영현황, ‘재외한국학교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의 적용 실태 및 이에 대한 교원의 인식, 연수 실태 및 요구, 학부모의 의견 반영 정도, 초ㆍ중등학교 졸업생의 진학 현황, 학생 유치 등의 측면에서 경쟁 관계에 있는 학교 현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운영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 대다수의 재외한국학교에서 교육부장관이고 시한국내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운영하면서 소재국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본 소재 학교들 중에는 현지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학교교육과정을 운영하는경우가 많은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대부분의 학교에서수업자체를 영어로 진행하는교과목과소 재국 언어로 수업하는 교과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체개설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소재국의 특성을 적극 반영하고 있는 교과는 해당 국가의 언어와 사회, 영어 등인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 중에서는 동아리활동과자율활동 등에 소재국의특성반영이비교적적극적으로이루어지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지침’은 다수의 지침을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교과시수증배의상한선을 규정한 지침등은 적용이 어려운 지침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6개재외 한국학교 교원과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교교육의 방향 및 학교교육과정편성ㆍ운영의방향,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편성ㆍ운영지침’의적용, 학교 교육과정편성ㆍ운영의 난점 등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글로 벌인 재육성과 한국인의 정체성 함양교육을근간으로하면서영어몰입교육과소재국의언어교육, 현지적응교육등에많은비중을두고있는것으로파악되었다. ‘재외한국학교교육과정편성ㆍ운영지침’의 적용을 위해 한국학교현장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그동안 미편성했던 교과목을 새롭게 편성하는 데 대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또 해당 교과목이 내실있게 운영될 수 있을 것인가를 우려하는 관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외한국학교 교육과정편성ㆍ운영의 난점과 관련하여 예술 및 체육 등의 교과 시수부족이 지적되었고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 필요한 학생의 증가에 따른 지원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학생 면담에서는 사회 교과를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이 도출되었다. 학부모 면담의 경우에는 자녀의 진로교육 및직업 체험활동 강화의 필요성 등이 중요하게 언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향후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 운영이 보다 개선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첫째, 학생들의 진로를 고려한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방안을 모색하고 국내와는 다른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는 재외 한국학교 학생들에게 어려운 교육 내용을 재구성하거나 자체 교재를 개발하여 학습자중심의 교과 교육과정을 운영할 필요가있다. 장기적으로 볼 때 현지 대학진학 및 정착을 통해 해당지역 전문가로 성장하기를 희망하는 학생들이 늘어날 경우, 일부 교과목에 현지교육과정을 적용하여 학교교육과정을 이원화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 할 필요가있다. 또한, 국내와는다른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는 재외 한국학교 학생들에게 한국의 지역 및 고장을중심으로교육 내용이선정되어학생들이 어렵게 여기는사회과의 경우성취기준을 적극적으로재구성하고 학생들의 실생활 세계를 반영한 자체 교재 개발을 통해 학습자중심의 학교 교육과정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야 한다.
둘째, 한국인으로서의정체성교육을보다확장된범위에서효율적으로실천될수있게하고또대부분의재외한국학교교육과정에적은시수가배당되고있는예술교과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를 추구하기 위해 통합적 내용에 기반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고려할 필요가있다. 학생들이직접적으로체험하거나참여하는데초점을둔통합적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재외한국학교학생들이한국인의정체성교육이발전적으로이어질수있게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재외 한국학교에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재외 한국학교에 한국어 교육과정을 도입하여 보다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 및 한국문화교육을실천해야하며, 해당학생들에게 동아리 참가를 권장하거나 멘토링제를 실시하여 또래와 교제할수 있는기회와 정체성 형성에 도움을 줄수있는 활동참여를 보장해 주어야한다. 또한 다양한 국제교류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다른 문화를 가진학생들과 협력 할수있는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제2언어로서의한국어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의 학업과 생활적응지원 및 학부모지원을위해가정통신문이나학교홈페이지 등에 이중어 사용을 권장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 운영 개선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점이 정부 차원에서 추진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첫째, 2016년부터 모든 재외 한국학교에서 적용해야 하는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 중 한국학교 실정에 적합하지 못한 지침은 수정하여 안내해야 한다. 대다수의 재외 한국학교에서 국내 기준에 제시된 학년군별총수업시수를 매우 큰폭으로 순증하여 학교교육 과정을 운영하고있음을주목해야 하며 또 외국의 재외 학교 교육과정 정책에서 외국어 교육이 본국의 학교 교육에 비해 강화되고 있는 동향, 교육 수요자의 필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자율성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재외 한국학교 학생들은 한국인으로 지녀야 할 도덕적 가치와 인성, 역사 등을 도덕 교과목을 통해 학습할 뿐 아니라 한국어 교육 및 다양한교과교육과정운영, 생활교육을 통해 보다 의미있게 학습할수있음을고려하여,민족 정체성 교육을 위해 도덕을 반드시 편성해야 한다는 지침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정체성 교육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공적적용을 위해 재외한국학교 교원의 교육과정 전문성 제고를 위한 지원방안수립 및 예산 배정이 요청된다. 2015 개정교육과정의적용일정이 재외 한국학교의 경우에도 국내와 동일하며 새로운 교육과정이 개정의 취지에 부합되게 정착되려면국가교육과정의 변화방향과 신설교과교육과정의 내용이 해등이 필수적으로 요청됨을 고려하여, 국내교원연수를 위해 개발된 원격연수내용을 재외한국학교교원들에게 적합한 형태의 자료로 전환하여 제공할 것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또2017년도이후 재외한국학교 교원으로 선발되는 교원중역량있는교원을선도교원으로임명하고2015 개정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집중적인 연수를 이수하게함으로써, 향후한국학교현장에 근무하면서 새 교육과정의 적용 지원과 관련하여 선도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셋째, 재외한국 학교현장에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이 점증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한국어 교육과정 관련 교원 연수를 적극 권장하고 한국 문화 이해교육을 위한 콘텐츠개발 및 제공이 추진되어야한다. 또한 재외한국학교교원을 대상으로 다문화 관련 교원연수를강화하고 재외한국학교 학생을 위한 다양한문화교류프로그램의 방안을 마련하여 제공할 필요가있다. 이밖에도 한글학교를 체계적으로 운영하는방안을 고려하고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현지인에게도 개방함으로써 재외한국학교가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알리고 다른 문화를 지닌 사람들과 상호 교류하는 장이 될 수 있도록 그 기능을 확장해 가야 할 것이다.
(출처 : 연구요약 7p)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verseas Korean school curricula to provide a plan for curricular implementation and policy improvement.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verall reality of curricular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overseas Korean schools;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verseas Korean school curricula to provide a plan for curricular implementation and policy improvement.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verall reality of curricular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overseas Korean schools; investigated the attitudes and opinions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nd surveyed a total of 727 teachers from 29 overseas Korean schools. In this vein,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overseas Korean schools' 2015 and 2016 education plans uploaded on the Information Service Education websites. For feasible policy recommendation of the present study, the steering committee for thepolicy recommendation met four times. In addition, from March to November 2016, experts and supporting staff met twelve times to discuss the various outcomes and their implications.
A summary of the results performed through these processe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overseas Korean schools provided more hours of instruction than initially planned. Foremost, English classes had more hours of instruction than was required. On the other hand, the classes in Social Science/Ethics, and Science/Practical Arts had fewer hours than allocated. The ‘Guidelines for curricula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overseas Korean school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indicate that overseas Korean schools must include Ethics classes in their curriculum for their students’ national identity education; however, some overseas schools still failed to offer Ethics classes in their curriculum. In the examination of overseas Korean middle schools, Math classes had more hours of instruction than the national curriculum suggested. It is not uncommon to find excessive hours of English classes and twice the allocated instructional time for elective subjects. Overseas high schools also offer more diverse English and elective classes, reflecting student demands for a wide range of class selections.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based on the following areas: Korean school curricular management, the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orean schools, an implementation of and teachers’ opinions about the ‘Guidelines for curricula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overseas Korean schools’, the current condition of and need for teacher training, a reflection of parents’ demand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graduate students’ attendance records, and schools in competition with overseas Korean schools.
Most of the overseas Korean schools relied o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with a reflection of local tendencies while overseas Japanese schools utilized the Japanese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Korean identity education. Furthermore, most of the overseas Korean schools focused on two classes, both English and local languages, and sought to manage their curricula more autonomously by developing their classes for their needs. The subjects that reflected most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were the local language, Social Science, and English classes.
The present study also interviewed overseas Korean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regarding the schools' educational direction and curricular management, and any difficulties they had in implementing ‘Guidelines for curricula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overseas Korean schools’. As a result, the overseas Korean schools, by focusing on global and Korean citizenship, emphasized English-centered instruction, local-language instruction and adoption into the local climate. The respondents had expressed difficulties in adopting the ‘Guidelines for curricula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overseas Korean schools’ with new curricular offerings. Also, they indicated a lack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 assistance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a difficulty in understanding Social Science subjects, and a need for practical experiences in educational and vocational advancement.
The present study offers the following three recommendations. The first recommendation is to develop their own textbooks and reconstruct any difficult content areas for overseas Korean students who are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than back home. Also, a development of new teaching materials that reflects the students' living conditions, serving as a model for student-oriented education is suggested. The second recommendation is to provide theme-based convergent art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to experience Korean tradition culture and customs to help establish their Korean identity. The third recommendation is, due to the increase of KSL students in overseas Korean schools, to provide more systematic Korean language instruction and programs through introducing KSL curriculum and bilingual use in school news letters and home pages for KSL students and their paretns.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encourage KSL students to participate in various cultural events and associate with other peer groups and provide more diverse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In addition to the above recommendations, the present study offers the following three policy suggestions. First, a revision or an amendment of the ‘Guidelines for curricula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overseas Korean schools’ is recommended. The revision should reflect the facts that most overseas Korean schools offer more curricular hours than those in Korea, put more of an emphasis on English and foreign languages, and express a more autonomous educational management. Moreover, expansion to other subjects besides Ethics for Korean identity education is highly suggested.
Second, this study recommends budgetary support and teacher training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new 2015 revised curriculum. To do so, it is indispensable to appoint qualified teachers among the new overseas Korean teachers who will be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application process of the new curriculum after intensive teacher training.
Third,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KSL students, it is essential to recommend teachers for teacher training in KSL curriculum and develop education content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 addition, reinforcement of teacher training related to multiculture for overseas Korean school teachers, provision of various cultural exchange programs, and operation of systematic Hangul schools are needed.
(출처 : ABSTRACT 227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 협력진 ... 3
- 머리말 ... 5
- 연구요약 ... 7
- 목차 ... 13
- 표목차 ... 15
- 그림목차 ... 18
- I 서 론 ... 19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1
- 2. 연구 내용 ... 23
- 3. 연구 방법 및 절차 ... 24
- 4. 선행 연구 분석 ... 41
- Ⅱ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 편성 현황 분석 ... 45
- 1. 재외 한국학교 현황 ... 47
- 2. 학교 교육과정 편성 현황 ... 50
- Ⅲ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 운영 관련 조사 결과 분석 ... 89
- 1. 교육과정 운영 관련 설문 조사 결과 ... 91
- 2. 교육과정 운영 관련 면담 조사 결과 ... 119
- Ⅳ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 운영 개선 방안 탐색 ... 147
- 1. 학습자중심의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 150
- 2.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함양을 위한 예술 교과 기반 교육과정 운영 ... 167
- 3.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 필요한 학생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영 ... 177
- Ⅴ 요약 및 정책 제언 ... 187
- 1. 요약 ... 189
- 2. 정책 제언 ... 193
- 참 고 문 헌 ... 217
- Abstract ... 227
- 부 록 ... 231
- [부록1] 재외 한국학교 교원용 설문지 ... 233
- [부록2]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함양을 위한 예술 교육과정 운영 관련 자료 ... 268
- 끝페이지 ... 270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